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애로우
Robin Arrow. 나중에 쏜 화살이 먼저 쏜 화살을 맞혀서 쪼개고 들어가는 것/꽂히는 것이다. 외국에서는 보통 로빈 후드 샷이나, 스플릿 애로우라고 칭한다.
원 출처는 '로빈 후드'로, 나중에 쏜 화살이 앞의 화살을 반으로 쪼개고 과녁에 꽂혔다. 그래서 스플릿 애로우인 것인데, 현대에는 그냥 앞선 화살 뒤꽁무니에 틀어박히면 로빈 애로우라고 부른다.
어지간해서는 보기 힘들어야 정상이지만, '''태릉선수촌 양궁장에 가면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고 한다'''. 많이 쏘다 보면 활 실력에 상관없이 발생하는 게 신기한 일은 아니다. 화살값이 화살값인지라 실제로 발생하면 기분 더럽다. 본격적인 화살 한 발에 1만원이 넘는데 공식전에서 나온 경우는 김수녕 선수가 중학생 시절 국내 대회에서 화살 뒤를 정확히 맞혀서 두 화살을 이어 붙인 적이 있다. 현재 자택에 그 화살을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1985~1986년 경 신문기사를 찾아 보면 나올 듯 싶다(올림픽 꿈나무 어쩌고 해서 조선일보에 가십 기사로 조그맣게 나온 적 있음). 현재는 서울올림픽기념관에 박성현 선수의 로빈애로우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나중에 쏜 화살의 점수는 먼저 쏜 화살의 점수와 동일하게 부여된다.
원 출처는 '로빈 후드'로, 나중에 쏜 화살이 앞의 화살을 반으로 쪼개고 과녁에 꽂혔다. 그래서 스플릿 애로우인 것인데, 현대에는 그냥 앞선 화살 뒤꽁무니에 틀어박히면 로빈 애로우라고 부른다.
어지간해서는 보기 힘들어야 정상이지만, '''태릉선수촌 양궁장에 가면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고 한다'''. 많이 쏘다 보면 활 실력에 상관없이 발생하는 게 신기한 일은 아니다. 화살값이 화살값인지라 실제로 발생하면 기분 더럽다. 본격적인 화살 한 발에 1만원이 넘는데 공식전에서 나온 경우는 김수녕 선수가 중학생 시절 국내 대회에서 화살 뒤를 정확히 맞혀서 두 화살을 이어 붙인 적이 있다. 현재 자택에 그 화살을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1985~1986년 경 신문기사를 찾아 보면 나올 듯 싶다(올림픽 꿈나무 어쩌고 해서 조선일보에 가십 기사로 조그맣게 나온 적 있음). 현재는 서울올림픽기념관에 박성현 선수의 로빈애로우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나중에 쏜 화살의 점수는 먼저 쏜 화살의 점수와 동일하게 부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