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1. 개요
2. 일본어 번역체에서의 오용
3. 관련 문서


1. 개요


'모처럼'은 부사로, ① '단단히 준비해서 처음으로', 또는 ② '오래간만에'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2. 일본어 번역체에서의 오용


사실 이 '모처럼' 문서가 작성된 핵심 이유이다. 일본어에는 'せっかくだから'[1]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게 '모처럼'에 해당하는 'せっかく' 뒤에 '~이니까'를 뜻하는 'だから'가 붙은 것이다. 이 때문에 일본발 창작물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특히 아마추어 번역가들이 ''''모처럼이니까'''', ''''모처럼인데'''' 등으로 번역하는 일이 매우 잦다. 그러나 번역이라는 것은 결국 내용의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 결과 언어의 표현이 자연스러워야 제대로 된 번역이다. 따라서 이 표현을 '모처럼이니까' 등으로 '모처럼'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의 활용형을 붙이는 것은 상당히 어색한 방식이다.
사실, 한국어에서는 'せっかくだから'에 해당하는 표현이 없다시피하고, 의역할 수 있다 한들 그 상황에서 해당 표현이 좀처럼 쓰지 않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그러한 맥락에서 어떤 표현을 쓰더라도 정형화된 표현 없이 적당히 에둘러 표현해야 하는 일이 많다. 번역자 입장에서도 선뜻 마땅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으니 번역투가 발생하기 마련이다.[2] 이 같은 '어휘 공백'에 따른 난점은 번역에서 흔히 일어나고, 심지어 같은 언어의 방언 간의 번역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그나마 범용적으로 써 볼 법한 표현으로는 ''''이참에'''' 및 ''''이 기회에''''가 있고, 그 외엔 맥락에 따라 ''''겸사겸사'''', ''''날도 괜찮은데'''', ''''기분도 낼 겸'''' 등 다양하게 번역할 수 있다. 이 말은 곧 이 같은 한국어 표현들을 일본어로 옮길 때에도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그냥 'せっかくだから'로만 표현해도 괜찮다는 뜻이기도 하니, 쌍방향 번역 시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3. 관련 문서


[1] 발음은 '셋까꾸다까라' 정도이다.[2] 유달리 정형화된 번역투는 대체로 이 때문에 생긴다. 도착 언어에 마땅히 정형화된 표현이 없거나, 심하면 아예 그러한 맥락에서 쓸 법한 표현 자체가 없는 때이다. 'せっかくだから'는 후자에 가깝다. 실제로 일본인들이 'せっかくだから'라고 말할 법한 상황에서 한국인들은 이 어구에 해당하는 별다른 말을 하지 않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는 편이다. 이 표현뿐 아니라 'せっかく' 뒤에 뭐가 덧붙는 것은 전부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