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드워 2/레이드

 


길드워 2: 가시의 심장에서 새롭게 추가된 PvE 컨텐츠.
1. 개요
2. 준비물
3. 각 직업별 역할
4. 비판
5. 레이드 던전 목록


1. 개요


최대 10명의 공격대를 모아서 도전할 수 있는 길드워 2의 사실상 PvE 엔드 컨텐츠로 본래 길드워 2에는 저난이도에 사람들이 아무나 몰려가서 하는 대규모 메타 이벤트가 레이드를 대신하고 있었지만, 하드한 컨텐츠를 추가해 달라는 유저들의 성화로 첫 확장팩 때 새롭게 추가됐다.

2. 준비물


  • 어센디드 등급 이상의 장비들 - 엑조틱 등급과 어센디드 등급 사이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갖추는 것이 좋다.
  • 최고 등급의 소모성 아이템 구비 - 조금이라도 높은 DPS, 힐량, 분 지속시간을 위해 끊임 없이 쓰게 될 것.
  • 최소한의 공략 숙지 - 말이 필요 없는 사항.
  • 레이드 길드 가입 - LFG 툴에서 볼 수 있는 스쿼드는 대개 초보자를 일일이 가르쳐주지 않기 때문에 숙련자와 비숙련자를 섞어서 가는 레이드 길드를 가입하는 게 좋다.
대충 이 4가지 요소를 갖췄다면 레이드에 도전할 준비가 됐다고 볼 수 있다.

3. 각 직업별 역할


2020년 7월 기준.
  • 워리어
BS(Banner Slave/Support). 배너는 10명이 배너에 해당하는 능력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스킬이기에 대부분 레이드 스쿼드를 구성할 때, 특수한 상황을 제외한다면 필수적으로 한자리는 BS워리어를 채용한다. 딜러 역할로 워리어의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은 아니나, 딜러 포지션은 다른 클래스도 수행할 수 있지만 배너 스킬은 워리어의 오리지날 스킬이기에 타 클래스가 대체할 수 없으며 유틸리티 스킬 자리에 배너를 채워넣어도 나쁘지 않은 딜링 능력을 갖고있기에 DPS워리어와 BS워리어의 우선순위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 가디언
파워기반의 딜러 드래곤헌터, 컨디션기반의 딜러 파이어브랜드, 딜러 컨셉을 유지하며 최소한의 분 지속시간을 챙겨 퀵크니스 분을 제공하는 퀵브랜드(QB, quickness+firebrand), 분 서포터와 힐러 역할을 할 수 있는 힐브랜드(HB, heal+firebrand), 힐브랜드에 터프니스를 챙겨 탱커로도 기용된다. 그 역할을 하기 위한 장비만 준비된다면 가디언 캐릭터 하나로 레이드에서 사용되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셈.
  • 레버넌트
레버넌트는 레이드에서 주로 레니게이드 트레잇을 이용한 컨디션 딜러, 파워 기반 능력치에 분 지속시간을 챙겨 알라크리티 분을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알라렌(alaren, alacrity+renegade), 힐 기반 능력치에 분 지속시간을 챙긴 힐레니(healren, heal+renegade), 레버넌트의 또다른 직업인 헤럴드는 네임드 몬스터 데이모스에서 한정적으로 핸드카이터 역할로 사용할 수 있다.
  • 엔지니어
2020년 7월 현재, 엔지니어로 레이드를 한다면 사실상 파워 기반 딜러인 홀로스미스만 사용된다. 코어 엔지니어나 홀로스미스는 컨디션 딜러로도 사용 할 수 있으나 만만치 않은 난이도에 비해 타 컨디션 딜러보다 월등하지도 않은 퍼포먼스를 갖고 있기에 엔지니어만 파고드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다른 클래스로 컨디션 딜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편하고 대중적이기 때문에 쓰이지 않는다.
  • 시프
길드워2 레이드에서 시프는 보기드문 클래스다. 타 직업에 비해 시프로 PvE컨텐츠 주력으로 하는 유저 수 자체가 적거니와 PvE에서 좋지않은 인식이 꾸준히 이어져오고 있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점도 한몫할 것이다.
그렇다하여 시프가 레이드에서 안좋은 클래스라고 딱 잘라말하기는 어렵다. 파워기반 딜러로도 나쁘지 않으며 엘리트 스킬로 CC 또한 충분히 제공할 수 있으며, 특수한 곳에서는 데드아이가 요구되기도 하며, 분시프로 분 제공이 가능한 곳에서는 분시프가 다른 분서포터 2인분을 혼자서 해낼 수 있기(이때는 분크로노맨서, 파이어브랜드보다 우선순위가 높아진다)에 가능한 한 분시프를 기용하려고 하기때문.
  • 레인저
드루이드는 레이드 전통의 힐러다. 여러번의 직접적인 너프, 간접적인 너프(분크로노맨서 너프=분크로노맨서+드루이드 조합 너프)로 인해 파이어브랜드가 드루이드의 힐러 역할을 대체하기도 하지만 드루이드 혼자서 10명의 마이트 분 풀스택 유지가 가능한 점, 파이어브랜드가 할 수 없는 유틸리티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점으로 여전히 쓰여지고 있다.
소울비스트는 장비 능력치에 따라 파워기반 딜러, 컨디션기반 딜러가 가능하며, 레버넌트와 마찬가지로 데이모스에서 핸드카이터 역할이 가능하다.
  • 엘리멘탈리스트
템페스트는 파워기반의 딜러, 흔히 쓰이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 힐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메인 서포터로 힐러 역할을 하는 파이어브랜드와 드루이드에 비해 힐러 포지션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나 힐템페스트는 아군의 체력을 유지시키는 역할만큼은 가장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위버는 파워기반이든 컨디션기반이든 딜러로 사용된다. 사용자의 기량에 따라 높은 DPS를 뽑아 낼 수도 있으나 까다로운 스킬 로테이션, 고질적인 낮은 체력으로 언제든지 쉽게 다운될 수 있다는 리스크를 갖고 있다.
  • 네크로맨서
리퍼는 네크로맨서 자체의 높은 체력과 더불어 변신동안 고유자원인 라이프포스를 체력으로 사용하기에 터프니스를 따로 챙기지 않아도 타 직업군보다 튼튼하면서 무난한 파워 딜러 역할이 가능하다.
스커지는 컨디션 기반의 딜러로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힐러역할을 하기도한다. 힐스커지는 힐템페스트와 마찬가지로 메인 서포터 역할을 하는 파이어브랜드와 드루이드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나 타 직업군으로 대체할 수 없는 컨디션 전파 스킬 에피데믹, 다운 상태의 여러 아군을 끌어오는 스킬, 많은 cc스킬을 갖고 있는 등 타 직업군과는 차별되는 독특한 서포팅을 수행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 메스머
초기의 크로노맨서는 드루이드와 함께 레이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철밥통의 클래스였으나, 계속되는 너프와 '분크로노맨서+드루이드' 조합을 '파이어브랜드+레니게이드'조합이 대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분크로노맨서는 필수채용이 아닌 선택채용 수준으로 격하되었다. 분크로노맨서 외 크로노맨서는 분크로노맨서 구성 기반에 터프니스를 갖추고 탱커역할을 하거나 파워기반 딜러를 수행할 수 있다.
미라지는 레이드에서 일반적으로 컨디션 딜러로만 사용되며 일부 특정 네임드 몬스터 상대로 타 딜러에 비해 유난히 높은 딜량을 뽑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4. 비판


