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나이트/무기/샷건

 


1. 잠자는 비눗방울 기계(Dormant Bubble Machine)※ → 잠자는 비눗방울 기계※
2. 용병 인턴의 산탄총(Mercernary Intern's Shotgun)
3. 샷건(Shotgun)
4. 샷건Pro(Shotgun Pro)
5. 흔들리는 기관총(Shaky Blaster)
6. 샷건 M1(Shotgun M1)
7. 소드 오프 샷건(Sawed-off Shotgun)
8. 연속적 쏜 산탄 총(Assault Shotgun)
9. 쌍배럴 소총(Twin-barrel Rifle)
10. 은하수 샷건(Galaxy Shotgun)
11. 빨강 방울뱀(Sidewinder Red)
12. 초록 방울뱀(Sidewinder Green)
13. 화염 기관총(Flame Blaster)
14. 샷건 M2(Shotgun M2)
15. 나이트의 주먹(Knight's Fist)
16. 샷건 M3(Shotgun M3)
17. 벚꽃 산탄 총(Cherry Blossom)
18. 브라우니안 코일건(Brownian Coilgun)
19. 개틀링(Gatling Gun)
19.1. 블루 파이어 개틀링(Blue Fire Gatling Gun)
20. 무지개(Rainbow)
21. 버블건(Bubble gun)
22. 슈퍼 샷건(Super Shotgun)
23. 갯지렁이(Sandworm)
24. 사람을 먹은 꽃(Cannibal Plant)[1]

발사 한 번당 에너지 소모가 크나, 풀히트 시 높은 공격력과 넓은 공격 반경이 특징. 산탄 수 증가나 집탄율 증가 특성을 얻으면 1~2티어급 무기로 변모한다.
풀히트가 들어가면 깡딜이 들어가는 만큼 리스크도 큰데, 깡딜을 넣기 위해 접근을 하다가 맞는 경우도 흔하고, 접근에 성공해도 너무 가까우면 근접공격이 나가기 때문에 보통은 근중거리에서 쏴갈겨 다수의 적을 타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몇몇 산탄총은 탄퍼짐이 안드로메다 급이니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탄퍼짐이 적을수록 깡딜을 넣기 좋다. 웬만한 샷건은 거리만 잘 맞춘다면 초반 몬스터를 한 방만에 쓸고 다닐 수 있다. 암살자와 효율이 좋다. 공속 비교를 위해 초당 발사 수(RPS)를 표기함.[2]

1. 잠자는 비눗방울 기계(Dormant Bubble Machine)※ → 잠자는 비눗방울 기계※


[image]
공격력
2*5 → 2*8
에너지
2
치명타율
15
탄퍼짐
3
효과
치명타 시 중독
RPS
1.6
재료
비료 1
연금술사의 기본 무기. 발사 후 2초동안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는 탄환을 쏜다. 치명타 시 중독 효과가 있다.
성능은 구린 편으로 딜이나 부가 효과, 연비는 모두 좋지만 심각하게 구린 탄속과 사거리, 탄퍼짐 때문에 사거리가 절망적으로 짧다. 못해도 탄환이 끝까지 날아가서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타 샷건과는 달리 원거리 공격 능력이 거의 없다는 점이 상당한 단점이니 주의하자.
풀타를 맞추기 위해서는 초근접을 해야 하는데 그 거리라면 근접공격이 들어가고, 근접공격이 들어가지 않는 거리에서 때리자니 못해도 3발은 맞는 기본 샷건과는 달리 탄환 절반 이상이 빗나간다... 되도록이면 공격 키를 꾹 눌러서 근접 공격이 나가지 않게 해야 하며, 코앞까지 붙어야 제 딜이 나와서 적의 공격에 취약해지므로 체력 관리를 조심해야 하는 무기다. 그나마 사용자가 연금술사라 독 디버프만 들어가면 1스테이지 잡몹은 독 데미지만으로도 잡혀서 위안.
업그레이드 전에는 매우 좋지 않은 성능이지만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총합 데미지가 16으로 올라가서 쓸만해진다. 연금술사를 무난하게 사용하려면 필히 무기 업그레이드까지 해줘야 한다. 1-5 보스까지는 무난하게 사용 가능.

