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우버스/카드일람/로얄/Verdant Conflict
1. 추종자
1.1. 2코스트
1.1.1. 백발백중 저격수 왈츠
DBN 마법 저격수 왈츠의 리메이크. 왈츠의 결단 주문토큰을 강화와 진화시로 옮겨놨다. 일반적인 상황이면 2코 2/2 바닐라지만 강화6시에는 추종자나 마법진을 소멸시킬 수있고 진화시에는 체력 3이하인 추종자를 파괴하는 효과를 지니는데 두 능력 다 어느정도 코스트를 요구하지만 꽤 유연성이 있는 추종자다. 다만 강화능력은 에일라 비숍의 마법진을 제거하는 용도외에는 쓰기 껄끄럽고[1] EP가 없으면 바닐라 2코가 되므로 발매후 주류덱에 따라서 채용률이 결정될것으로 예상된다.'''출격''': 물러나, 화상입을라. (下がりな、火傷するぜ。)
'''공격''': 좋은 목소리로 울어봐. (いい声で泣きな。)
'''진화''': 장난이 심하군. (おいたが過ぎるな。)
'''파괴''': 눈물나네. (泣けるぜ。)
'''강화''': 보고 싶었다고, 우리 귀염둥이. (会いたかったぜ、可愛い子ちゃん。)
'''사악한 호위꾼 바르트 조우''': 총알로 지불해 줄까? (銃彈で支払らってやるか。)
출시 후에는 원본 왈츠 급은 아니여도 무난한 2코스트 추종자로 취향껏 채용되고 있다.
1.1.2. 핼버드를 든 늑대
각 리더당 한종씩 나온 나테라의 신목을 출격으로 패에 추가하는 2코 2/2 추종자로 후공턴이면 PP회복덕에 바로 신목이 까는게 가능하며 왕의 섬광의 획득조건인 PP회복에도 맞아서 자연 로얄의 필수카드. 다만 조건이 필드가 밀려야하는 것이라 전개력이 뛰어난 로얄이 역으로 필드를 밀려야 한다는게 걸리는 점.'''출격''': 크릉! 적의 발자국인가. (ガァル!敵の足跡か。)
'''공격''': 크르릉! (ガァール!)
'''진화''': 크르르, 덤벼보라고! (ガァルル、かかってこい!)
'''파괴''': 아우우... (アウゥ…)
자연로얄에서 신목을 깔기 위해 당연히 3장씩 쓰지만 PP회복 능력을 효과적으로 쓰기는 힘들다. PP회복이 가능하면 그냥 미스트리나를 꺼내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
1.2. 3코스트
1.2.1. 도적 소녀
3/3 스탯에 보물을 얹어주는 카드. 성능에 호평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소수의 의견으로 보물덱 아니면 잘 안 쓴다는 쪽도 있다. 실전에서는 어쨌든 투픽에서는 최상급으로 활약할 카드.'''출격''': 도적도 할 땐 하는 법이라고! (盗賊もやるってもんさ!)
'''공격''': 스리슬쩍! (スイスイっと!)
'''진화''': 이게 도적의 감이라는 거야! (盗賊の感ってやつだね!)
'''파괴''': 꼬리를 밟혔나? (足がついた?)
'''경찰 신관 파인 조우''': 의뢰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ご依頼待ちしてまーす!)
1.2.2. 월혼귀 츠바키
클래식 팩의 로얄 레전드인 츠바키의 리메이크. 원본이 6코 4/3+잠복에 공격력 5이상인 상대 추종자를 선택하여 파괴하는 카드였지만 이 카드는 3코 3/2에 조건만족시 +1/1 버프에 비지정 파괴로 변화되었다.'''출격''': 쌓이고 겹쳐, 칼날에 차오른다. (積り重なり、刃に満ちる。)
'''공격''': 벤다! (斬る!)
