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레퀴엠
'''Ein deutsches Requiem''' op.45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징베라인, 군들라 야노비츠, 호세 반 담)(1978년 실황)
요하네스 브람스가 1860년부터 시작해 8년에 걸쳐 작곡한 끝에 완성된 작품이다. 이 작품의 많이 회자되는 작곡 동기로는 슈만의 죽음에 대한 애도, 또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의 의미로 작곡되었다고 한다. 어머니가 죽기 전부터 이 작품을 시작했기 때문에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라는 의도는 안 맞을지도 모르지만, 어머니의 죽음이 이 곡의 일부분에 영향을 미친 건 분명하다.
이 곡의 제목에 붙은 '독일'이라는 말의 의미는 독일어로 된 레퀴엠이란 의미다. [1] 전통적인 가톨릭 교회의 레퀴엠 전례문이 라틴어 가사인것과는 달리 브람스는 마르틴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성서에서 자신이 직접 성서 구절들을 선정하여 이 곡을 작곡했다. 그러나 브람스는 "독일이란 말을 세계로 바꿔도 괜찮을 것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보면 브람스는 전 세계 사람들을 위한 보편적 의미의 레퀴엠을 작곡했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이 작품에 대해 클라라 슈만은 "저는 당신의 '레퀴엠'에 정말 매혹되고 말았습니다. 그 곡이 지닌 이상한 힘은, 듣는 사람을 감동시키고야 맙니다. 그것은 보기 드물게 훌륭한 작품입니다. 장엄하고 시적인 그 음악에는 사람들을 흥분하게하고 차분히 가라앉게도 하는 그 무엇이 있는 것입니다."라고 브람스에게 편지를 보내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빈에서 처음으로 초반부 3개의 곡만을 초연했지만, 이 때는 팀파니 주자의 잦은 실수로 결국 연주회는 실패로 돌아가고 만다. 그 이후 브레멘에서는 연주에서는 곡은 2부로 나뉘어 연주되었다. 이때에는 여섯 개의 곡이 연주되었다. 처음의 4악장과 마지막의 2악장 사이에 당시의 관습에 따라 요아힘과 그의 아내 아말리에가 헨델과 탈티니와 바하 및 슈만의 곡을 연주했다.
그런데 이 무렵에 브람스의 어머니는 남편과 헤어져 혼자 살고 있다가 갑자기 중풍으로 쓰러졌다. 브람스는 급히 달려가서 식어 가기 시작한 어머니의 손과 아버지의 손을 맞잡게 해주었다. 어머니는 뜨거운 눈물을 흘렸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얼마 후 이승을 하직하고 말았다. 그것은 1865년 2월 2일의 일이다. 이때 브람스는 슬픔에 잠긴 채 《독일 레퀴엠》의 일부를 이루는 구슬픈 선율을 착상했던 것이다. 요아힘은 이 멜로디를 격찬하여 '지극한 효성에 의해 이토록 아름답게 승화된 고상한 작품은 지금까지 없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피콜로/플루트2/오보에2/클라리넷2/바순2/콘트라바순(애드리브 연주)/호른4/트럼펫2/트롬본3/튜바/팀파니/하프/현5부/오르간(애드리브 연주)
하프가 처음으로 들어갔고, 튜바는 교향곡 2번 이외에 들어간 거의 유일한 곡이다.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징베라인, 군들라 야노비츠, 호세 반 담)(1978년 실황)
1. 개요
요하네스 브람스가 1860년부터 시작해 8년에 걸쳐 작곡한 끝에 완성된 작품이다. 이 작품의 많이 회자되는 작곡 동기로는 슈만의 죽음에 대한 애도, 또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의 의미로 작곡되었다고 한다. 어머니가 죽기 전부터 이 작품을 시작했기 때문에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라는 의도는 안 맞을지도 모르지만, 어머니의 죽음이 이 곡의 일부분에 영향을 미친 건 분명하다.