2. 용병 인턴의 산탄총(Mercernary Intern's Shotgun)


[image]
용병 인턴의 전용 무기이다. 다섯 갈래의 탄환을 발사한다.

3. 샷건(Shotgun)


[image]
RPS: 1.2
보물상자에서 랜덤으로 나오는 무기 중 하나. 5발의 탄환을 전방으로 발사한다. 풀히트 시 15의 데미지를 줄 수 있지만 탄이 상당히 넓게 퍼지기 때문에 초근접이 아닌 이상 다 맞출 수는 없다.

4. 샷건Pro(Shotgun Pro)


[image]
RPS: 1.2
탄환을 6발 발사한다. 탄퍼짐이 15임에도 탄이 잘 안퍼진다. 중거리로 쓸 수 있는 샷건.

5. 흔들리는 기관총(Shaky Blaster)


[image]
이름과는 다르게 산탄총이다. 탄환 3발을 한번에 쏜다. 집탄율이 랜덤이지만 크게 퍼지지는 않는다.

6. 샷건 M1(Shotgun M1)


[image]
RPS: 1.4
한 번에 5발의 탄환을 발사한다. 집탄율이 상당히 좋아 관련 특성없이 2스테이지에서도 쓸 만 하다.

7. 소드 오프 샷건(Sawed-off Shotgun)


[image]

산탄총이 되고 싶지 않아! -지하실

바로 정면의 원뿔형 공간에 들어온 적들 모두에게 대미지를 주는 무기로 사거리가 애매하다. 일반적인 샷건이 탄을 여럿 뿌려서 데미지를 높게 줄 수 있는데 반면 이 녀석은 범위 내의 적을 쓸어담는 용도이다. 보기보다 은근히 사거리가 넓고 벽 너머로 공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샷건을 생각하고 이 무기을 잡았다면 전혀 좋을 것이 없다.

8. 연속적 쏜 산탄 총(Assault Shotgun)


[image]
RPS:0.67
5발씩 두 번 발사한다. 넓게 펴져서 발사되어 다수의 몹에게는 좋지만 반대로 데미지가 낮아 1스테이지 이후부터는 약하다.[3]

9. 쌍배럴 소총(Twin-barrel Rifle)


[image]
RPS: 1.2
큰 탄환 2발이 갈라져 작은 탄환 6발로 나아간다. 큰 탄환 5 데미지, 작은 탄환 2 데미지로 풀히트 시 근거리에서 10 데미지 중거리에서 12 데미지이다.
산탄 수 증가 특성 적용 시 큰 탄환 4발 작은 탄환 16발로, 풀히트 시 근거리 20 데미지, 중거리 32 데미지. 치명타 확률도 20이라 게임을 무난하게 클리어할 만한 성능을 보여준다.

10. 은하수 샷건(Galaxy Shotgun)


[image]
RPS: 2.4
노란색 구형 탄환 4개가 나간다. 연사력도 샷건치고 빠른 편이어서 보스전, 잡몹처리 양쪽 모두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원래 무작위 방향으로 4개가 나갔었지만 패치 후 일정하게 나가게 되었다.
에너지 효율은 좋지만, 치명타율이 낮다.
여담으로 암살자가 사기였던 시절, 가장 많이 쓰이던 조합이었다.

11. 빨강 방울뱀(Sidewinder Red)


[image]

불꽃 뱀의 난폭함을 본 적 없습니까? -지하실

RPS: 1
큰 타원형 탄환 10발을 발사한다. 탄퍼짐이 심해 실질적인 데미지는 잘 나오지 않는다.
근접에서 암살자와 같이 쓰면 스테이지 불문하고 대형 몹이고 소형 몹이고 간에 한 방에 처리해버릴 수 있다.

