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작업기

 

1. 개요
2. 종류
2.1. 옵션
3. 회사


1. 개요


말 그대로 농기계에 달리는 작업기이다. 보통 트랙터 뒤에 달린다. 트랙터, 경운기[1]는 동력 공급기의 역할을 하므로 단독으로는 사용할수 없고 필수 옵션인 작업기를 별도로 구입해 연결해줘야 쓸모가 생긴다. 따라서 옵션질의 개념으로 본다면 자동차 회사의 옵션질 따위는 쌈싸먹을 정도의 수준이다.
각 지자체에서는 소형 작업기를, 농협 대여 사업소에서는 대형 작업기를 대여해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판매업자의 꼬임에 훅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자.[2] 대부분의 농기계는 일년 중에 잠깐 사용하고 나머지 기간동안 창고에 보관하게 된다.

2. 종류


  • 로타리(Rotary): 덩어리가 된 흙을 잘게 부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쟁기 작업 후 이루어진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베일러(Baler): 집초기로 모인 작물의 줄기를 원형 짚단으로 만드는데 필수.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집초기(集草機): 사료용으로 쓰이는 볏짚, 보리, 귀리의 건초를 모을때 사용한다. 집초기 작업 뒤 베일러 작업이 이루어진다. 모우어, 모아기, 잡초기 등으로 불린다.
  • 랩핑기(Wraping): 베일러 작업이 끝난 원형의 짚을 (Wrap)으로 싸는 작업을 한다. 논에 뒹굴어 다니는 하얀 덩어리들의 정체가 이것이다.
  • 파종기: 콩, 옥수수 등을 대규모로 재배할때 쓰이는 대형 파종기. 삼시세끼 정선편에 나왔던 수작업 파종기의 기계화버전.
  • 사료배합기
  • 쟁기: 단단하게 굳은 땅을 뒤엎는 작업을 할때 쓰인다. 소쟁기의 기계화 버전이며 이 작업후 로타리 작업을 하게된다.
  • 진압기
  • 비료살포기: 항아리 모양의 입상(Granule) 비료, 농약을 살포하는 옵션.
  • 농약살포기: 파종 전에 액체의 발아억제 농약을 살포하는 옵션. 주로 옥수수를 심는 강원도에서 많이 쓰인다.
  • 트레일러(Trailer): 운송용. 트럭의 화물칸을 뜯어 개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피복기: 두둑에 비닐을 씌우는 피복작업에 이용된다. 수작업용 피복기의 기계화버전.
  • 퇴비살포기: 퇴비를 살포하는 트레일러. 농지에 덩어리류의 퇴비를 잘게 부숴 살포하는데 사용됨.
  • 수확기: 인삼이나 감자를 캘때 사용한다. 귀농인들이나 도시인들이 수확이 끝난 감자 밭에서 이삭줍기를 못하게 만드는 최대의 적.
  • 논두렁 성형기: 평야지역에서 논두렁을 이쁘게 만들어주는데 쓰인다. 논두렁 조폭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3]

2.1. 옵션


  • 로우더(Loader): 트랙터 앞부분에 설치. 스키드로우더 역시 이에 포함된다.
  • 포크(Fork): 트랙터를 지게차 용도에 사용할때 쓰임. 지게차에 달린 일명 발톱과 동일.
  • 써레: 로타리 후방에 설치되며 흙을 고르게 만든다. 트랙터의 기울기에 따라 써레도 기울게 되며, 최근엔 트랙터와는 별도로 수평을 유지하는 제품도 개발되었다.
  • 배토기: 고랑을 만듦으로써 두둑을 만드는 기계. 역시 로타리에 설치되며 위에서 보면 V, 정면에서 보면 V형의 카이트 실드 모양으로 생겼다.
  • 백호(Backhoe): 트랙터 뒤에 설치하는 굴삭장치. 가동범위의 차이(암 VS 상부 전체) 때문에 아무래도 굴삭기에 비해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편이다. 참고 : Backhoe vs Excavator

3. 회사



[1] 경운기나 관리기는 엔진이 있는 앞 부분만을 기본으로 한다. 뒤에 달린 트레일러 등은 추가 구입하는것이다.[2] 반납시 잔고장은 넘어가더라도 큰고장은 수리해주고 청소를 깨끗이 하도록. 농협 대여 사업도 국가나 지자체에서 위탁받은 경우이므로 수리비나 청소비 모두 세금에서 빠져나간다.[3] 논은 두렁(혹은 밭두렁)으로 경계가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로타리 작업을 하다보면 논두렁이 파손되는데 이를 이용해 남의 땅으로 야금야금 경계를 옮기는 행위를 한다. 보통 힘없는 귀농인들이 많이 당하며 항의해도 오히려 목소리를 높이며 화를 내는 벌레류의 기존 지역민이 많다. 정 안되면 철제 휀스를 박아넣던가, 테두리에 야트막한 콘크리트 패널(?) 벽(?)을 타설해버리자. 마을 사람들이 별종으로 보긴 하겠지만 애초에 어지간한 친화력과 대인관계 능력을 가진 게 아닌이상 혹은 혈연관계가 있는 사람이 거주하는 곳이 아닌 이상 폐쇄적인 소규모 공동체로의 동화는 포기하는게 좋다. 그렇게 동네 사람들과 어울리는 걸 포기하고 난 그냥 시골 경치 보고 상쾌한 공기 마시며 즐기러 왔다. 컨셉으로 못박으면 뭐 어찌할 도리는 없다. 외로움이야 주말마다 도시나 읍내로 나가거나 인터넷으로 어찌저찌 잘 해보거나. 그리고 사실 생산효율과 수익성 입장에서도 저렇게 돈칠해서 삐까번쩍하게 유리 건물 올리고 농사짓는게 더 낫다. 괜히 연구소나 공장식 농업에서 그리 하는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