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포(클래시 로얄)
1. 개요
[image]
대포 / Cannon / 大砲
클래시 오브 클랜의 그 대포. 3엘릭서의 가장 저렴한 방어 타워로, 전작과 비슷하게 지상 공격만 가능하며 초당 피해량이 높다.방어 시설입니다. 강력한 포탄을 발사하지만 공중의 적은 공격할 수 없습니다.
Defensive building. Shoots cannonballs with deadly effect, but cannot target flying troops.
2. 레벨별 스탯
3. 성능
뇌전탑과 많이 비교되는 편이다. 대포는 3엘릭서라는 가성비가, 뇌전탑은 미니언 원킬, 공중 공격 가능, 비 전투 시 마법 면역 효과가 강점이다.
3.1. 장점
- 높은 초당 피해량
대포의 초당 피해량은 비용이 1 더 높은 뇌전탑보다 높다. 건물 카드들 중 수비 능력으로만 보자면 가성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낮은 엘릭서 비용
방어 건물은 미리 설치하기보다는 상황에 맞춰서 설치하는 경우가 더 많은 만큼 건물 카드들 중 엘릭서 비용이 제일 낮다는 점은 충분한 차별점이 된다.
3.2. 단점
- 공중 공격 불가능
공중 유닛을 상대할 때는 대포는 그저 샌드백에 불과하다. 그래도 3코스트로 저렴하기에 공중 유닛의 동선을 길게 끌어 방어에 큰 도움을 주기도 한다.
- 낮은 유지력
체력이 낮아서 파이어 볼이나 독 마법을 맞으면 빈사 상태가 된다. 파괴되면 뭐라도 해주는 해골 무덤과는 달리 대포는 파괴되면 끝이기에 미리 설치하기에는 부적합하고, 방심하는 사이에 대포가 일찍 파괴되어서 적의 공격을 허용할 수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4. 변천사
베타 테스트 초기에는 엘릭서 비용이 6이었고 체력이 1000을 넘길정도로 체력이 매우 높았다. 하지만 엘릭서 비용이 너무 높아 쓰기 매우 부담스러웠고 거기에다가 다른 방어 타워의 성능이 대포보다 더욱 좋아서 채용률이 땅바닥을 기었다. 결국 이를 인지한 슈퍼셀은 2016년 2월 2일 패치로 엘릭서 비용이 절반이나 줄어든 대신 사정거리가 1, 수명이 20초 줄어들고 체력이 55%나 깎이는 마개조를 당했다.
2월 2일 패치 이후 뇌전탑과는 '''경쟁 관계'''가 되었다. 대포가 1엘릭서 적다 보니 엘릭서 이득을 보기 쉽고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뇌전탑은 피해량과 체력도 더 높고 공중 공격도 가능하며 땅 속에 숨는 기능도 있고 차지하는 면적도 작은 등 성능도 대포보다 좋고 다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당시에는 뇌전탑의 엘릭서 비용이 1 더 높았지만 DPS와 수명이 대포보다 훨씬 더 우월했기에 훨씬 자주 사용되었다. 하지만 3/23 패치로 뇌전탑이 너프를 먹으며 스펙이 대포와 비슷해지자 뇌전탑의 입지를 모조리 뺏어오게 된다. 게다가 이 패치로 인해 대포가 3엘릭서로 방어 타워 중 가장 싸다는 점이 더더욱 부각되어서 이 패치 이후 인기가 더 올라간 호그 라이더의 카운터용이나 어그로를 끌 건물이 필요할 때 싸고 무난한 대포가 선택되어 인기가 매우 올라가게 된다. 게다가 건물 공격 유닛이 점점 더 인기가 올라가고 엘릭서 정제소가 하향을 많이 먹으며 어그로용으로는 쓰기 힘들어지면서 어그로를 끌기 좋은 대포의 인기는 더더욱 상승했다.
이렇게 상당 기간동안 높았던 대포의 채용률은 2016년 9월을 기점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자독 덱이 유행하게 되면서 호그 라이더의 채용률이 내려가고, 여러 번의 너프로 인해 능력치가 많이 감소해서 자독 덱을 막기 버거웠기 때문. 또한 방어 타워를 아예 포기하고 건물을 엘릭서 정제소로만 대체해서 덱을 공격적으로 구성하는 메타가 된 것도 채용률 감소에 한몫했다.