'''진화''': 말 없이 쓰러지십시오. (言の葉もなく落ちなさい。)
'''파괴''': 우아하게 떨어진다... (嫋やかに散る・・・)
효과 발동조건이 자신의 추종자 10장란 까다로운 조건 때문에[2] 사용되는 덱은 기계 로얄로 거의 한정된다. 3코 3/2라는 공격적인 스탯이라 광역기만 조심하면 효과를 받지않아도 선공 3턴이면 바로 내서 명치를 치는 용도로 쓸수 있고효과 조건을 만족시킨 후부터는 3코로 상대의 지정불가나 잠복 카드도 자를수 있고 버프로 원본과 동일한 4/3 스탯이 된다. 단점은 체력이 낮아서 버프를 받은 후에도 주로 쓰이는 광역 3딜에 잘리며 3코에 비지정 파괴와 잠복 4/3인건 좋은 효과지만 질주와 광역기,비지정 파괴기가 넘쳐나는 현 메타에는 그닥 어울리지가 않다.[3]
이렇게 평가는 약간 낮지만, 그래도 전개 하나는 뛰어난 레비온 로얄에서 초반 잠복 딜러와 중후반 제거기/맹호 콤보용 카드로 활용하고 있다.
1.3. 4코스트
1.3.1. 왕위를 계승한 빛 베이리온
메인 스토리 자연 진혼 편의 등장 인물인 베이리온의 카드화. 바이디에게서 나테라의 신목을 지킨다는 설정때문인지 수호를 가지고 있으며 저주받은 그림자 바이디와는 형제이자 대척하는 관계때문인지 동일하게 4코 4/4와 리더부여 효과를 주지만 바이디는 필살을 가진 차이점이 있다.'''출격''': 나아갈 길을 비추는 빛이 되겠다. (導き照らす光となろう。)
'''공격''': 가로막겠다면! (阻むのならば!)
'''진화''': 모든 백성을 비추어보이겠다! (全ての民を照らしてみせる!)
'''파괴''': 아직도 방황하는 것인가... (まだ迷うのか…)
우수한 버프기인 왕의 섬광을[4] 매턴 패에 추가해주는 리더 부여를 해주는 카드이지만 PP회복이라는 다소 까다로운 조건을 가지고 있다. 현재 로얄의 PP회복 카드는 OOT의 옥토리스 강화8,ROG의 레비온 시스터즈 등장! 강화7과 토큰인 레비온 마법사 미임인데 전부 각자 컨셉가 있어서 자연 컨셉와 궁합이 맞을지 미지수이다. 그나마 상기한 카드들은 범용성이 있는편이라 진화 컨셉도 섞을수있는 가능성이 있고 각 직업마다 나오는 마나 자연주문 카드가 공통적으로 5턴이후 1PP를 회복시켜주기 때문에 궁합이 매우 좋으며 추후 나올 로얄 자연카드도 PP회복 보조카드가 나온다면 충분히 로얄덱의 핵심이 될수 있는 레전드.
공2 버프가 가능한 만큼 채용할만한 덱은 어그로~미드 덱이지만 로테이션에 질주 카드가 부족한 문제가 문제가 있지만 같이 나오는 레전드 카드가 7코 4/4 질주에 다른 추종자에게 +2/2와 질주 부여라 이런 점을 어느정도 해소해줄걸로 보이며 잠복덱에서도 채용해볼만은 하지만 PP회복을 하는 카드들이 잠복덱구성에는 그닥 맞지 않아서 채용 가능성은 낮을 걸로 예상된다.
그러나 출시 후에는 자연 로얄이 3티어 덱으로 판명되었고 리더 효과 부여가 출격에다가 우수한 수호로도 쓸수있어서 본체도 평가가 좋은데 어그로~미드형 덱이 많은 현 메타에서 고효율 수호카드의 평가도 비례해서 올라갔기 때문.