12. 초록 방울뱀(Sidewinder Green)


[image]

이름에 충실한 무기 -지하실

RPS: 1.2
5개의 탄환을 발사한다. 탄이 커서 중거리에서도 쓸 수도 있다. 치명타 적중 시 독 상태이상을 부여한다.
패시브를 지닌 연금술사와 좋은 시너지를 자랑했었다. 패치로 발사 방식이 무작위로 날아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날아가게 바뀌어서 어떤 캐릭터가 써도 그럭저럭이다.

13. 화염 기관총(Flame Blaster)


[image]
붉은 탄환 3개를 세 방향으로 쏜다. 치명타 적중 시 적에게 화상 상태이상을 부여한다.
개틀링 수준까진 아니어도 에너지를 2씩 소모하는 데다 높은 연사력 때문에 에너지를 크게 소모한다. 잡몹 처리용으로 쓰기에 좋다.
벽 반사, 산탄 수 증가, 집탄율 증가 등의 특성을 채용했을 때 높은 딜 효율을 자랑한다.
이름과는 다르게 단조대에서는 산탄총으로 취급된다.

14. 샷건 M2(Shotgun M2)


[image]
RPS: 2.4
탄당 데미지가 2 이며 탄퍼짐이 심하지만 연사속도는 빨라 특성이 잘 갖춰져 있다면 꽤 좋은 무기가 된다. 샷건 M시리즈 중 집탄율이 가장 낮아서 잡몹을 한 번에 잡기 어렵지만 반대로 치명타 관통과 벽 반사 특성이 있다면 방 처리가 쉬워진다.

15. 나이트의 주먹(Knight's Fist)


[image]
RPS: 1.5
노란 탄환 4발을 발사한다. 탄퍼짐이 거의 없어 중거리에서도 쓸만하다. 탄당 데미지도 4인 고성능 무기. 집탄율 특성이나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찍으면 끝까지 가져갈만 하다.
천상의 주먹의 조합 재료이며, 가장 DPS가 높은 레인보우 개틀링의 조합 재료인 무지개를 RYB 돌격소총과 합쳐서 만들 수 있다.

16. 샷건 M3(Shotgun M3)


[image]
RPS: 1
탄환 12발을 원 모양으로 쏜다. 탄환은 점점 퍼진다.
탄막 형태 때문에 근접에서 쏴야 하는데 너무 적에게 밀착하면 근접공격이 나가 거리 조절이 필요하다.
특이한 점이라면 산탄 수 증가 특성으로 탄환 12발로 이루어진 원을 1개가 아닌 3개로 발사하고 에너지 소모가 5로 바뀐다. 근접해서 풀히트 시 치명타 없는 깡뎀으로 '''72'''대미지가 박히고, 광전사의 프리스타일과 링 레드를 얹으면 '''300'''대미지가 박히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4]
원래는 초록색 등급이었으나 지금은 파란색 등급으로 바뀌었다.

17. 벚꽃 산탄 총(Cherry Blossom)


[image]
RPS: 1
탄환 하나를 발사하는데 그 탄환에서 원형으로 퍼지며 점점 느려지는 탄환 5발이 주기적으로 발사된다. 산탄 수 증가 특성을 받을 경우 탄환 두 개를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추가 발사한다. 기본 탄속이 느려터졌고 퍼지는 탄환 또한 잉여하기 때문에 썩 좋지는 않은 무기. 하지만 벽 반사 특성과 치명타 시 적 관통 특성을 찍으면 총알이 튕기면서 엄청난 양의 벚꽃 탄막을 형성한다.
[image]
위 Gif는 치명타 확률 증가와 산탄 수 증가 특성이 적용되어 있다.
광전사의 두번째 스킬인 "프리스타일"과 궁합이 환상적이다. 스킬 효과는 총기 종류에 관계없이 무조건 산탄 수를 늘려주는데 특성 산탄 수 증가와는 별도라서 둘 다 찍으면 렉걸릴 정도의 탄막이 형성된다. 탄막을 일단 형성해두면 보스든 뭐든 조금만 움직여도 녹아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점으로는 고정형 보스에게는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다.[5]
하지만 아쉽게도 패치가 이루어졌다. 작은 탄 하나당 데미지가 1로 줄어 위 같은 플레이는 나오지 않고 오히려 그랜드 나이트가 쏟아지는 탄막을 뚫고 나오는 모습까지 공개되면서 거의 고인이 되었다. 그래도 아직 연비는 좋다. 그런데 이건 좀 양심없...[6]
여담으로 탄환 자체는 레일건 취급이라 도사 2스킬 팔괘의 영향을 받고 관통한다.