2016/10/20 패치로 엘릭서 정제소의 엘릭서 비용 증가, 독 마법의 슬로우 효과 삭제 등의 견제를 받은 자독덱이 매우 심하게 타격을 입고 호그 라이더와 광부의 채용률이 상승함에 따라 대포가 빛을 발하는 순간이 온 것 같았지만 정작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독 마법의 대체재로 번개 마법이 떠오르게 되었고, 빅덱을 견제하기 위해 인페르노 타워의 인기가 굉장히 높아졌기 때문. 또한 적을 공격하는 데 여러 도움을 줄 수 있는 해골 무덤이나 용광로로 대포를 대체하는 유저가 많아져 대포가 쓰이는 일은 더 드물어지게 되었다. 결국 대포는 천상계에서는 사실상 거의 소멸하였고 뇌전탑과 같은 신세가 되고 말았다.
2017년 6월 배틀 램이 메타였을 때는 채용률이 조금 올랐던 적도 있다. 삼총사 덱을 필두로 배틀 램이 판을 치게 되자 이를 카운터치는 해골 무덤의 채용률이 올랐는데, 이에 배틀 램 쪽에서 독 마법을 채용하기 시작하자 독 마법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대포를 찾는 유저들이 생긴 것. 하지만 배틀 램이 너프를 먹고 채용률이 감소하자 대포의 채용률도 다시 줄어들었다.
이렇게 대포는 패치와 메타에 따라서 채용률이 크게 달라지다가 2017년 이후로는 사실상 고인 카드가 되어버렸다. 이유는 대포 따위는 가볍게 부숴버릴 수 있는 로얄 자이언트와 자이언트, 그냥 건물을 씹는 고블린 통과 광부의 유행 때문. 30초밖에 안 되는 지속 시간과 낮은 체력으로는 자이언트나 로얄 자이언트 등을 막기가 너무 버거웠다. 호그 라이더 덱의 카운터로도 범용성이 높은 인페르노 타워나 대포와 엘릭서가 같고 버프에 힘입어 대세 카드로 자리 잡은 토네이도가 훨씬 좋기 때문에 입지가 크게 줄어든 셈이다.
이후 뇌전탑이 패치를 받으며 여러 덱에 채용되는 동안에도 대포는 이전만큼의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현 메타에서는 순환호그덱을 제외하면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5. 업데이트 내역
- 2016/2/2 패치로 엘릭서 비용이 6에서 3으로, 사정거리가 1, 수명이 1분에서 40초로, 체력이 55% 감소했다.
- 2016/3/23 패치로 수명이 40초에서 30초로 감소했다.[1]
- 2016/5/3 패치로 체력이 11% 감소했다.[2]
- 2016/5/18 패치로 체력이 5% 감소했다.[3]
- 2016/6/21 패치로 체력이 8% 감소했다.[4]
- 2019/7/1 패치로 대포의 피해량이 32% 증가했고, 공격 속도가 0.8초에서 1.0초로 느려졌다.[5][6]
6. 카운터 카드
- 지진 마법: 대포를 상대로 유일하게 1:1 교환비를 가지는 스펠 카드. 대포의 체력은 지진 마법 도트 대미지 3번으로 딱 부서질 정도로 약하다. 지상 쪽수 유닛까지 잡으면 이득까지 볼 수 있다.
- 공중 유닛: 대포는 공중 공격을 못 하므로 약간의 공중 유닛만 가지고도 쉽게 깰 수 있다. 다만 공중 유닛으로 공격을 가는 목적이라면 진형이 깨질 수도 있으니 주의.
- 사정거리 6 이상의 지상 유닛[7] : 지상 유닛이지만 사정거리가 길어 대포의 사정거리 밖에서 안전하게 대포를 철거한다.
7. 관련 문서
[1] 박격포에 이어 제일 짧은 지속 시간을 가진 건물이 되었다.[2] 뇌전탑과 동레벨 체력이 같아졌지만 로얄 자이언트 덱이 뜨면서 대포의 사용률도 같이 올라가 전체 카드 중 채용률 2위를 찍기에 일렀다.[3] 슈퍼셀은 뇌전탑과 대포 둘 중 하나를 고르도록 하려고 대포를 너프시킨 만큼 뇌전탑을 상향했다고 하지만 아직까지도 대포에 비해 성능이 아쉬운 수준이다.[4] 대신 뇌전탑의 체력이 8% 증가했다.[5] 이 패치로 동레벨 고블린을 한 방에 죽인다.[6] 이 패치로 인해 대포 카트와 스탯이 완전히 동일해졌다.[7] 로켓병, 머스킷병, 다트 고블린, 마법 아처, 프린세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