이 곡의 제목에 붙은 '독일'이라는 말의 의미는 독일어로 된 레퀴엠이란 의미다. [1] 전통적인 가톨릭 교회의 레퀴엠 전례문이 라틴어 가사인것과는 달리 브람스는 마르틴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성서에서 자신이 직접 성서 구절들을 선정하여 이 곡을 작곡했다. 그러나 브람스는 "독일이란 말을 세계로 바꿔도 괜찮을 것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보면 브람스는 전 세계 사람들을 위한 보편적 의미의 레퀴엠을 작곡했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이 작품에 대해 클라라 슈만은 "저는 당신의 '레퀴엠'에 정말 매혹되고 말았습니다. 그 곡이 지닌 이상한 힘은, 듣는 사람을 감동시키고야 맙니다. 그것은 보기 드물게 훌륭한 작품입니다. 장엄하고 시적인 그 음악에는 사람들을 흥분하게하고 차분히 가라앉게도 하는 그 무엇이 있는 것입니다."라고 브람스에게 편지를 보내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빈에서 처음으로 초반부 3개의 곡만을 초연했지만, 이 때는 팀파니 주자의 잦은 실수로 결국 연주회는 실패로 돌아가고 만다. 그 이후 브레멘에서는 연주에서는 곡은 2부로 나뉘어 연주되었다. 이때에는 여섯 개의 곡이 연주되었다. 처음의 4악장과 마지막의 2악장 사이에 당시의 관습에 따라 요아힘과 그의 아내 아말리에가 헨델과 탈티니와 바하 및 슈만의 곡을 연주했다.
그런데 이 무렵에 브람스의 어머니는 남편과 헤어져 혼자 살고 있다가 갑자기 중풍으로 쓰러졌다. 브람스는 급히 달려가서 식어 가기 시작한 어머니의 손과 아버지의 손을 맞잡게 해주었다. 어머니는 뜨거운 눈물을 흘렸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얼마 후 이승을 하직하고 말았다. 그것은 1865년 2월 2일의 일이다. 이때 브람스는 슬픔에 잠긴 채 《독일 레퀴엠》의 일부를 이루는 구슬픈 선율을 착상했던 것이다. 요아힘은 이 멜로디를 격찬하여 '지극한 효성에 의해 이토록 아름답게 승화된 고상한 작품은 지금까지 없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2. 악기 편성
피콜로/플루트2/오보에2/클라리넷2/바순2/콘트라바순(애드리브 연주)/호른4/트럼펫2/트롬본3/튜바/팀파니/하프/현5부/오르간(애드리브 연주)
하프가 처음으로 들어갔고, 튜바는 교향곡 2번 이외에 들어간 거의 유일한 곡이다.
3. 곡의 구성
- 제1곡: Selig sind, die da Leid tragen (될 수 있는 대로 느리게, 표정을 붙여서)
- 제2곡: Denn alles Fleisch, es ist wie Gras (느리게, 행진곡풍으로)
가사는 베드로의 첫째 서간 1장 24절, 야고보 서간 5장 7절, 베드로의 첫째 서간 1장 24절, 이사야서 35장 10절 순이다.
- 제3곡: Herr, lehre doch mich (Andante moderato)
가사는 시편 제39편 5-8절, 지혜서 3장 1절 순이다.
- 제4곡: Wie lieblich sind Deine Wohnungen, Herr Zebaoth! (Con moto moderato)
가사는 시편 제84편 2-3절과 5절이며, 하늘 나라의 천사 노래 소리와 평화의 찬가가 높이 불려진다.
- 제5곡: Ihr habt nun Traurigkeit (Andante)
가사는 요한 복음서 16장 22절, 이사야서 66장 13절, 집회서 51장 27절 순. 이 악장은 다른 악장이 완성된 다음 해에 함부르크에서 써서 덧붙인 것이다.
- 제6곡: Denn wir haben hie keine bleibende Statt (Andante)
- 제7곡: Selig sind die Toten, die in dem Herrn sterben (Maestoso)
가사는 요한묵시록 14장 13절. 죽은 이는 영원한 휴식으로 들어가고, 승천한 사람들의 행복을 기원한다.
[1] 곡 제목대로 당연히 독일어로 불러야겠지만 타 언어로 바꿔서 연주한 경우도 있다. 2차 대전 당시 독일에 대한 반감이 극심하던 미국에서는 이 독일레퀴엠의 가사를 영어로 번역해서 연주했다. (토스카니니 등의 녹음반이 남아있다.) 심지어 브루노 발터는 이탈리아어로 바꿔서 연주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