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관참모
- 한자: 副官參謀
- 영어: an adjutant general
1. 개요
장성급 장교가 지휘하는 부대에 있던 참모부이다. 지휘관의 개인(또는 특별)참모 중 하나이다. 사단에는 소령급 장교가 부관참모를 했지만 14년 9월 1일, 구 부관 병과가 인사행정병과로 명칭이 바뀌고 통합되는 과정에서 부관 병과는 인사참모 계통으로 흡수되고 지금은 부관참모, 병과는 옛말이 되었다. 부관참모가 지금은 인사행정계획장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부관병과(이하 인사행정병과)는 인사관리(준/부사관과 병, 군무원) 및 상훈 및 포상, 기록물 보존 및 관리, 전사망자 처리 및 군사우편 업무 등을 대표적으로 한다. 대표적으로 병의 주특기 재분류 심의, 현역복무부적합 심사, 훈련병의 자대 분류 등은 인사행정병과가 하는 일이라고 보면 된다.
인사행정병과는 장성급 지휘관이 지휘하는 부대 이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인원이 매우 적은 병과 중 하나이다.
2. 대대, 연대
일선 대대는 인사과장이나 인사담당부사관이 한다고 볼 수 있다.
3. 사단
사단은 인사참모 밑에 인사와 인사행정으로 나눠진다. 인사는 기존 인사로 장교인사 담당 인사장교, 안전 또는 보건, 사제 업무 담당, 군 숙소, 복지 담당 등 업무를 한다고 할 수 있다. 인사행정은 인사행정병과의 참모라고 할 수 있는 보좌관이 있고 소령이다. 밑에 병 인사를 담당하는 인사장교(통상 대위)[1] , 상전업무를 담당하는 상전장교(중, 소위), 군사 우편, 기록물, 준·부사관단 인사관리 등을 담당하는 부사관이 있다.
4. 군단 이상
군단은 인사행정과라는 독립된 과가 있다.
[1] 개편 전 부관참모의 보좌관 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