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결투쟁가
1. 개요
대한민국의 민중가요.
원래 노동자시인 백무산이 쓴 시에 1989년에 깃발가, 파업가와 같은 전투적 투쟁가를 많이 작곡한 김호철이 곡을 붙인 것으로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의 노동자권리 향상, 그리고 인권향상을 위한 집회를 위한 노래로 만들어졌다. 당시 운동권에서 널리 퍼져있던 '전투적 조합주의'의 영향을 꽤 많이 받은 노래로 백골단, 구사대, 죽창 같은 전투적인 가사가 많이 쓰이는 것도 이때문이다. 물론 당시 백골단을 위시한 공권력이 워낙 노동자들을 짓밟아왔으니 그럴 만도 하다.
이 노래의 영향은 매우 커서 90년대 중엽까지도 대학가에서는 전투적 조합주의와 노학연대활동이 주류가 되어왔다. 이를테면 대학생 활동가가 위장취업해서 공장에서 노동자들과 함께 세포조직을 만든다든가, 야학활동 같은 것들이 있었다. 몇몇 학과들은 과가로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는데, 가령 중앙대학교 철학과의 과가가 이 단결투쟁가였다.[1]
작사, 작곡자가 다 알려져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노래의 가사는 학교마다, 노조마다 서로 다르다. 그 다른 버전들은 따로 주석으로 추가했다.
중간중간 들어가는 추임새도 괄호로 추가해보았다.
2. 가사
민중가요에 있어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 대중음악을 연구한 책들의 저항가요 파트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 노래. 당시 백무산과 김호철 모두 공장에서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었고, 기존의 민중가요는 구전가요나 노가바(노래가사 바꿔부르기), 대학생들이 만든 노래가 주류였다. 노동자를 위해 노동자가 만든 최초의 민중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