1.3.1.1. 왕의 섬광
깡으로 사용하면 +1/0이지만 필드에 나테라의 신목이 있으면 +2/1이라는 엄청난 버프기로 바뀐다. 3코 버프기가 +2/2이라는 걸 감안하면 거의 2.5코스트급 버프기지만 획득조건이 PP회복이라 다소 까다롭고 1턴에 1장만 획득할수있어서 패에 모아둔 다음에 질주 추종자와 리오드에게 한번에 발라 원턴킬을 내는 용도로 쓴다.'''내가 이끌겠다.''' (私が導く。)
1.4. 5코스트
1.4.1. 레비온 조사단원
레비온 전용 진격의 검사. 수호가 추가적으로 달려있다. 야수전사 등의 고코스트 드로우 카드들이 그랬듯 자색룡이나 칼국수 정도는 되어야 쓰는게 고코 드로우지만 이쪽은 그래도 수호가 있어 교환이 강제된다는게 위안점.'''출격''': 머리가 지끈거리시겠네요. (頭痛が痛い話です。)
'''공격''': 과~연. (なーるほど。)
'''진화''': 이미 꿰뚫어보고 있습니다. (既に気質ですよ。)
'''파괴''': '''전혀 모르겠어!''' (まるで分らない!)
'''레비온 영웅 알베르 조우''': 여긴 제게 맡겨주시죠. (ここは僕にお任せを。)
'''극악무도한 공작 율리우스 조우''': '''두뇌 싸움으로는 지지 않습니다.''' (頭脳戦では負けません。)
아래에 고성능 드로우 카드가 추가되기는 하지만 강화 알베르로 나왔을 때도 나름 밥값을 하니 레비온 덱에서는 채용될 듯.
출시 후에는 레비온 덱이 4티어여서 거의 볼 일도 없었지만, 미니팩에서 레비온의 정의를 받은 후 레비온 덱이 2티어(!)까지 올라오면서 자연스럽게 많이 보이게 되었다.
1.4.2. 날렵한 야수전사
자연 로얄의 서브 피니셔. 필드에 신목이 있기만 하면 PP 회복덕에 2코 4/4 돌진이라는 매우 고효율 추종자가 되지만 핵심은 강화8을 받아서 5코 4/4 질주 카드가 되는 것으로 왕의 섬광 버프를 받기에[5] 아주 좋은 추종자로 8턴에 바로 나왔을때 왕의 섬광을 3번 부여할수 있다면 8코 10/7 질주라는 무지막지한 피니셔가 된다.'''출격''': 여긴 내 영역이다! 크르릉! (私の縄張りだ!ガァルル!)
'''공격''': 크릉! (ゲェル!)
'''진화''': 크르르! 봐주지 않아! (ガァル!容赦しない!)
'''파괴''': 끼잉? (ギャヒィ?)
'''강화''': 후회해라, 크르릉! (後悔しろ、ガァル!)
1.5. 6코스트
1.5.1. 숲의 공주 미스트리나
성우는 호리에 유이. 메인 스토리 자연 진혼 편의 등장 인물인 미스트리나의 카드화. 기본적으로는 4/6 수호 추종자이며 랜덤 번카드인 빛나는 검격을 획득하고 자신의 필드가 밀리는 상황이면 2PP를 회복하여 빛나는 검격을 바로 사용할수 있어진다. 빛나는 검격의 효과로 질주를 받아 서브 피니셔로도 쓸수있지만 성능이 상황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게 단점으로 필드가 밀리는 상황에서 PP를 회복해야 제대로 된 효율이 나고 날렵한 야수전사가 같은 4점 질주가 5코스트로 발동되어서 질주 카드로는 오히려 밀리지만 수호+질주+3~5 번딜을 6코스트로 할수있다는건 상당한 장점이며 자연 로얄이 버프를 바를 질주 추종자가 꼭 필요하기에 채용률은 꽤 높을걸로 예상된다.'''출격''': 마음껏 날뛰어보도록 하겠어요! (存分に奮って見せますわ!)
'''공격''': 가겠습니다! (参りますわ!)
'''진화''': 이래 보여도 꽤 실력이 있답니다. (これでも結構使えますのよ。)
'''파괴''': 제법이시네요! (やりますわね!)
'''가속화''': 똑똑히 봐두시어요! (ご覧あそばせ!)