18. 브라우니안 코일건(Brownian Coilgun)


[image]
푸른 구체를 5개를 발사한다. 각각 최대 두 번씩 벽에 튕긴다.
기본적으로 코일건류 특성상 완벽히 직격시키면 직격딜+절반의 폭발딜이 같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론 자탄당 5딜이 들어간다.
따라서 최대 발당 25딜, 산탄 수 증가 특성과 조합 시 35딜이 들어가므로 단일 딜이 뛰어나고, 벽 튕김과 폭발 딜로 마무리까지 지으면 잡몹방이 정리된다.
관련 특성이 하나도 없으면 에너지 소모가 부담되지만 특성이 조합되면 3-5까지 사용해도 강력할 정도로 효율이 대단한 무기다.
참고로 이온 코일건의 최초 외형이 이 무기였다.

19. 개틀링(Gatling Gun)


[image]

몸이 빠져 나가는 느낌 -지하실

노란색의 긴 탄환 4발을 쏜다. 연사속도가 매우 빠르다. 꾹 눌러 쏘면 에너지가 미친듯이 줄어든다.
집탄율/치명타 증가 +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찍고 기사의 스킬을 쓰면 웬만한 일반 보스는 쉽게 갈아버린다. 하지만 잡몹한테는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어 적자를 볼 수 있으니 보스전에만 사용하는 것을 추천. 용병 중에 인턴 용병이 이걸 들 수 있는데, 에너지 소모가 없는 용병 특성상 탄막이 요동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파란색 물감을 달면 블루 파이어 개틀링이 된다. 무지개와 조합해 레인보우 개틀링을 만들 수 있다.

19.1. 블루 파이어 개틀링(Blue Fire Gatling Gun)


[image]

클릭, b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r -지하실

개틀링에 파란색 물감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파란색 물감이 나올 확률이 극악이라서(...)
과거에는 상점에서 팔거나 신비의 상인에게서 살 수 있었는데 패치로 더 이상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결론은 재련 조건을 켜거나 단련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는 뜻(...)
재료는 철광석 10개와 부품 10개, 그나마 얻기 쉬운 옵시디언 마력 조각 2개다.
개틀링보다 에너지소모가 1 적지만 상위호환이라기에는 단점이 발목을 잡는다.
  • 플레이어 감속이 개틀링의 2배[7]
  • 탄퍼짐이 심함[8][9]

20. 무지개(Rainbow)


[image]
조합식
나이트의 주먹 + RYB 돌격소총
RPS: 1.25
무지개처럼 부채꼴로 속성탄을 뿌리는 무기. 각 색깔별로 상태이상을 걸 수 있다.
'산탄 수 증가' 버프를 사용 중이라면 4발에서 6발로 늘어나며 거의 완벽한 무지개를 볼 수 있다.
빙결 능력이 있어 가까이 가서 쏘면 손쉽게 적을 죽일 수 있다.

위의 개틀링과 조합하여 레인보우 개틀링으로 조합 가능하다.

21. 버블건(Bubble gun)


[image]

스퀴드 워드의 파멸 -지하실

여러가지 색의 비눗방울을 발사한다. 치명타가 터지면 중독시킨다. 잠자는 비눗방울 기계와 유사한데, 분사량과 총합 딜은 더 높지만 에너지 소모량이 높고 무엇보다 그 사거리 짧다는 비눗방울 기계보다 더 짧아서 진짜 근접공격 사거리와 비슷한지라 그냥 근접무기라 생각하고 초근접 운용을 해야 한다. 사실 총합 딜량이 15로 우수하지 않아서 총합 딜량이 16에다 집탄율, 사거리가 더 좋은 강화된 잠자는 비눗방울 기계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독의 돌을 끼운 상태로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얻고 광전사의 프리스타일을 사용하면 보스가 염산급 독에 녹아 없어지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공격 사운드가 잠자는 비눗방울 기계와 같았지만 어느 순간 늑대 2스킬과 같은 사운드로 바뀌었다.

