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전-마산 복선전철 터널 붕괴 사고

 




'''철도사고 요약도'''
'''발생일'''
2020년 3월 18일
'''유형'''
터널 붕괴
'''원인'''
지하수 유출 예상
'''발생 위치'''
부전-마산 복선전철 낙동강 하저터널
'''탑승인원'''
-
'''피해'''
'''인명'''
-
'''차량'''
-
'''시설'''
낙동강 하저터널 약 100m 구간 붕괴('''전면 재시공 필요''')
'''기타'''
보수공사중 폭발로 1명 사망[1]
1. 개요
2. 사고의 진행과 피해
3. 사고 이후
3.1. 전면 재공사 결정
4. 기타

[clearfix]

1. 개요


2020년 3월 18일 오전 5시 2분쯤 제2공구(낙동강~사상역)의 터널 교량 공사 현장에서 지반이 침하한 사고이다.

2. 사고의 진행과 피해


지반 침하는 둘레가 50m, 깊이 20m 규모로 전해졌고 현장에 있는 작업자 3명은 침하 전에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컨테이너 건물이 내려앉았다. 이로 인해 결국 완공 일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말았다.부전-마산 복선전철 공사 현장 지반침하..인명 피해 없어


'''▲ 부전-마산 복선터널 침하 아닌 터널 붕괴??'''
'''▲ 부산-마산 터널붕괴 공사 지연에 후폭풍'''

3. 사고 이후


한편 지반침하가 일어나고 약 3개월 후인 6월, 몇몇 전문가들이 위 사건이 평범한 지반침하가 아니라 터널 붕괴로 인해 지반이 침하되었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고, 2020년 6월 5일의 조사에서 터널이 일부 붕괴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부전~마산 구간의 개통 지연이 매우 확실해졌을 뿐만 아니라, 추가 공사비용을 누가 분담할지의 문제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 연약지반 구간에 공사를 하게 한 국토부가 부담할 수도 있고, 책임 소재에 따라서는 시공사가 부담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시공사가 부담한다면 엄청난 금액이 들어갈 예정이라 굉장히 큰 부담이다. 최악의 경우에는 터널을 새로 파야하는 시나리오도 발생할 수 있다. 주변이 모두 연약지반이라 터널을 기존보다 깊게 파야 할 가능성도 있어 선로구배 문제도 추가될 뿐더러, 설상가상으로 TBM 공법은 그 특성상 이미 지어 놓은 구조물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만약 이것도 어렵다면 지상 고가로 다시 건설한다면 터널을 어거지로 뚫는 것보다는 안전하겠지만 연선의 반대와 상당히 늘어날 공사기간 때문에 매우 힘들 것 같기도 하다.[2]

현재 시설공단 측은 2021년 12월쯤 개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걸로 봐서는 새로 공사를 할 필요까지는 없고 보수공사로 가능한 것 같다. 그래도 거의 1년 가량이 연기된 상황이며 만약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면 공사기간은 더 길어질 수도 있다.
최근에 기사를 보면 터널 안 물과 흙만 빨리 빼낼수록 진행은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예상보다 피해가 상당해서 현재 답이 안나오는 상태라고 한다.낙동강 하저 구간 노선 변경 불가피
여담으로 사고 지역 인근을 지나가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도 마찬가지로 공사를 진행하던 1990년대 당시에 유독 사상구 구간에서 지반 침하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특히 1995년 5월 사상역 ~ 감전역 구간 건설당시에 지반 함몰현상 및 싱크홀 현상이 일어나 공사 중지명령까지 내려진 적이 있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역시 본래의 계획은 전 구간 지하구간 건설이었으나 강서구 일대의 지반 침하의 위험으로 인해 구포역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노선으로 계획이 바뀌었다.
SK건설이 사고 원인을 은폐하려고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

3.1. 전면 재공사 결정


2020년 7월 6일 사고 조사를 진행한 조사단은 사고 지점을 찾지 못한 채 해당 사고를 처리하였고, 해당 공사부(약 100m 구간)는 전면 철거, '''철거 이후 터널을 전면 재설계한 후에 재공사하라고 국가철도공단과 건설 주관사인 SK건설에 통보'''했다. 이로 인해 '''2021년 말로 개통이 연기'''되었고 상황에 따라선 추가로 연기될 수도 있다. #
이후 SK건설과 특수건설이 지반동결공사 계약을 맺었는데 계약 기간이 21년 10월까지인 것으로 보아, 이때쯤에 터널 복구 공사를 끝내고 시운전을 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공사가 끝나고 나서 터널을 공사해서 오래 걸린다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이 시공이 끝나야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게 아니라 사고부위가 연약지반인데 이 부분을 동결해서 연약지반 시공에 대한 어려움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서 빠르게 시공한다고 보면 된다. # 따라서 약 21년 말에 개통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고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개통이 이보다 더 늦어질 확률이 커졌다. # 이에 지자체는 개통이 연기된 만큼 추경안에 추가 예산을 반영해서 전동열차를 빨리 제작해 개통과 동시에 운행하는 계획을 하고 있다. # 다행히도 초기조사를 실시했으며, 사업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구 작업 또한 신속히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자료에 따르면 워낙 연약지반인 탓에 액화질소로 지하를 얼려 시공하는 방식을 쓴다고 한다.

4. 기타


  • 이 사고로 인해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이 2021년까지 연기되었고, 2022년으로 연기될 확률도 높아졌다.
  • 낙동강 일대가 연약지반임에도 불구하고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하저터널로 지어진 이유는, 고가로 건설하는 것을 부산광역시가 반대해서[3] 결국 한국철도시설공단(現 국가철도공단)이 돈 더 들여서 지하로 짓겠다고 결정하여서 그런 것이다.

[1] 인명 피해라고 생각될 수 있으나 본 사고가 아닌 보수 공사 도중 발생한 피해이므로 '기타' 피해에 서술.[2] 사상역이 이미 지하로 건설 완료되었고, 낙동강 하저터널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완공되었기 때문에 지상으로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억지로 지상으로 올린다고 해도 공사기간이 늘어나 개통이 2021년 말보다 더 연기된다.[3] 이미 부산김해경전철이 고가로 지나가는데 여기에 부전마산선까지 지나가면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에서였다. 사상구 괘법동 주민들의 반대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