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피(젤다의 전설 시리즈)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서의 루피. 각각 1, 5, 300, 50, 20, 100 루피다.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서의 화폐 단위. 다이아몬드 혹은 각지고 길쭉한 수정같이 생겼다. 여러 입수법이 있지만 주로 풀을 베면 나오기 때문에 젤다의 전설을 '본격 풀베는 게임'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풀 이외에도 항아리를 부수거나 몬스터를 잡거나 상자를 뒤지면 나올때가 있다.
색깔에 따라 가치가 다르다. 대부분의 경우 초록색은 1루피, 파란색은 5루피, 빨간색은 20루피, 보라색은 50루피이고, 시리즈에 따라서 노란색의 10루피, 은색 이외의 커다란 초록색의 100루피 등도 존재한다. 어떤 원리인지는 알 수 없지만 검은색의 도둑 루피(rupoor)는 입수하면 오히려 돈이 줄어든다.[1] 그 이외의 황금 루피등의 루피의 가치는 작품마다 다르다.
초대 젤다의 전설에선 화폐로의 기능 이외에도 화살을 쏠 때마다 루피수가 줄어드는 걸 볼 수 있는데, 초대 젤다 한정으로 '''루피를 화살촉 대용으로 쓰는 거 아닌가?'''하는 의견도 있다.
대부분의 시리즈에서 사용되나, 링크의 모험4개의 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스카이워드 소드에서 루피의 기원이 나오는데, 생긴 것 그대로 보석이다. 땅에 루피 원석이 있고, 이걸 캐 사용하는 것. 가치가 높은 루피는 그만큼 원석이 희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몇 천년이 훌쩍 넘는 세월동안 꾸준히 화폐로 쓰이는 걸 보면 참 많이도 매장되어있던지 아니면 지폐에 비해 내구도가 상당해 계속해서 시장에서 순환되어서 인걸 수 도 있다. 실제로 한번 멸망테크를 탄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시점에서도 루피는 어느 곳에서든 화폐로 쓰인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서는 더 이상 풀베기로는 얻을 수 없다. 여러모로 현실성이 강해진 작품 특성상 풀만 베면 돈이 나온다는 설정을 그대로 차용하는게 맞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작에서 풀을 베면 쌀과 밀, 메뚜기와 도마뱀, 요정 등이 나온다. 대신 바위를 들추면 루피가 가끔 나올 때가 있고, 철 상자를 파괴해도 안에 루피가 있을 때가 있다. 그 외에도 보물 상자에서 나오는 아이템 중 루피가 있다. 또 게임 내에서 여러가지 상거래가 가능해져서 굳이 풀을 벨 필요없이 상인 NPC들에게 가지고 있는 소재나 직접 만든 요리등을 판매[2]해서 총 999999루피까지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는 특수한 힘까지 있는지 대요정의 샘에 있는 대요정 4자매와 말의 신인 마용은 사람들이 진상하는 루피를 받지 못해서 힘을 잃어가고 있었다고 한다.
이와는 별도로 금화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황혼의 공주에 등장하는 조반니의 집에 가 보면 하이랄 문양이 찍힌 금화가 잔뜩 있다. 허나 링크는 항상 루피만을 사용하는데, 하이랄 왕국에서 발행한 금화가 하이랄 왕국 주민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것에 비해 루피는 젤다의 전설 세계관 어디서든지 통용되는 화폐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는 몬이라는 별개의 화폐도 있다. 루피와 달리 이는 킬튼의 몬스터 상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몬스터 숍에서 몬스터가 떨구는 소재로 환전이 가능하다. 보라색이며 킬튼의 몬스터숍은 사람이 찾아오지 않고 대개 몬스터들이 찾아온다고 한다.
그냥 단순히 보석이 아니라 영적 에센스를 담은 일종의 영석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는 젤다의 전설 시리즈를 통틀어 생명을 담보로 루피를 얻거나, 마법 갑주의 연료로 사용되거나, 대요정의 힘의 원천이 되는 등의 묘사가 자주 있기 때문이다. 물론 게임이라는 특성상 대체할만한 다른 자원이 없기 때문일 가능성도 있지만.

2. 관련 문서






[1] 물론 그걸 얻은 주인공의 얼굴은 영 좋지 않다.[2] 예를 들어 라이넬의 간 4개 + 원기메뚜기 1마리 조합으로 만든 원기물약은 약효과는 별로지만 상점에서 무려 2250~2300루피에 매입을 해주는데, 이건 소재를 따로 팔 때보다 무려 3배에 가까운 금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