2015년 이후의 길드워 2 방향성 비판의 중심에 선 컨텐츠이다. 원래 길드워 2는 와우 같이 하드한 MMORPG 주류에서 탈피해서 혁신적인 시스템과 라이트함을 강점으로 삼아서 수많은 유저층을 확보해 왔다. 물론 헤비 유저가 없던 것도 아니었고, 이들의 지속적인 요구로 레이드가 추가됐으나, 정작 그 추가된 레이드는 여러모로 길드워 2의 강점을 뒤엎는 컨텐츠의 등장으로 비판의 소재가 되고 말았다.
유저들이 문제로 삼는 길드워 2의 레이드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조악한 매칭 시스템 (미해결)
파티찾기를 위한 LFG(Looking For Group)창이 존재하긴 하나, 딜러, 힐러, 탱커 등으로 자신의 역할을 등록하고 저절로 파티가 구성되는 게 아니라 일일히 역할을 묻거나, 소개하며 수동으로 스쿼드를 구성해야 한다. LFG(Looking For Group)창이 제공하는 것은 그저 광고판 기능으로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 레이드 추가로 발생한 컨텐츠 업데이트 속도 저하 (해결)
가시의 심장 확장팩은 2015년 10월에 패치됐다. 그리고 2016년 6월 14일까지 그 어떤 컨텐츠도 업데이트되지 않았다. 상위 5%만 하는 유저를 위해서 8개월 동안 제대로 된 컨텐츠 업데이트가 없다는 것은 레이드를 즐기지 않는 유저에게 있어서 우롱에 가까운 처사인 셈. 아레나넷은 레이드 개발진은 전체 인원 중 몇 명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나 그럼 나머지 개발진은 대체 8개월간 뭘 했길래 레이드밖에 업데이트되지 않았단 말인가?
  • 전설 방어구 보상 (해결)
레이드는 컨텐츠 도입 전부터 보상으로 전설 방어구를 주겠다고 약속했고, 레이드 이외에는 전설 방어구를 주지 않는다고 공언한 바 있다. 문제는 레이드는 소수 유저만 즐기고 있는 컨텐츠라는 점.
이후 2017 8월 패치 이후로 WvW와 sPvP를 통하여서도 전설 방어구를 구할 수 있게 되어, 전설 방어구를 위해 레이드를 돌아야만 하는 이유는 사라졌다.

5. 레이드 던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