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극 전개
1. 개요
'''Multipole Expansion · 多重極展開'''
다중극 전개란 충분히 국소화된 상태로 분포하는 전하 밀도가 있을 때, 이 전하 밀도를 점전하와 쌍극자, 사중극자, 팔중극자 등으로 근사하여 퍼텐셜 함수를 전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어떤 공간상에 물체가 있고, 이 물체가 갖고있는 전자들의 복잡한 분포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서 이 물질을 바라본다면 전하는 좁은 영역에 분포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멀리 떨어져 있다는 근사 조건을 활용하여 함수를 우리가 알기 쉬원 점전하나 쌍극자 등의 함수로 쓰자는 것이다.
2. 유도
[image]
위 그림과 같이 임의의 전하분포 $$ \displaystyle \rho(\mathbf{r'}) $$을 가정하자. 즉 $$ \mathbf{r'} $$의 위치에 분포하는 전하밀도를 $$ \mathbf{r} $$의 시점에서 관찰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그러면 잘 알다시피 $$\mathbf{r}$$에서 전기 퍼텐셜은
$$\displaystyle \Phi(\mathbf{r})=\frac{1}{4 \pi \varepsilon_{0}} \iiint_{V} \frac{\rho(\mathbf{r'})}{|\mathbf{r-r'}|}\,dV' $$
2.1. 구면 좌표계에서의 전개
구면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전개식[1] 이 성립한다.
$$\displaystyle \displaystyle \Phi(\mathbf{r}) ={1\over 4\pi \varepsilon_0}\sum_{l=0}^{\infty} \sum_{m=-l}^{l} {4\pi \over 2l+1} q_{l}^{m} {Y_{l}^m(\theta, \, \phi)\over r^{l+1}} $$
전개식의 유도는 다음과 같다. $$r' \ll r$$인 영역을 다루고 있으므로
$$\displaystyle {1\over |\mathbf{r-r'}|} = \sum_{l=0}^{\infty} {r_{<}^l \over r_{>}^{l+1}}P_{l}(\cos{\gamma}) $$
$$\displaystyle P_{l}(\cos{\gamma}) = {4\pi\over 2l+1} \sum_{m=-l}^{l} Y_l^{m*}(\theta',\,\phi')Y_l^m(\theta,\,\phi) $$
$$\displaystyle q_{l}^{m} = \iiint_V Y_{l}^{m*}(\theta',\,\phi')(r')^l\rho(\mathbf{r'})\, dV' $$
2.2. 직교 좌표계에서의 전개
직교좌표계에서는 잘 아는 테일러 전개를 이용해 보도록 하자. 잘 알다시피, 다변수 함수에 대하여 테일러 전개는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1}{|\mathbf{r-r'}| } &=\frac{1}{[(\mathbf{r-r'})\cdot(\mathbf{r-r'}) ]^{1/2}} \\ &=\frac{1}{[r^{2}-2 \mathbf{r \cdot r'}+{r'}^{2}]^{1/2}} \\ &=\frac{1}{r} \left[ 1-\frac{2 \mathbf{r \cdot r'}+{r'}^{2}}{r^{2}} \right ]^{-1/2} \\ &=\frac{1}{r} \left[ 1-\frac{1}{2} \frac{{r'}^{2}-2\mathbf{r \cdot r'}}{r^{2}}+\frac{3}{8} \left(\frac{{r'}^{2}-2\mathbf{r \cdot r'}}{r^{2}} \right )^{2}+\cdots \right] \end{aligned} $$
$$\displaystyle \mathbf{p}(\mathbf{r'})\equiv \iiint_{V} \mathbf{r'}\rho(\mathbf{r'})\,dV' \qquad \qquad Q_{ij} \equiv \iiint_{V} (3r'_{i}r'_{j}-\delta_{ij}{r'}^{2}) \rho(\mathbf{r'})\,dV' $$
$$\displaystyle \Phi(\mathbf{r})=\frac{1}{4 \pi \varepsilon_{0}}\left[ \frac{Q_{\mathrm{tot} }}{r}+\frac{\mathbf{p \cdot r}}{r^{3}}+\frac{1}{2}\sum_{ij}Q_{ij}\frac{r_{i}r_{j}}{r^{5}} + \cdots \right ] $$
$$\displaystyle Q_{\mathrm{tot}} \equiv \iiint_{V} \rho(\mathbf{r'}) \, dV' $$
3. 기타
- 보통 학부 과정에서는 쌍극자 정도까지만 근사하고, 사중극자나 팔중극자까지 근사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행이라고 한다면 사중극자로 나아간다고 갑자기 내용이 기상천외해지진 않고 기본적 식의 형식은 위의 쌍극자 전개와 유사하다... 변수가 끔찍하게 많아질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