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론적 역학

 


1. 개요
2. 자유 입자
3. 해석역학을 도입한 접근
4. 관련 문서


1. 개요


Relativistic Dynamics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다루어지는 역학. 로런츠 불변성과 같은 원리에서 도출된다.

2. 자유 입자


3차원의 경우에서 속도는 $$x$$ 성분만으로는 부족하고 총 세 개의 성분이 필요하다. 한편 상대성 이론 아래에선 네 개의 성분이 필요하다. 로런츠 불변성을 고려할 때, 뭐가 좋을까? 사실 속도의 경우 딱히 적당한 값은 없다. 아니 사실 우리가 뉴턴 역학에서 알고 있던 그 속도는 상대성 이론에서 올바른 벡터가 되기 힘들다. 다만 그 속도가 $$\gamma$$를 곱해 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리고 여기서 0번째 성분을 $$c\gamma$$로 잡아주면, 이렇게 해서 얻은 네 성분들은 상대성 이론에서의 잘 정의된 벡터가 될 수 있다. 즉,
$$u^\mu = (c\gamma, \gamma v_x, \gamma v_y, \gamma v_z) \;\;\; (\gamma = \dfrac{1} {\sqrt{1 - \dfrac{{v_x}^2 + {v_y}^2 + {v_z}^2} {c^2}}})$$
는 잘 정의된 사차원 벡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벡터를 가리켜 '''사차원 속도 벡터'''라고 부른다. 사실 이 벡터는 이렇게 정의된 것과 똑같다.
$$u^\mu = \dfrac{dx^\mu}{d \tau}$$
여기서 $$\tau$$는 고유 시간(proper time)으로, 해당 속도와 나란히 달리는 계에서 흐른 시간을 나타낸다. 고유 시간이 상대론에서 스칼라라는 것을 보일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저 양은 로런츠 변환을 잘 만족한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한편, 4차원 속도 벡터에 정지 질량(고유 질량)을 곱해 보자.[1] 이를 다음과 같이 표기하겠다.
$$p^\mu = mu^\mu = m \dfrac{dx^\mu}{d \tau} = (\gamma mc, \gamma mv_x, \gamma mv_y, \gamma mv_z)$$
이를 가리켜 '''사차원 운동량 벡터'''라고 부른다. 이것이 왜 운동량이라고 불리는지는 속도의 크기가 $$c$$에 비해 무척 작을 때 저 식을 근사해 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x$$ 성분과 0-성분만 보자. 여기서 $$\dfrac v c$$의 3차 이상의 항들을 모두 무시하면 다음을 얻는다.
[math(\begin {aligned}
\gamma mv_x & = \dfrac{1}{\sqrt{1-\dfrac {v^2} {c^2}}} mv_x \\
& = \left(1 + \dfrac{1}{2} \cdot \dfrac{v^2}{c^2} + \left( \dfrac{v^2}{c^2} \right)^2 + \cdots \right) mv_x \\
& \approx mv_x
\end {aligned})]
[math(\begin {aligned}
\gamma mc & = \dfrac{1}{\sqrt{1-\dfrac {v^2} {c^2}}} mc \\
& = \left(1 + \dfrac{1}{2} \cdot \dfrac{v^2}{c^2} + \left( \dfrac{v^2}{c^2} \right)^2 + \cdots \right) mc \\
& \approx \dfrac{1}{c} \left(mc^2 + \dfrac{1}{2} mv^2 \right)
\end {aligned})]
이로부터 $$x$$, $$y$$, $$z$$ 성분들이 뉴턴 역학에서의 운동량과 같으며 4차원 속도 벡터와 마찬가지로 추가 계수($$\gamma$$)가 붙어야 상대론적이게 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런데 0-성분은 다르다. 상대론적 운동량을 보려고 했는데, (운동) 에너지가 튀어 나왔다! 즉, 3차원 운동량을 4-벡터로 만들려고 하면 다른 한 물리량(에너지)를 갖다 붙여야 했던 것이다. 이런 식으로 고전 (뉴턴) 역학에서 벡터였던 것이 상대성 이론에서도 벡터이기 위해선 반드시 또다른 물리량을 끌어다 붙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확장이 정말 의미가 있는 것인가는 또 따로 따져 봐야 할 일일 것이다. 예컨대 4차원 운동량 벡터의 경우 저것이 진짜 운동량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보일 수 있다. 상대론적 동역학이 그렇게 튀어 나오는 것이다.
상대성 이론이 말해주는 또다른 것은 물리법칙 또한 회전, 즉 로렌츠 변환에 불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고전 역학에서 뉴턴의 운동 방정식이 그랬던 것처럼, 맥스웰 방정식이 3차원 회전에서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이러한 제약 조건은 기대보다 훨씬 강력하다. 좀 어려운 이야기를 해 보자. 모든 물리 시스템은 액션(라그랑지안의 시간적분)으로 다뤄진다. 즉, 액션으로부터 모든 물리가 결정되는 셈이다. 이 액션은 스칼라이어야 한다. 여기서 상대성 이론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사실 원하는 물리량을 다룰 때 그 물리량으로부터 만들어낼 수 있는 (로렌츠 변환에서의) 스칼라는 정말 별로 없다. 점입자의 경우, 그 입자의 고유 시간을 들 수 있으며, 이 하나의 스칼라로부터 상대론적 동역학을 이끌어낼 수 있다. 다음 내용은 그 유명한 Jackson의 Classical Electrodynamics (3rd. Ed)에서 참조한 내용이다.

