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호박
四肢互博
야심작 정열맨에 등장하는 무공. 김용의 영웅문 3부작에서 노완동이 창안한 사기무공 쌍수호박의 상위호환으로, 말 그대로 사지를 모두 이용해 한번에 네 가지 무공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1][2]
최초 사용자는 추자풍. 그런데 수련의 시작인 한손으로 동그라미를 그리면서 한손으로는 네모를 '''흐트러짐 없이''' 그려내는 것을 추자풍은 1년만에 겨우 마스터 하였으나[3] 허새만과 김정열은 '''단 한큐에 해내버렸다.''' 거기다가 김정열은 한손으론 별, 나머지 한손으로는 하트를 그리는 것을 동시에 하고 거기에 발가락으로 종이학까지 접는 비범한 모습을 보인다.[4]
이후 허새만이 백호신공으로 이전에 자신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힌 최우장과 김정열에게 복수하려던 원수현을 상대로 봉각용, 봉시참, 봉황독립, 봉황신장으로 삼발백호육탐을 막아내고 날려보냈다.
다만 특성상 한번의 출수에 사지를 모두 쓰기 때문에 뒤가 없으므로 공격용으로는 쓸 수 없다. 공격이 빗나가기라도 하면 후에 적의 공격에 그냥 맞아야해서 추자풍과 허새만도 방어 및 반격으로만 썼다.
[1] 봉황신장, 봉황독립, 봉황탐조, 봉각용을 한꺼번에 사용해 최우장과 최해태를 막았다.[2] 야심작 정열맨 말고도 쌍수호박의 상위호환에 해당되는 무공이 나오는 무협소설이 꽤 있다. 사마달의 무협소설 절대무후에 등장하는 십뇌마공과 제갈천의 무협소설 신품무제에 나오는 천황심법. 십뇌마공, 천황심법, 쌍수호박 모두 분심이용, 즉 마음을 둘로 나누는 것은 같지만, 십뇌마공은 '''한번에 마음을 10개로 나눌 수가 있고, 한번에 10가지의 무공을 전개가 가능한''' 사실상 쌍수호박과는 비교 자체가 안되는 수준의 무공이며, 천황심법은 아예 십뇌마공의 10배 가량에 해당되는 '''마음을 100여가지로 나누는 것이 가능한 무공이다.'''[3] 최무홍과 싸웠던 시기에는 익히지 못하고, 이발소에서 은둔생활을 하는 동안 연마했다고 한다. 본인의 말로는 머리에는 물항아리를 이고, 왼손으로 농구공을 돌리고, 오른손으론 탁구를 치며, 두 다리로 양발 제기를 할 수 있는 경지가 되어야 비로소 익힐 수 있다고 했지만... [4] 이를 본 추자풍은 백지에 무엇이든 쓰고 그릴수 있듯이 텅 빈 머리일수록 무공 수련에 최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 예로 김용 소설에서 쌍수호박을 배울 때 곽정과 소용녀는 금방 배웠지만 머리 쓰는 다른 사람들은 배우지 못했다. 그런데 텅 빈 머리일수록 세련된 무공은 잘 배우지 못한다. 곽정이 이 때문에 강남칠괴의 무공을 잘 배우지 못해 마옥의 도움을 받아서야 겨우 익혔고, 항룡십팔장 같은 단순한 무공은 빨리 익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