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나이트/효과

 




1. 개요
2. 버프
2.1. 공격속도 증가
2.2. 이동속도 증가
2.3. 실드(방패) 회복
2.4. 공격력 증가
3. 디버프
3.1. 화상
3.2. 중독
3.3. 기절
3.4. 빙결
3.5. 둔화
3.6. 이동속도 감소
3.7. 감전
3.8. 혼란
4. 잘 알려지지 않음
4.1. 역병
4.2. 악몽
4.3. 제거
4.4. 태그
4.5. 은신
4.6. 무적
4.7. 응고
4.8. 인력, 척력
5. 버프(특성)
6. 챌린지(조건) 목록


1. 개요


소울 나이트에서 캐릭터들이 받을 수 있는 효과들의 목록.
모든 효과들은 공식적인 이름이 없고, 버프와 디버프의 구분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플레이어가 효과를 받았을 때 이익이 있으면 버프 문단, 불이익의 경우 디버프 문단에 서술한다.
  • 플레이어만 아니라 적도 효과를 받는 경우에는 기울임체로 서술한다.
  • 적만 효과를 받는 경우에는 밑줄로 서술한다.

2. 버프



2.1. 공격속도 증가


시전자: 트럼펫(무기), 연금술사의 3스킬(고추), 사제 2스킬
효과: 공격속도가 잠시동안 빨라진다.
이펙트: 붉은색 화살표가 올라온다.

2.2. ''이동속도 증가''


시전자: 이동속도 증가 타일, 도적 조각상, 사제 2스킬, 연금술사 3스킬(나뭇잎)
효과: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이펙트: 푸른 화살표가 올라온다.

2.3. 실드(방패) 회복


시전자: 링 옐로(무기), 사제 1스킬 5성 추가 효과
효과: 실드(방패)가 회복된다. 자동으로 실드(방패)가 회복되는 효과와 중첩된다.
이펙트: 노란 오라가 캐릭터를 감싼다.

2.4. 공격력 증가


시전자: 링 레드(무기), 광전사 조각상, 부스터(기원의 장)
효과: 지속 시간동안 대부분의 공격의 피해량이 2 상승하며[1] 공격의 크기도 커진다.
이펙트: 검붉은 육각형이 나타난다. 이 효과는 시전자가 받는 것이 아니라 육각형 자체의 능력이므로, 육각형을 통과하는 아군의 모든 공격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3. 디버프



3.1. ''화상''


시전자: 각종 화염 무기, 폭발 상자, 2스테이지 해골 맵의 거미의 자폭, 2스테이지 할로윈 맵의 개구리의 자폭, 3스테이지 용암 맵의 폭탄을 든 미라의 자폭
효과: 일정시간동안 데미지를 받는다.[2] 화염 면역 특성이 있으면 플레이어는 이 효과로부터 면역이며, 적에게 주는 화염 피해량이 2 증가한다.
이펙트: 머리 위에 불꽃 모양 아이콘이 나타난다.

3.2. ''중독''


시전자: 보라색 장판, 1스테이지 숲 맵의 바람총을 든 고블린의 탄환, 1스테이지 사원 맵의 독벌레의 탄환, 엘리트 암석 궁수의 탄환
효과: 일정시간 동안 데미지를 받으며[3] 이동속도가 감소한다. 독 면역 특성이 있으면 플레이어는 이 효과로부터 면역이며, 독 데미지가 1 증가한다.
이펙트: 머리 위에 녹색 동그라미 3개가 겹쳐있는 아이콘이 나타난다.

3.3. 기절


시전자: 망치류 무기, 고대의 활, 야구방망이의 근접 공격, 다시 벼린 성검의 파동형 공격 등
효과: 약 2초간 공격과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빙결과 비슷한 효과.
이펙트: 머리 위에 노란 번개 모양 아이콘이 나타난다.

3.4. ''빙결''


시전자: 각종 얼음 무기, 얼음 상자, 눈의 유인원 왕(얼음가시), 눈사람 왕의 얼음 탄환
효과: 공격과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플레이어가 빙결된 상태에서는 피해를 받지 않는다.
대상
플레이어
일반적인 적
보스
보스(격노)
지속 시간
2초
3초
1.4초
0.6초
이펙트: 얼음이 대상을 감싼다.
설원 맵에서 이어지는 얼음 동굴 맵의 몬스터들은 이펙트만 나타나지 않을 뿐 멀쩡하게 적용된다.