3. 해석역학을 도입한 접근


사실 모든 액션은 라그랑지안(Lagrangian)의 적분으로 표현이 된다. 다음과 같이.
$$S = \displaystyle \int L \, dt$$
여기서 적분 범위는 어떤 구간이며, 따로 적진 않겠다. (앞으로 쓸 모든 액션 식에서의 적분에서 그럴 것이다.) 이것은 고전역학에서 잘 맞으며 사실 고전역학에서 입자의 액션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식이다. 그런데 상대성 이론을 고려하면 문제가 생긴다. 고전역학에서는 언제나 똑같았던 $$t$$가 상대성 이론에서는 관성 좌표계를 무엇으로 잡느냐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나중에 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좌표계에 의존하는 양인 $$t$$를 시간을 나타내되 좌표계에 의존하지 않는 어떤 물리량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유일한 물리량이 바로 입자의 고유 시간 $$\tau$$이다. 따라서 점 입자 하나를 나타내는 액션은 다음과 같이 써야 한다.
$$S = \displaystyle \int L \, d\tau$$
여기서 $$L$$ 역시 스칼라이어야 한다. 만약 입자가 어떤 상수가 아닌 퍼텐셜에 놓여 있다면, 즉 어떤 힘을 받고 있다면 $$L$$은 그 퍼텐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복잡해질 것이다. 여기서는 일단 입자가 힘을 안 받고 있는 상태, 즉 자유 입자(free particle)인 상태라고 하자. 그러면 사실 라그랑지안에 들어갈 수 있는 스칼라는 굉장히 제한적이게 된다. 입자니까 (고유) 길이 같은 것도 없을 것이고 고유 시간의 다항식으로도 나타낼 수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단순한 것을 꼽자면 라그랑지안이 단순한 상수인 것이다. 그 상수를 $$-mc^2$$이라고 표기하자. ($$c^2$$은 사실 상 단위를 맞춰 주기 위해 넣어진 양이다.) 그러면 액션은 $$(t, x_1, x_2, x_3)$$로 좌표 변수를 잡은 한 관성 좌표계 O에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게 된다.
$$S = \displaystyle \int -mc^2 \, d\tau = \int -\gamma^{-1} mc^2 \, dt$$
여기서 $$\gamma = \dfrac{1}{\sqrt{1 - \left ( \dfrac {|\vec{v}|} {c} \right ) ^2}}$$이고, $$\vec{v}$$는 O와 입자가 정지해 있는 관성 좌표계 간의 속도 차이인데, 이는 곧 O에서 본 입자의 속도이다. 그런데 $$\vec{v}_i = \dfrac{dx_i}{dt}$$로, 이로부터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 각 $$i = 1, 2, 3$$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써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frac{d}{dt} \left( \dfrac{\partial}{\partial (dx_i / dt)} (-\gamma^{-1} mc^2) \right) - \dfrac{\partial}{\partial x_i} (-\gamma^{-1} mc^2) = \dfrac{d}{dt} \left( \dfrac{1}{2} \gamma m \dfrac{\partial}{\partial v_i} |\vec{v}|^2 \right) = \dfrac{d}{dt} (\gamma mv_i) = 0$$
즉, $$\gamma m \vec{v}$$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우리가 아는 상대론적 운동량이 튀어 나왔다! 더군다나 위 액션 식이 시간의 평행이동에 대해 대칭(불변)이므로 뇌터의 정리를 써서 다음을 알 수 있다.
$$\dfrac{d}{dt} \left( \displaystyle \sum_{i = 1}^3 v_i \dfrac{\partial}{\partial v_i} (-\gamma^{-1} mc^2) - (-\gamma^{-1} mc^2) \right) = 0$$
또는
$$0 = \dfrac{d}{dt} \left(\gamma m \left( \displaystyle \sum_{i = 1}^3 (v_i)^2 \right) - (-\gamma^{-1} mc^2) \right) = \dfrac{d}{dt} [ \gamma m ( |\vec{v}|^2 + (c^2 - |\vec{v}|^2) ) ] = \dfrac{d}{dt} (\gamma mc^2)$$
따라서 $$\gamma mc^2$$ 역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우리가 아는 상대론적 운동 에너지가 튀어 나왔다! 결국 액션을 스칼라로 올바르게 (최소한으로) 정해 주는 것으로부터 상대론적 역학이 툭 튀어 나온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그냥 상수라고 뒀던 $$m$$가 다름 아닌 질량이라는 것도 얻어냈다.

4. 관련 문서




[1] 운동 질량은 현대에 들어서 사장되다시피 한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