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기

 


'''박현기
朴炫基 | Park Hyunki'''


<colbgcolor=#d5d3cd> '''출생'''
1942년 오사카
'''사망'''
2000년 1월 13일 (향년 59세)
'''국적'''
대한민국 [image]
'''직업'''
비디오 아티스트, 화가, 설치미술가, 행위예술가
'''학력'''
능인중학교, 대구공고, 홍익대 건축과
1. 소개
2. 생애
3. 작품
3.1. 물 기울기
3.2. TV 돌탑
3.3. 만다라
4. 여담

[clearfix]

1. 소개


"다만, 테크놀로지는 나의 손에서 인간적으로 변모되길 바란다."

1999.7.27 박현기[1]

대한민국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탈-테크놀로지를 얘기했던 전위예술가.
서구의 비디오 아트가 기계와 기술에 탐닉하는 반면, 박현기는 명상적 영상들을 통해, 비디오라는 새로운 기술을 동양적 정신문화를 표현하는 단순한 수단으로 해석하였다. 때문에 한국적 미니멀 비디오 아트의 새로운 지평을 창조했다고 평가받는다.

2. 생애


박현기는 백남준과는 또 다른 ‘한국적 비디오 아트의 대부’라 일컬어지는 작가다. 그는 1942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으나, 유년시절은 한국에서 보냈다. 1945년 미국의 핵폭탄 투여가 임박했다는 얘기를 듣고 그의 가족들이 한국으로 도망쳐 대구에 정착하였던 것이다. 이후 1961년 홍익대 미술대학 서양화과에 입학했다가 1964년 건축으로 전과해 졸업했다. 그는 졸업 후 고향인 대구로 내려가 실내장식 인테리어 회사를 운영하였는데, 당시 교우관계를 맺고 있던 이강소 최병소 김영진 등과 함께 토론하고 작업하면서 '대구현대미술제'의 창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던 중 그는 1974년 대구 미국문화원 도서관에서 백남준의 ‘지구의 축(Global Groove)’ 영상을 접하고 큰 충격을 받게 된다. 처음에는 〈포플러 이벤트〉 같이 설치미술을 먼저 시작하였으나, 이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비디오 기술을 본격적으로 습득했고, 이내 비디오를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수많은 전시에 참여하며 돌, 침목, 모니터 등의 오브제가 뒤섞이고 교차하는 설치 작품을 남겼다.
1979년 박현기는 대구 현대미술제에 TV 속 물고기가 어항 속에서 유영하는 것처럼 보이는 〈TV 어항〉을 출품했다. 〈TV 어항〉은 TV 모니터의 프레임이 마치 어항처럼 착각을 일으키게 해, 비평가들로부터 ‘비디오로 그리는 동양화’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러한 미술계의 관심을 통해 박현기는 1979년 상파울루비엔날레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고, 이 때 발표한 〈TV 돌탑〉[2]과 〈물 기울기〉 퍼포먼스가 비엔날레에서 큰 주목을 받는다. 이 성공에 힘입어 1980년 파리비엔날레에서는 동일 작품을 다시 출품하기도 하였다. 비엔날레에서의 2번 성공은 그를 국제적으로 활약할 수 있는 지명도를 갖게 해 주었으며, 1980년대 중반부터는 국내보다 도쿄, 오사카, 타이페이 등 외국에서 수차례 전시를 가지게 되었다.
그는 설치 예술 뿐 아니라 직접 예술적 퍼포먼스를 진행하는 행위 예술가로서도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대구에 기반을 둔 우방, 청구 등 건설회사와 일하면서 인테리어 사업이 번창하자게 되자, 예술에 더 많은 돈을 쏟아부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자신이 하고 싶은 다양한 시도들을 할 수 있게 된 것. 1981년 〈도심을 지나며(Pass through the city)〉(1981, 대구 도심)에서는 화랑의 벽을 부수고 대형 모형 돌을 설치하였고, 대구 시내 한복판에서 대형 트레일러에 거울을 단 모형 돌을 싣고 한일로를 관통하여 달렸다. 또 도심 곳곳에는 거울을 붙인 돌들을 설치하여, 시민들을 비춤으로써, 돌이 돌인지, 누가 누구를 바라보는 것인지 모를 반영과 반전의 관찰자의 시선으로 이 프로젝트를 완성시켰다. 1982년 대구 근교 낙동강변에서는 1박 2일 동안 진행한 퍼포먼스 시리즈 〈전달자로서의 미디어(Media as Translators)〉를 펼쳤는데, 여기서 그는 쓰레기더미 속에 모니터 심기, 강변에 TV 돌탑 쌓기, 심지어 거대한 원형 공간에 불을 지르고 그 내부에 작가 자신이 나체로 들어가는 행위를 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 광주비엔날레 등의 국제 현대미술 전시회가 개최되면서 비디오 아트에 대한 열풍이 일게 되고, 박현기의 활동은 다시 주목받게 된다. 그리고 1997년 박현기는 ‘만다라’ 시리즈와 ‘현현’ 시리즈 등의 대표작을 쏟아내며 전성기를 누린다. 우주의 진리를 표상하는 ‘만다라’의 형상은 포르노그래프 잡지 사진을 재편집한 것이다. 잔잔히 흐르는 물결을 무심하게 담아낸 ‘현현’ 시리즈는 만다라의 화려한 역동성과 대조를 이루며, 명상적인 세계로 관객을 인도한다. 이렇게 활발히 활동을 하던 중 갑작스레 위암 판정을 받고 2000년 59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박현기는 비록 백남준의 작품을 통해 비디오에 관심을 갖고 입문하게 되지만, 그의 비디오 아트 세계는 서구의 것과는 다른 면이 있다. 그는 디지털 스토리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TV를 캔버스처럼 활용해 작품을 만들어서 당시 화단에 큰 충격을 줬다. 비디오라는 뉴테크놀로지를 매개로 동양의 정신을 표현함과 동시에, 비디오 그 자체를 서구과학의 한계를 지적하는 도구로 사용하였다.

3. 작품



3.1. 물 기울기



3.2. TV 돌탑



3.3. 만다라



4. 여담


  • >“그(박현기)는 비디오를 통해 전통과 우리 것을 고수하고자 애썼거니와 이들은 엄밀히 ‘한국적’ 비디오이기보다는 ‘박현기적 비디오’라 불러야 마땅할 것이다. 박현기는 한국 비디오아트의 외로운 선구자로 남아 있지만 그가 척박한 땅에 쌓아 올린 비디오 탑은 그래서 오늘 더욱 굳건하고 드높아 보인다.”
>
>강태희, 〈박현기의 비디오와 오브제〉, 2010년 갤러리현대 개인전 중에서...
[1] 며칠 뒤 병원에 위암 판정을 받고 2000년 1월 세상을 떠난다.[2] 마이산 돌탑을 보고 와서 기획했다고 한다. 태고의 시간과 공간을 포용하는 자연의 돌과 첨단 테크놀로지인 인공의 TV 모니터가 서로 긴장과 대립을 이루면서 공존하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