3.5. 둔화


시전자: 1스테이지 사원 맵 원숭이가 던지는 똥, 금가면의 운석 낙하 후 장판, 아누비스의 기본 오벨리스크[4]
효과: 공격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한다.
이펙트: 머리 위에 보라색 관 모양 아이콘이 나타난다. 다키스트 던전/붕괴의 상단 이미지에 있는 아이콘과 비슷하다.

3.6. ''이동속도 감소''


시전자: 이동속도 감소 타일, 중독, 탕후루의 치명타 효과, 독 장판
효과: 이동속도가 느려진다.
이펙트: 녹색 화살표가 내려가는 이펙트가 나온다.

3.7. 감전


시전자: 번개의 돌, 번개검/EM 저격총/EM 레일건 등의 무기
효과: 2.5초 동안 피해를 입을 때마다 피해를 3 입는다.[5] 가까운 2명의 적에게도 피해를 3 준다.
이펙트: 머리 위에 하늘색 번개 모양 아이콘이 나타난다.

3.8. 혼란


시전자: 원시 거인
효과: 3초 동안 플레이어의 이동이 반대로 된다.[6]
이펙트: 머리 위에 '''???'''가 나타난다.

4. 잘 알려지지 않음


표기가 어려운 효과들

4.1. 역병


시전자: 사령술사 2스킬
효과: 중독 상태이상과 같다. 사령술사의 5성 추가 효과가 적용되면 역병에 걸린 몹이 사망 시 스켈레톤이 소환된다. 역병에 걸린 몹이 사망 시 역병 장판을 깐다.
이펙트: 머리 위에 청록색 동그라미 3개가 겹쳐있는 아이콘이 나타난다.

4.2. 악몽


시전자: 사령술사 1스킬
효과: 사망 또는 50데미지 피격 시 아군 손이 소환된다. 사령술사 5성 강화 시 받는 모든 데미지를 2씩 증가시킨다.
이펙트: 악몽 아이콘이 적 머리 위에 뜬다.

4.3. 제거


시전자: 죽음의 노트(무기)
효과: 보스를 제외한 적이 즉사한다.
이펙트: 적에 붉은 X가 쓰인다.
여담으로 오피서의 2스킬을 사용한 대상을 처치 시 이 아이콘이 나온다.

4.4. 태그


시전자: 오피서 2스킬
효과: 탄환이 태그된 적의 위치로 이동한다. 느린 총알과의 효과가 좋다.
이펙트: 태그 아이콘이 적에게 생긴다.

4.5. 은신


시전자: 추가 왕관(무기), 사망 시, 망령, 망령왕, 암살자 3스킬, 화산 갯지렁이/얼음 동굴벌레[7]
효과: 타겟팅이 되지 않는다, 적과 아군이 같이 은신 시 적의 위치를 붉은 원으로 보여준다, 또한 먼저 은신을 해제하지 않으면 적은 은신을 해제하지 않는다, 은신 가능한 적이 은신 상태가 아닐때 은신하면 적은 은신하지 않는다.
이펙트: 아군 : 반투명해진다.
적 : 시야에서 사라진다.

4.6. 무적


시전자: 암살자 1&3스킬, 도적 1&2스킬, 망령, 망령왕, 성전사 1스킬, 성전사 조각상, 정령 1스킬[8], 화산 갯지렁이, 피해 받은 후 0.5초
효과: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9]
이펙트: 없음

4.7. 응고


시전자: 입구 나무문, 암석 파수꾼(근접), 기원의 장 차단벽, 암석 궁수, 원시 거인,
효과: 벽이 되어 탄막을 막는다. 플레이어가 밀 수 없다. 단, 일부 레이저 무기는 투과되나 나무문 앞에는 장사없다.
이펙트: 없음

4.8. 인력, 척력


시전자: 인력 - 도둑 조각상, 망령왕, 만다라 마 꽃, 니엔, 흡혈귀 2스킬, 임플로전, 스피커, 공허의 검, 컴퓨터의 중력장치
척력 - 아머 종말의 변형 버튼, 엘프 조각상, 컴퓨터의 중력장치
효과: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약간 밀리거나 당긴다.

