경시대회

 

1. 개요
2. 준비 방법


1. 개요



한 분야의 특기자들이 모두 모여 시험을 치르거나 일정한 과제를 수행하여 우수한 사람을 가리는 대회의 총칭.
경시대회 자체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규모가 큰 분야는 단연 수학. 경시대회라는 말 자체가 좁은 의미로는 수학 및 과학경시대회를 일컫는다. 일선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공립 경시대회와 대학이나 단체 등이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사설 경시대회가 있다. 공립 경시대회는 이전에는 난이도가 그렇게까지는 높지 않아 훨씬 어려운 올림피아드 등지에 상당히 밀리는 편이었으나, 최근에는 사교육 및 사설대회 참가내역을 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에 작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기가 꽤나 높아지고 있다. 대개 시험 범위는 중등교육과정에 따라 출제되는 편이지만 학교 수업에서는 가르쳐주지 않는 아스트랄한 유형의 문제가 다수 출제된다. 애초에 상위권을 대상으로 한 시험이기 때문에 개념 이해보다는 응용과 창의적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춰 문제를 내기 때문. 그래도 이론상 교육과정 내의 개념으로 충분히 해결 가능한 문제들만 출제된다. 다만 올림피아드는 예외. [1] 사실 올림피아드도 교육과정 내에서 풀 수는 있지만, 시간내에 풀 수 있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감이 안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모르는 개념들을 시험시간 내에 발견해 내야 하기 때문이다.

2. 준비 방법


올림피아드를 제외하고는 해당 분야에 관심과 능력이 있는 학생이라면 어느 정도 독학이 가능하다. 시중에는 경시대회 대비 문제집이 차고 넘치는 편이며, 기출 문제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교육열이 어느 정도 있는 동네라면 일선 학교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경시대회 대비반을 만들기도 한다. 다만 이런 이야기는 수학에만 전적으로 적용되는 편이고, 과학경시대회는 그나마 마음먹으면 혼자 대비가 가능한 편이지만(과정이 쉽지는 않다), 경시대회에서는 상당히 마이너한 축에 드는 경제, 법 등은 대비가 쉽지 않다. 법경시 같은 경우는 사교육으로 대비하기도 어렵긴 하지만.
하여튼 일반적인 학교 내신 또는 수능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문제 유형 및 해결 방법이 등장하기 때문에, 정말 열심히 노력해서 학교 성적이 좋은 학생이라도 경시대회에서는 빛을 못 보는 경우가 많다. 개념에 대한 완벽한 이해와 차근차근 풀어가는 논리적 구성보다는 순간적인 직관에 의존하는 풀이, 특히 기하학의 경우 이걸 어떻게 시험시간 내에 생각하는지조차 의문일 정도로 상당히 해괴한 보조선이 난무하는 풀이가 꽤 흔하다. 물론 개념 공부가 다 되어 있지 않다면 풀지도 못한다. 개념부터 확실히 다지고 오자. 그러고 나서는 수학적 직관을 길러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수학적 재능이 있는 학생은 정말 쉽게 풀이를 떠올리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은 몇 시간 고민해도 답이 잘 안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수능에 비해 유형이 일관적이지 않고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분석하는 행위의 중요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물론 이게 도움이 안 된다는 건 아니지만.
반면 경제경시나 법경시의 경우 학교 교육과정을 조금 벗어난 내용도 많이 나오는 편이다. 경제는 완벽한 개념 이해와 문제 풀이법을 충분히 숙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나마 유형 자체가 완전히 새로운 경우는 적다. 고등학생에게 던져줄 만한 경제개념에 한계가 있으므로... 반면 법경시는 그런 거 없다. 사법고시처럼 법을 해석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이런이런 규정의 존재를 알고 있는지가 더 우선시된다. 기본적으로 고교생 대상인 관계로 자세한 법철학이나 어려운 사안에 대한 판례 같은 건 나오지 않으며, 일상 생활에 필요한 수준의 법률 규정을 알고 있다면 충분히 풀 수 있다. 이를테면 '대학생의 과외 행위는 신고하지 않아도 된다'던지. 그렇지만 간단한 민법과 형법 등이 나오기는 한다.
대학입시 등에서 가산점이 되는 경우도 거의 없으므로 대회에서 메이저급 상을 받을만한 엄청 빼어난 영재가 아닌이상 어지간하면 그냥 나가지 않거나 나가더라도 재미로만 나가는 것이 나을수도 있다. 스스로가 난해한 문제를 풀어내기 좋아하는 성격이 아니라면 사실상 머리만 아프고 별 도움도 안 된다. 특히 수학은 더더욱.

[1] 올림피아드는 따로 사교육을 받지 않고는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감도 안 오는 문제들이 대부분이다. 풀이 과정에도 대놓고 교육과정 초월 개념들이 등장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