실전에서는 '''자연 로얄의 피니셔.''' 공방일체의 추종자로, 추종자 제거+리더 딜+수호로 리더 보호가 미스트리나 하나로 가능하며 6~7턴에 상대의 추종자 전개를 억제하는 간접적인 효과도 있다. 기본 스펙도 나쁘지 않은데, 토큰으로 질주를 부여받고 왕의 섬광을 바르게 되면 구 제우스가 연상되는 고 공격력+고체력 수호 추종자가 떡하니 자리잡는다. 사실상 이 카드 덕분에 자연 로얄이 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외형이 세이버와 닮았다라는 평가가 많은데 금발에 청색과 백색이 섞인복장, 빛나는 검격 일러가 엑스칼리버를 날리는 구도[6] 와 비슷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메타가 어느정도 고착화된 이후에는 평가가 다시 하락했다. 티어 덱들이 거의 대부분 세계의 어머니 아니면 시바를 채용하는데 둘다 체력이 6인 수호 추종자다보니 빛나는 검격으로 자르고 명치로 바로 공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1.5.1.1. 빛나는 검격
미스트리나의 가속화와 출격으로 얻는 토큰. 어지간히 급한게 아니라면 가속화로 쓸 일은 없고, 대부분의 상황에서 출격효과로 나오자 마자 사용하게 된다.'''숲의 공주로서.''' (森の姫として。)
질주 부여는 대상이 무작위라서 미스트리나가 둘 이상 있다면 엉뚱한 미스트리나에게 부여될 수도 있다.
1.6. 7코스트
1.6.1. 군림하는 맹호
1.6.1.1. 방패 수호자
상당히 다양한 능력을 가진 지휘관 카드. 일단 본체는 4/4 질주 추종자이지만 7코스트나 하다보니 이것만으로는 효율이 높다고 하기 힘들고 추가로 나오는 효과인 +2/2 버프와 질주 부여까지 제대로 활용되어야 하는데 어울리는 덱은 기계 로얄로 출격 조건이 파괴된 추종자 수가 10장이 넘어야하는데 기계 로얄의 핵심 카드인 화염사자의 대장군의 직접소환 조건과 비슷해서 난이도가 내려가고 대장군에 질주를 발라 맹호 5딜+대장군 7딜이 가능해진다. 가속화는 4코스트로 2/2+1/2+1/1 토큰을 한장씩 깔아 중반에 강력한 전개를 하는게 가능하지만 중반에 필드 정리 카드들이 워낙 많아진터라 상대 덱에 따라서는 가속화를 하지않는게 나을수도 있다.
기계로얄의 핵심 중 하나였던 레이섬이 언리로 가게 됐고 이 카드의 가속화 능력과 기계토큰들의 전개가 자리 문제로 썩 시너지가 좋지 않아 맹호 조건은 달성해도 대장군 조건 달성은 쉽지가 않기에 발매팩 기준 기계로얄은 빛을 못보고 있다.
오랜만에 나온 전개덱용 추종자지만 현재 쿠르트때문에 전개덱들의 상황이 좋지못해서 미래가 불투명하며 자연덱은 이 카드말고도 질주 카드가 있는데다 전개력이 밀려야 PP회복이 되는 구조라 성향이 맞지않는다.
미니팩 출시 후에는 잘 쓰이는 중. 전개력 하나가 빼어난 레비온 로얄에서 이 카드까지 욱여넣어 쿠르트의 필드 정리력을 더한 전개로 커버(...)하는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중후반에는 미리 깔아둔 츠바키와 함께 명치를 달릴 수 있기 때문에 덱의 최중요 추종자 중 하나이다.
2020년 7월 6일자 패치로 가속화 능력이 삭제되는 너프를 받았다.
고코 카드를 유연하게 쓸 방법이 사라진것도 크지만, 연계 스택을 손쉽게 3개나 쌓아주거나 풍신과의 조합으로 강력한 필드를 구축하던 가속화가 사라져 타격이 클 전망이다.
FOH 이후로는 '''더욱 깽판을 치는 중으로''' 10턴에 직접 소환되는 젤가네이아에 질주를 발라 OTK[8] 를 내는 식으로 사용 되는중이다
2020년 12월 28일자 패치로 가속화 능력이 변경되어 돌아왔지만 언리미티드에서 로얄이 약세인 탓에 큰 영향은 없다고 평가된다.