5. 버프(특성)


기본적으로 1-1, 1-3, 1-5, 2-3, 2-5스테이지에서 포탈을 탈 때마다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 챌린지나 칠색 비올라로 특성 수 증가를 받을 경우 그 수에 따라 원래 특성 선택을 못하는 곳에서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 마지막 칸은 캐릭터의 6번째 업그레이드 시 생긴다. 일일 도전에서 버프 갯수가 3개 증가하거나 줄어들고, 정원에서 칠색 비올라, 웨이터의 차를 사용하면 하나 증가한다.
스테이지 첫번째 방에서 가끔 간상 NPC가 나오는데, 돈을 주고 가장 최근에 찍은 특성을 초기화할 수 있다. 여러 번 쓸 수 있다. 그러나 여러 번 지우려면 그 전에 지울 때 쓴 돈의 2배를 요구한다. 초기화된 특성은 바로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때 찍게되며 초기화한 특성이 여러 개일 경우 하나만 찍고 그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때 또 찍는 방식이다. 그러나 나갔다 들어올 경우에도 이렇게 쌓여있는 특성을 찍을 수 있기 때문에 한 스테이지 당 최대 2개씩 밀린 특성을 찍을 수 있다. 따라서 3-5에서 나오는 간상은 사실상 쓸모가 없다. 돈을 줘서 초기화 시키고 홈으로 나가서 이어하기를 하면, 간상을 이용해 특성을 초기화한 것 자체가 없었던 일이 되어 특성이 그대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s://soul-knight.fandom.com/wiki/Buffs 에서 얻을 수 있다.

  • 근접무기로 총알을 튕겨낼 수 있습니다(melee weapons can bounce bullet)
근접무기를 포함한 적의 탄을 막아내는 모든 무기와 능력으로 총알을 튕겨 낼 수 있다.[10] 쳐내는 방향과 상관없이 탄이 날아온 방향 그대로 되돌아간다. 튕기지 못하는 총알도 있다.[11] 용병이나 펫, 늑대, 암살자의 흑검베기, 심지어 성기사의 에너지 방패에도 적용된다. 쓸데없이 커다란 지팡이, 지팡이, 방패에도 이 특성이 적용된다. 업데이트 후, 튕겨낸 총알은 금색으로 변해 적의 총알과 구분하기 쉬워졌다.

  • 적을 죽인 후 흡혈할 수 있습니다(chance to gain life after killing an enemy)
적을 죽였을 때 일정한 확률로 체력을 1 회복한다. 생각보다 확률이 높아 초보자에게 추천한다.

  • 몬스터의 탄환 속도가 감소하고, 에너지와 골드 획득 범위가 증가합니다(decreased monster bullet speed, larger pickup radius)
몬스터의 탄환 속도가 감소하고 에너지와 골드의 획득 범위가 증가한다. 적의 탄이 많아지는 하드 모드에서는 탄속 감소가 생각보다 많은 도움이 된다.

  • 레이저 무기의 폭이 증가합니다(increase the beam width of laser weapons)
총 6가지 효과가 적용된다.
  • 레이저 무기의 폭이 증가하고, 단발성 레이저는 데미지가 1 오른다.
  • 충격파 무기의 충격파 범위가 넓어진다. (망치류와 갯지렁이 포함)
  • 광선검 무기 4가지의 데미지가 2 오른다.
  • 레일건류 탄환의 폭발 범위가 증가한다. (정령 2스킬 포함)
  • 레이저 테라피나 번개검, 전기 닌자 별과 같이 적에게 번개가 나가는 무기의 경우 번개의 데미지가 1 증가한다. 전기 닌자 별의 경우 번개가 두 갈래로 나가고, 따라서 데미지가 2 증가한다.
  • 적의 레이저 공격의 데미지가 1 오른다.

