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방빌딩(1990)
[clearfix]
1. 개요
중국의 호러 애니메이션.
2. 개봉 전 정보
본래 기획하려던 분량이 26화인 점, 수커와 뻬이타의 모험기 상영 종료 후에 상영했다는 점, 원작의 초판 발행 연도가 1984년이라는 점으로 인해 1980년대 중후반에 제작에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다.
3. 등장인물
4. 줄거리
4.1. 전반부
- 1화: 피피루와 성격이 닮은 주인공 라이커의 마방빌딩 입장 에피소드이다. 해당 회차에서 등장한 라이커의 어머니는 2화에서 라이커의 회상으로 등장하고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1990년 상영.
- 2화: 아이들이 도시를 통치하는 장소에서 라이커가 시장으로 지내는 정치물. 1991년 상영.
- 3화: 러러러의 비중 하락 시작. 회귀물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1991년 상영.
- 4화: 곤충들의 전쟁물. 거루 첫 등장. 1991년~1992년 상영.
4.2. 중후반부
- 5화: 러러러와 재회하며 거루, 러러러의 비중이 라이커와 비슷라게 높게 나왔다. 1992년 상영.
- 6화: 러러러는 초반부에 라이커를 쏘아올리고 하차. 1992년 상영.
- 7화: 질병, 분노, 슬픔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두는 은행 샤허은행에 가는 이야기. 이상야릇이 등장한다. 1992년 상영.
- 8화: 거루와 재회. 경찰들에게 추적당하는 라이커와 거루의 이야기. 1992년~1993년 상영.
- 9화: 원작에서의 경마회 에피소드와 이름만 공유. SF 색채가 매우 짙은 편에 속한다. 1993년 상영.
- 10화: 밴드 검은 매미 악단과 라이커의 창의력 발휘 에피소드. 거루와 러러러는 등장하지 않는다. 1994년 상영.
5. 평가
연출과 성우의 연기 퀄리티가 좋은 편이나, 전체적인 분위기가 슈크와 베타에 비해 어둡고 더 사회의 면을 직접적으로 보여줬다.
6. 기타
- 라이커가 마방빌딩으로 입장한 시각은 14시 즈음 이후이다.
- 에피소드 중에서 '깡통에 담긴 엄마아빠' 편이 가장 인기가 많다.
- 원작과 전개의 차이가 심하고 조기 종영 때문에 떡밥도 어느 정도 있는데 2화 후반부에서 자동차 기사의 정체 정도가 있다.
- 2008년 쓰촨성 대지진의 발생 날짜가 3화에서 유난히 강조하는 날짜와 같으며 1화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는 유리사람의 말로 인해 화제가 된 적 있었다.
- 주연의 성우는 5화를 제외하고서 아역 시절의 자이웨이 등이 담당했다. 5화에서는 '야오페이화'라는 전문 성우가 주인공 라이커를 맡았다.
- 상영 이후 전반부 내용이 수록된 1992년과 1999년에 걸쳐 필름북 비슷한 형식인 양장본 서적 2권으로 제작되었다. 즉, 1992년에는 전반부 에피소드는 이미 완성되어 상영되어 있었다. 출판사는 중국영화출판사(中国电影出版社). 그림은 루씨씨 기우기와 동일하게 감독인 자칸이 담당했다.
- 상하이 애니메이션 필름 스튜디오가 마지막으로 참여한 정위엔지에 작품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 2019년 슈크베타 공개 이전까지 캐릭터 디자인이 애니메이션 자체 디자인인 마지막 정위엔지에 원작 애니메이션이다.
- 조롱박형제 시리즈, 수커와 뻬이타의 모험기 구판 등의 동 제작사의 작품들에서 참여했던 성우들이 배역에 참가한 것으로 보인다. 4화 4분 30초 즈음에 등장하는 적 세력의 단역 캐릭터, 대다수의 여캐[6] 등.
- 이상하게도 전반부와 후반부의 도시들은 차이가 분명한데 전반부의 도시들은 동화책에 나올 법한 분위기에 그다지 현대적이지 않으나 후반부는 레이더[7] 와 텔레비전이 나오는 등[8] 현대적인 도시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표기할 때는 움직이는 대상이 매우 빨라진다. 1화 초반부의 유리 사람 군인들과 라이커, 10화 중간 부분과 후반부의 새들이 날아가는 장면 등.
- 한 연도에서 다음 연도로 넘어갈 때까지 2~3편 걸린다. 즉, 본래 진행되려고 했던 회차인 11화~26화는 본래 계획으로는 1995년대 후반에 상영될 예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 상영한지 몇 년이 지난 이후 1화에 라이커가 분풀이로 큐브를 돌리는 장면의 셀화가 공개되었다.
6.1. 원작과 차이점
1985년판 소설판을 연상케하는 뭔가 어린아이가 그린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캐릭터 디자인과 싸늘한 색감에 초중반부가 어둡고 후반부의 내용이 밝은데다가 막장 도시를 상세히 묘사한 것이 시너지를 일으켜 원작과 괴리감이 많이 생기고 말았다. 하지만 해석이 갈리는 풍자 요소는 여전한데, 2회, 8회는 그 정점을 찍었다.
- 1화: 초반부의 나용은 각색이 있긴 있어도 약간 정도를 거쳤으며, 중후반부에서는 내용이 확연히 갈렸으며 라이커의 마방빌딩 입장 장면이 다르게 묘사되었다. 원작 1권 요리 도시 편의 초반부에서 라이커를 반기는 유리 사람 어린이 삼총사는 1화 라이커를 경계하는 경비 삼총사가 포지션을 대체했다. 러러러는 원작에서 1화 극초반부터 등장하나 애니판에서는 1화 중반부부터 만났다. 또한 작중 장소인 유리 도시가 원작에 비해 더 처참한 상태로 나온다.
- 2화에서 폭우 장면이 추가되었고 성인들을 깡통에 꺼내는 장면들의 묘사도 살짝 다르다. 이외 전개는 원작과 차이는 크게 없다.
- 7화: 샤오미타오가 추가되었다.
6.2. 11회 이후 회차의 공중분해
본래 원작과 동일함 회차인 26회로 기획된 애니메이션이었다. 하지만 예산, 노골적인 사회 비판[10] 등의 모종의 사유로 인해 조기 종영되고 11회 이후의 에피소드의 제작은 공중분해되고 말았다. 2010년대에 정위엔지에와 제작사와의 수커와 뻬이타의 모험기 구판에 대한 저작권, 판권 분쟁이 일어나 상애니와 정위엔지에는 사이가 틀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11화~26화의 제작은 사실상 불가능해진 일이 되었으며 상애니 공식 영상에서도 정위엔지에 캐릭터들이 등장 빈도가 낮아졌다.또 보자. [9]
10화 최후반부 문구.
7. 둘러보기
[1] 시리즈 구성 작가 중 한 명인 정위엔지에에 따르면 본래 호러를 의도하고 만든 게 아니었다고 한다.(...)[2] 더빙 감독.[3] 전작 슈크와 베타에서 페이페이를 맡았다.[4] 슈크와 베타 구작처럼 몇 개월에 한 번씩 상영했다.[5] 원작 제목은 폭발 후(爆炸之后).[6] 홍하이톈.[7] 6화 별자리호에서 사용된다.[8] 7화 샤허은행 편에서 라이커가 사용한다.[9] 再见.[10] 수커와 뻬이타의 모험기 애니메이션판과 달리 대다수 등장인물이 인간형인데다가 여러 마을의 문제점 묘사가 상세히 드러난다. 2화는 아이와 어른이 역전된 세상과 정치 요소도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