2. 주문
2.1. 1코스트
2.1.1. 용맹의 마나
각 직업별로 있는 마나시리즈. 로얄의 자연 카드는 신목의존도가 비교적 낮아서[9] 초반부에는 사용되지않고 왕의 섬광을 얻기위한 PP회복 카드 중 가장 가벼워서패에 모아둔 후 5턴부터 사용하게 된다. 10턴 효과인 광역 +1/1버프도 우수해서 질주 킬각을 내는데 도움을 준다.
2.1.2. 레비온의 정의
레비온전용 번카드. ROG의 루네스와 유사하게 1코로 높은 번딜을 낼수있는 잠재성이 있고 로얄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레비온 타입을 가진 뱀파이어 ROB의 율리우스를 패에 추가한다. 1코 번카드는 어떤식으로든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패 상황에 따라선 후반에는 높은 번딜을 낼수도 있는데다 추가로 준수한 2코 추종자도 추가해줘서 평이 상당히 좋은 카드.
다만 현재 레비온 타입은 동타입간에는 효과가 강력하지만 가장 중요한 피니셔가 없는 상황이고 현재 로테이션에서 날뛰는 1티어 덱의 성능이 워낙 좋다보니 레비온 덱이 티어덱으로 돌아올 수 있을지는 미지수.
출시 후에는 4티어였던 레비온 로얄을 무려 2티어까지 끌어올렸다! 일단 1코 주제에 3-4코급 번뎀도 노릴 수 있다는 점부터가 합격점인데, 거기에다가 2코 최강급 추종자인 율리우스까지 손에 넣어주는 등 어그로 형식에 가까운 레비온 로얄에게 딱 맞는 효과를 지녔다. 당연히 3장 풀투입 중.
2.2. 2코스트
2.2.1. 분신술
발도술의 형제 격 카드. 고스탯 질주 추종자에게 사용하거나 유언 및 공격시 효과가 파격적인 카드들에게 사용되는 것이 주 용도일 것이다. 보통 알베르나 강화효과로 pp회복까지 된 야수전사에 쓰이는 편.
언리미티드에선 춤추는 칼날 디오네를 5코스트 카드인 발도술로 필드에 불러낸 후 분신술로 복사해 4연타를 먹이는 식으로 자주 쓰이고 있다(...) 진화포인트 사용시 최대 16딜까지 먹이는 것이 가능하며, 예능의 영역이지만 여기에 왕가의 깃발까지 조합할 경우 20뎀으로 OTK도 가능하다. 사실 예능치곤 실전의 영역에 상당히 근접했지만 언리미티드의 환경이 환경인지라...
ULC 출시 이후 엉뚱하게도 진화 로얄에서 스페어 카드로 활약하고 있다. 이유인즉슨 이 카드로 카게미츠를 복사해서 죽이는 용도. 이 경우 유언이 멀쩡하게 발동해 다음 턴 진화한 카게미츠가 둘 나오고 진화스택도 매우 빠르게 쌓는다.
2.2.2. 예기치 못한 넘어짐
번역명이 묘한 카드.강화5로 쓰면 드로우 카드 3장의 종류에 따라 1/2 추종자를 전개할수도 랜덤 추종자 3번딜을 날릴수도 있지만 문제는 랜덤성이 너무 심하다는 것으로 상대 필드를 정리할 생각으로 사용했는데 위니만 깔릴수도 있고 상대 필드가 텅 비었거나 위니만 있는데 번딜을 날리는 상황이 발생할수 있다. 물론 로얄은 추종자 비율이 높아 왠만하면 1/2 추종자가 깔릴거라 보고 플레이 할수는 있지만 하얀 칼날의 검무와 이 카드 자체 등 주문 카드가 아예 안 넣을수는 없으므로 랜덤성을 배제할수는 없지만 드로우와 전개 OR 랜덤 번딜을 동시에 할수있다는 점은 확실히 우수해서 전개 위주의 덱인 기계 로얄등에는 확실히 채용할만한 카드다. 하지만 이번팩에서 각 직업별로 필드 정리카드들이 많이 생기다보니 5턴 위니 전개는 큰 효용을 보지못할 가능성도 크다.[10]
2.2.2.1. 예기치 못한 넘어짐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로 지급된 버전. 아사히나 미쿠루가 등장한다.'''꺄아~?! (ふえええっ!?)'''
'''꺄아악! (ふひゃああ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