  • 독과 감속에 면역이 되고, 적에게 주는 독 데미지가 증가합니다(immune to poison gas and slow effect, increased poison damage to monsters)
독과 감속 디버프에 면역이 되고 적에게 들어가는 독 데미지가 더 강해진다.[12] 밟으면 느려지는 감속 패드의 효과도 받지 않는다.[13]

  • 화염 데미지에 면역이 되고 폭발 피해가 감소하며, 몬스터에게 주는 화염 데미지가 증가합니다(immune to fire and decreased explosion damage, increased fire damage to monsters)
폭발 데미지가 5에서 2로 감소되고 화상 디버프에 면역이 된다. 적에게 들어가는 화염 데미지가 더 강해진다. 화산 스테이지의 바닥에 나오는 용암이나 화염기사대장의 불장판에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14] 독 면역 특성에 비해 폭발성 무기 등 화상을 거는 무기가 많기 때문에, 공격적으로 굴릴 수 있는 특성이기도 하다.

  • 최대 체력이 증가합니다(increase maximum life)
체력을 4 회복시켜주는 동시에 최대 체력이 +4 늘어난다. 기본 체력이 적은 마법사나 흡혈귀, 성기사 등과도 잘 어울리지만, 스스로 회복하는 늑대나 사제와도 잘 어울린다.

  • 상자를 부수면 포션이 나올 수 있습니다(increase the change of potion drop when breaking crates)
박스를 부수면 확률적으로 피 2를 회복시켜주는 체력 포션이 나온다. 생존에 많은 도움이 되는 특성.[15] 참고로, 아이템 '상자'로 설치한 박스를 부숴도 나온다. 즉, 무한 에너지 챌린지가 있거나 사제 조각상이 있으면 상태에서 계속 깔고 없애는 방식으로 체력을 무한으로 회복할 수 있다.

  • 방패가 부서질 때 충격파가 나갑니다(release a radial blast when shield is down)
실드가 피해를 받으면 주위에 충격파가 발생한다. 엘프 조각상 능력처럼 탄막을 지워주고 주변에 피해를 준다.[16] 원래는 실드가 완전히 파괴되어야만 충격파가 발생했지만 성능이 떨어진다고 생각했는지 지금과 같이 버프되었다. 이 특성과 궁합이 좋지 않았던 성기사의 성능이 더욱 올라간 것은 덤. 범위가 은근 넓어서 탄막에 갇혔을 때 빠져나오는데 도움이 된다.

  • 몬스터를 죽이면 에너지를 회복합니다(get energy whenever you kill a monster)
몬스터를 죽일 시 에너지가 2 회복된다. 소울 칼리버나 개틀링같이 에너지 소모가 지극히 많은 무기와 궁합이 좋다.

  • 게임 종료 보상이 증가합니다(get more gems at the end of each game)
게임이 끝났을 때 젬을 더 많이 얻는다. 원래 게임 종료 시 젬 계산식은 통과한 스테이지x50 + (획득한 골드+처치한 적의 수)x0.5] 이나, 이 식에서 0.5를 0.625로 바꿔준다. 하드 모드를 클리어해도 돈을 많이 쌓고 끝내지 않았다면 추가 젬이 100도 되지 않을 수 있다. 유일하게 이 게임에서 캐릭터가 강해지는 데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관여하지 않는 특성이다. 출처: https://youtu.be/w1ZeNtnk1sI

  • 상점 가격 50% 할인(50% in store)
상점의 아이템의 가격과 자판기 가격 50% 할인. 조각상 및 용병과 계약을 맺는 가격이 감소하고 우물에 던지는 돈과 신비의 상인이 파는 무기를 사는 요구 체력량도 1로 고정된다. 던전 안에서 늑대를 만났을 때 주는 돈은 줄지 않는다. 그리 특출난 특성은 아니나 지신이 용병이나 상점을 자주 이용하면 그럭저럭 쓸만하다. 기원의 장 필수 특성.

  • 실드가 파괴될 때 추가 데미지를 입지 않습니다(no extra damage when shield is broken)
실드가 깨질 때 추가 피해를 받지 않는다[17]. 생존 관련 최정상급 패시브로 체력 관리가 굉장히 중요한 이 게임 특성상 가장 안성맞춤인 생존 0티어 특성. 다만 독, 불 같은 도트 데미지엔 여전히 취약하다. 위에 속성 면역 2종과 궁합이 좋으니 나오면 무조건 찍어주자.

