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 사이트
[image]
2011 GSTL Mar. 부터 사용되는 제작맵. 제작자는 Lunatic Sounds(LSprime).
초원지대 타일과 용암지대 타일이 혼합되어 있는 특수한 맵타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맵 이름도 듀얼 사이트.
젤나가 감시탑의 모델도 기존의 모델과는 다르게 비활성시에는 작은 관문 모델이며 활성화되면 차원관문 모델로 변한다.
중앙에 힘싸움을 벌일 수 있는 넓은 평지가 있지만, 좁은 길목이 많고 중앙 감시탑이 의료선이나 차원 분광기의 경로를 파악할 수 없어 정신없는 견제전이 펼쳐진다. 그리고 풍부한 광물지대에 미네랄 덩어리가 5개 밖에 없어 3종족 중 이 풍부한 광물지대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지게로봇이 있는 테란.
그래서 테란맵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아직 나온 지 얼마 안 된 맵이므로 더 살펴봐야 하겠지만, 좁은 길목을 공격하거나 방어하는데에 공성전차의 위력이 너무 좋고 의료선 견제는 뼈아픈데다가 풍부한 광물지대 지게로봇의 효율 또한 너무 좋다.
'''듀얼사이트(P:T=50:50, P:Z=37.5:62.5, Z:T=61.1:38.9)'''
그렇지만 결론은 '''저그맵'''. 다양한 이동경로와 멀티가 대부분 개방형이라 공격에 취약한 점이 빠른 속도로 견제하는 뮤링을 막아내기 힘들기 때문이다. 많은 테란과 프로토스들이 이 맵에서 저그에게 고배를 마시고 있다. 특히 박수호가 이 맵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서 '수호 사이트'란 이름까지 붙었다. 벨시르 해안이 저그맵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먼저 나온 이 맵 또한 그런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벨시르 해안이 패치 된 이후로 두 맵이 비슷한 구조를 지니게 되었다.
또한 재미있는 사실은 이 맵에서 테테전의 최강자, 또는 테란의 최강자의 우열을 가리는 경기가 많이 나왔다는 점이다. 정종현이나 문성원이 이 경기에서 테테전에 승리함에 따라 이후 테란의 정점으로 군림했었다.
1. 상세
2011 GSTL Mar. 부터 사용되는 제작맵. 제작자는 Lunatic Sounds(LSprime).
초원지대 타일과 용암지대 타일이 혼합되어 있는 특수한 맵타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맵 이름도 듀얼 사이트.
젤나가 감시탑의 모델도 기존의 모델과는 다르게 비활성시에는 작은 관문 모델이며 활성화되면 차원관문 모델로 변한다.
중앙에 힘싸움을 벌일 수 있는 넓은 평지가 있지만, 좁은 길목이 많고 중앙 감시탑이 의료선이나 차원 분광기의 경로를 파악할 수 없어 정신없는 견제전이 펼쳐진다. 그리고 풍부한 광물지대에 미네랄 덩어리가 5개 밖에 없어 3종족 중 이 풍부한 광물지대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지게로봇이 있는 테란.
그래서 테란맵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아직 나온 지 얼마 안 된 맵이므로 더 살펴봐야 하겠지만, 좁은 길목을 공격하거나 방어하는데에 공성전차의 위력이 너무 좋고 의료선 견제는 뼈아픈데다가 풍부한 광물지대 지게로봇의 효율 또한 너무 좋다.
'''듀얼사이트(P:T=50:50, P:Z=37.5:62.5, Z:T=61.1:38.9)'''
그렇지만 결론은 '''저그맵'''. 다양한 이동경로와 멀티가 대부분 개방형이라 공격에 취약한 점이 빠른 속도로 견제하는 뮤링을 막아내기 힘들기 때문이다. 많은 테란과 프로토스들이 이 맵에서 저그에게 고배를 마시고 있다. 특히 박수호가 이 맵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서 '수호 사이트'란 이름까지 붙었다. 벨시르 해안이 저그맵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먼저 나온 이 맵 또한 그런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벨시르 해안이 패치 된 이후로 두 맵이 비슷한 구조를 지니게 되었다.
또한 재미있는 사실은 이 맵에서 테테전의 최강자, 또는 테란의 최강자의 우열을 가리는 경기가 많이 나왔다는 점이다. 정종현이나 문성원이 이 경기에서 테테전에 승리함에 따라 이후 테란의 정점으로 군림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