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경(강사)

 

[image]
'''이름'''
김미경
'''출생'''
1965년 3월 1일, 충청북도 괴산[1]
'''소속'''
더블유 인사이츠 (대표)
김미경의 이클래스 (대표)
'''학력'''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 학사)
'''링크'''

사람들을 만나서 얘기를 해보고 20대, 30대의 젊은 청년들을 만나서 얘기를 해보면 이런 얘기를 해요. "원장님 있잖아요, 지금 요즘에 내가 하고 있는 일이요, 내 가슴을 뛰게 하질 않아요. 그래서 이건 내 꿈이 아닌가봐요." (중략) 내 가슴을 뛰게 하질 않는대요, 이 일이. 그래서 이거는 꿈이 아니라서 나는 여기를 떠나서, 가슴 뛰는 일을 계속 찾아다닌대요. 그래서 내가 그랬어요. "죽을 때까지 찾아 봐라, 찾아지나!" 절대 여러분 가슴 뛰는 일 같은 건 세상에 못 만나십니다. 중요한 건 (저는) 강의라는 일을 만나서 내 가슴이 뛸 때까지 일한 거예요, 20년동안. 여러분, 꿈은 그렇게 만들어 가는 거예요.

꿈이라고 말해놓고 건드리지 않으면 계속 꿈이야. 꿈이라고 말해놓고 바로 실행하면 꿈은 뭐다? 더 이상 꿈이 아니고 현실이다. 여러분, '꿈'자를 가슴 속에 오래 두지 마십시오. 바로 현실로 전환시켜 버리세요.

— 세바시 211회 "죽어가는 꿈을 구출하라" 中

1. 개요
2. 저서
3. 방송 출연
4. 논문 표절 논란
5. 강연


1. 개요


30여년 강연 경력을 가진 스타 강사. 꿈과 연애, 직장 생활, 경제 문제 등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의 철학을 갖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며, 많은 청중들의 공감을 받고 있다.
양장점을 하는 어머니와 초등교사 아버지 슬하에서 자랐고 부모에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울로 올라왔다고 한다. 음대를 나와서 광고 음악 등을 제작하는 회사에서 직장 생활을 하였으나 적성이 맞지 않아 월급을 타는 게 미안했다고 한다. 후에 대출금을 받아 피아노 학원을 개설하여 운영하였고 여기서 사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29살 때부터 강연을 하고 싶어 강사생활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새벽 4시 30분에 일어나 공부하는 생활을 7년 동안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모습은 자신이 어렸을 때 어머니가 보여준 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유튜버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2020년 12월 23일 기준 구독자 수 126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소속은 샌드박스 네트워크.
2021년 1월 2일 방송된 ‘북유럽’에서는 책 기부자로 출연해 방탄소년단이라고 밝혔다. 외국 공연을 다녀왔으며 굿즈에 몇백만원을 썼다고 한다. #

2. 저서


  • 꿈이 있는 아내는 늙지 않는다 (2003, 2014년 개정)
  • 가족이 힘을 합하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 (2009)
  • 아트 스피치 (2010, 2014년 개정)
  • 스토리 건배사 1 (2010)
  • 스토리 건배사 2 (2011)
  • 언니의 독설 1 (2011, 2012년 개정)
  • 언니의 독설 2 (2011)
  • 키즈 스피치 (2011)
  • 파랑새 특강 1 한 달에 한 번, 12명의 인생 멘토를 만나다 (2012)
  • 파랑새 특강 2 내 안의 스티브 잡스를 깨워라! (2012)
  • 파랑새 특강 3 2012년 자기계발을 위한 트렌드 키워드 (2012)
  • 드림 온 Dream on (2013)
  • 살아 있는 뜨거움 (2014)
  • 인생미답 (2016)
  • 이 한마디가 나를 살렸다 (2020)
  • 김미경의 리부트 (2020)

3. 방송 출연


  • tvN 김미경 쇼 (2013년 1월 11일 ~ 2013년 3월 29일) (종방)
  • EBS 엄마를 찾지마 (2017년 4월 24일 ~ 2018년 2월 19일) (종방)

4. 논문 표절 논란


독창성을 인정해줬다는 점에 대해 이화여대에 고마워요. 그럼에도 사실 잘못은 잘못이고 표절은 표절이지. 제가 무지했어요. 잘못한 건 확실해요.

— 김미경

2013년 3월 석사 논문을 표절한 것으로 논란이 일었고, 모든 방송에서 하차했다. 본인도 표절 사실을 인정했다.

5. 강연


MBC 무릎팍도사[2], 세바시(죽어가는 꿈을 구출하라 등 외), tvN 스타특강쇼 등에 출연했고 유튜브에서 검색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다.
[1] 현재는 증평으로 분리된 지역이다.[2] 2부는 앞에서 언급된 논문 표절로 인해 통편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