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
[clearfix]
1. 개요
'크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로, 보통은 '대'로 읽는다. 접두사로 쓰이면 어떠한 사물이나 단체(국가, 학교 등)에 대하여 크다는 의미 외에도 위대하다는 의미를 포함하며, 접미사로 쓰이면 대학을 뜻하기도 한다(서울'''대''' 등).
사람(人)이 팔을 최대한 뻗어 크다를 뜻하는 상형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927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ㄉㄚˋ으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大 (K)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 8급에 배정되어 있다.
이체자로는 亣가 있다.
보통 용언이 한자의 훈으로 오면 '~ㄹ' 어미를 사용하는데, 白(흰 백)과 더불어 몇 안 되게 '~ㄴ' 어미를 사용하는 한자이다. 아래 유의자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크다'란 뜻을 가진 다른 한자는 많이들 '클'로 쓴다.
3. 용례
굉장히 용례가 많다. 다 적기엔 여백이 모자란다. 말 그대로 '크다'와 관련된 단어에는 거의 다 붙는 한자이므로...
- 강대국(强大國)
- 거대(巨大)
- 관대(寬大)
- 담대(膽大)
- 대가족(大家族)
- 대강(大綱)
- 대개(大槪)
- 대거(大擧)
- 대공(大公)
- 대구(大口)
- 대궐(大闕)
- 대교(大橋)
- 대군(大君)
- 대기(大氣)
- 대기업(大企業)
- 대노(大怒)
- 대뇌(大腦)
- 대다수(大多數)
- 대담(大膽)
- 대동법(大同法)
- 대란(大亂)
- 대략(大略)
- 대량(大量)
- 대령(大領)
- 대륙(大陸)
- 대문(大門)
- 대문자(大文字)
- 대법관(大法官)
- 대법원(大法院)
- 대부(大夫)
- 대부분(大部分)
- 대불(大佛)
- 대비(大妃) / 왕대비(王大妃) / 대왕대비(大王大妃)
- 대사(大事, 大使, 大士, 大寺)
- 대사관(大使館)
- 대상(大賞)
- 대서(大暑)
- 대설(大雪)
- 대성전(大成殿 / 大聖殿)
- 대성당(大聖堂)
- 대세(大勢)
- 대소(大小)
- 대승불교(大乘佛敎)
- 대양(大洋)
- 대업(大業)
- 대왕(大王)
- 대운(大運)
- 대웅전(大雄殿)
- 대위(大尉)
- 대의(大義)
- 대인(大人)
- 대장(大將[1] , 大腸[2] )
- 대장부(大丈夫)
- 대전(大戰 / 大殿/大篆)
- 대주(大主)
- 대주주(大株主)
- 대중(大衆)
- 대지(大地)
- 대체(大體)
- 도대체(都大體)
- 대통령(大統領)
- 대학(大學) / 대학교(大學校)
- 대한(大寒/大韓)
- 대형(大形 / 大兄)
- 대회(大會)
- 막대(莫大)
- 성대(盛大)
- 위대(偉大)
- 장대(長大)
- 최대(最大)
- 최대한(最大限)
- 확대(擴大 / 廓大)
3.1. 고사성어
3.2. 인명
인명에도 자주 쓰이는 한자이며, 보통은 남자 이름이 쓰인다.
3.2.1. 한국
- 김대건(金大建)
- 김대견(金大堅)
- 김대경(金大景)
- 김대성(金大城)
- 김대엽(金大燁)
- 김대우(金大祐)
- 김대익(金大益)
- 김대중(金大中)
- 김대진(金大鎭): 해당 문서의 3명 모두 똑같이 한자를 쓴다.
- 김대한(金大漢)
- 김대호(金大虎)
- 김대희(金大熙)
- 다니엘 대 킴: 한국식 이름이 김대현(金大賢)이다.
- 송대한(宋大韓)
- 심대평(沈大平)
- 이대휘(李大輝)
- 최대집(崔大集)
- 홍성대(洪性大)
- PD대정령: 본명이 김대현(大現)이다.
3.2.2. 일본
- 다이고(大郷, だいごう)
- 다이치(大地, だいち)
- 오오노(大野, おおの)
- 오오모리(大森 / 大盛, おおもり)
- 오오바(大葉 / 大場 / 大庭, おおば)
- 오오시마(大島, おおしま)
- 오오와다(大和田, おおわだ)
- 오오야마(大山, おおやま)
- 오오우치(大内, おおうち)
3.3. 지명, 국호
- 대곡역(大谷驛)
-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 대달도(大㺚島)
- 대림동(大林洞)
- 대방동(大方洞 / 大芳洞)
- 대한민국(大韓民國)
- 대한제국(大韓帝國)
- 대부도(大阜島) / 대부동 (大阜洞)
- 대야동(大野洞)
-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 대학동(大學洞)
- 대학로(大學路)
- 대산읍(大山邑)
- 신대방동(新大方洞)
- 상대원동(上大院洞)
- 오사카(大阪)
- 하대원동(下大院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