22. 슈퍼 샷건(Super Shotgun)


[image]
녹색 소드오프 샷건 1발을 발사한다.
데미지가 나쁘지 않으며 암살자의 투명화의 데미지 증폭 효과만으로 엘리트 몹 원콤을 낼 수 있다.
그러나 이 무기의 가치는 변형 버튼이다.
변형 버튼 사용 시 제이드 활의 화살 같은 침을 에너지 소모없이 적에게 매우 빠른 속도로 발사한다. 맞은 적은 2 데미지를 받고 일시적으로 기절, 플레이어 쪽으로 끌려온다. 단 근접 몬스터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갈고리가 이동기가 아닌 그랩인 것을 제외하면 에 나오는 그 슈퍼 샷건 #s-5임을 알 수 있다.
맨손 근접 공격을 사용할 수 없다.

23. 갯지렁이(Sandworm)


[image]

당신의 평균적인 새해 평균 재료는 던전에서 완벽하게 잘 작동합니다 -지하실

3갈래의 충격파를 쏜다. 넓은 범위공격으로 많은 적을 한꺼번에 처리 가능한 무기이지만 에너지 소모가 8로 크다는게 단점.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적용받으면 갈래가 둘 늘어난다. 레이저 폭 증가와 집탄율 증가도 적용 가능하다. 그렇게 산탄 수 증가, 레이저 폭 증가, 집탄율 증가 세 개 다 찍으면 게임이 터진다. 이 특성만 찍어도 황금 여의봉을 뛰어넘는다.

24. 사람을 먹은 꽃(Cannibal Plant)[10]


[image]
RPS: 1
1-5 보스 중 '''만다라 마 꽃'''을 처치하고 나오는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처음 발사하면 폭발하는 구형 탄환을 한 발 발사하지만, 발사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총이 빨갛게 변하면서 구형 탄환과 산탄이 발사된다. 한 번 누르고 있으면 계속 산탄을 발사한다. 구형 탄환은 레일건으로 취급되어 레이저 특성을 먹으면 폭발 범위가 커진다. 손을 떼면 초기화되기 때문에 은근 다루기 까다로운 무기. 치명타 시 중독을 건다. 구형탄 6, 산탄이 3 데미지로 5발로 기본 데미지가 21이다. 레이저 폭 증가, 산탄 수 증가, 원소탄 치명타 등 다양한 특성으로 강해질 수 있다.
[1] 단어 뜻을 제대로 살려 해석하면 식인 식물.[2] 높을수록 연사력이 좋다.[3] 하지만 산탄 수 증가, 콤보 피트 증가와 광전사 조각상, 도적 조합이라면 매우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오피서 2스킬은 적폐 그 자체.[4] 좌우로 탄이 좀 새는데도 300 가까이 박힌다. 보스건 뭐건 5초 이내로 끝내는 성능을 자랑한다.[5] 광전사 만렙+산탄 수 증가+탄약 주머니(산탄 수 +1)+벽 반사+링 레드=16발+2(데미지)벽 반사[6] 망령왕의 순환기, 레이저 UFO, 자색 레이저 검 스킬 시전 중인 보스만 저런 플레이가 가능하다. 물론 천상의 주먹도 마찬가지. 그런데 망령왕은 순환기에 숨어버려서...[7] 에너지 소모도 문제지만 플레이어 감속도 개틀링을 점사하게 만드는 이유이기도 한다. 기사 스킬 양손잡이만 켜도 이해될 정도다.[8] 잡몹전에서는 여러 적을 공격 할 수 있어 큰 단점은 아니다.[9] 오피서의 현상금 태그를 이용해서 유도 효과를 낸다면 꽤 좋을지도.[10] 단어 뜻을 제대로 살려 해석하면 '''식인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