  • 치명타 총알이 적을 관통할 수 있습니다(critical hit bullets can pierce enemies)
치명타가 뜬 탄환이 적을 무한히 관통한다. 당연히 치명타 확률이 높은 무기와 궁합이 좋으며 총알이 튕기는 무기, 특성과도 좋다. 자체적으로 치명타율을 높일 수 있는 도적[18]과 광전사와의 궁합이 환상적이다. 적이나 장애물에 부딪혔을 때 분열하는 무기들은 특성을 찍으면 적을 통과할 때 한 번, 벽에 부딪힐 때 한 번 분열하게 되므로 효과적이다. 기본적으로 관통 능력을 지니고 있는 레이저 무기나 오로라 같은 무기에는 쓸모 없는 특성이다. 폭탄 석궁의 경우 적에게 꽃히고 폭발해서 데미지를 주는 공격 메커니즘 때문에 이 특성이 적용되지 않는다.

  • 산탄총의 총알 갯수가 증가합니다(increase the number of bullets of shotguns)
획득 시 샷건의 탄수를 2개 늘려준다. 샷건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투사체가 날아가는 무기는 대부분 효과를 받는다.[19] 이 때 주의할 점은 고블린 샤먼/제사장의 분열탄이 3개가 아닌 5개로 갈라진다. 또한 기사가 쏘는 샷건의 탄환 수도 증가한다. 미사일 배터리와 벚꽃 산탄총, 샷건 M3 등은 에너지 소모량이 늘어난다.
다만 패널티는 이 뿐이고, 한 번에 여러 탄을 발사하는 무기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현재 무장이 한 번에 2발 이상을 발사하는 무기라면 거의 무조건 산탄 수 증가 효과를 받으므로 찍는게 좋다.
법사의 2스킬인 얼음 갈래의 수가 3☞5까지 늘어나기 때문에 더 많은 탄환을 막을 수 있고 적을 얼릴 수 도 있다. 이 스킬을 들었다면 찍는게 좋다.

  • 함정 면역, 돌진 피해 면역(immune to traps)
가시 함정에 피해를 입지 않고, 돌진 공격에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패치 이전에는 피해를 입었을 때 플레이어 주변으로 3개의 단검이 발사되는 특성이었다. 멧돼지나 수정벌레, 슬라임, 바콜린, 화산 딱정벌레, 화산 거인 등 가까이 접촉만 해도 피격되는 몬스터는 맞지 않게 해준다. 거대한 수정 게 같은 보스도 면역이다. 후반으로 갈수록 돌진 공격의 비중이 줄어들긴 하지만 접촉 데미지를 주는 몬스터들은 늘어나므로 웬만하면 찍도록 하자.

  • 탄 정확도와 치명타 확률이 증가합니다(increase accuracy and critical rate)
집탄율이 높아지고 치명타 확률이 늘어난다. 무기마다 적용되는 수치가 다르다. 집탄율이 매우 낮은 샷건류와 궁합이 좋다. 또한 마법사의 조각상이나 암살자의 조각상 등 여러 개의 탄환이 나가는 다른 곳에도 적용된다.

  • 물약 회복량이 증가합니다(improve potion effectiveness)
물약의 효과가 증가한다. 체력 물약은 회복량이 +2 증가하고, 에너지 물약은 +40 증가한다. 회복 물약은 +1 증가한다. 사제의 1스킬 치유량도 +1이 된다. 다만 위에 상자 물약 특성을 쓰지않는 이상 포션은 보기도 힘들고 찍었다면 넘치도록 많아지기에(...) 계륵같은 특성. 일반전보단 회복형 스킬이 빛을 발하는 보스 러시에 대용으로 쓰인다.
패치 이후 재사용 가능 물약 시리즈가 빛을 발하며 보조 무기로 들었다면 찍어주는 것도 나쁘지 않다.


  • 차징 무기의 차징 시간이 감소합니다(decreased charge time for weapons with charge time)
차징 무기의 차징 시간이 짧아진다. 수류탄 기관총같이 일정시간 쏜 후 손을 떼면 특수 공격이 나가는 무기의 차징 시간 역시 감소한다. 스파이크 나이프같이 여러 개를 한 번에 날리는 투척 무기의 충전 시간도 짧아진다. 지속형 레이저 무기의 데미지가 증가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감소한다. 패치로 정령의 기본 특성이 되어, 화살비 정령이 차징 감소 특성에 목을 매지 않아도 된다!

  • 펫과 용병의 효율이 증가합니다(increased pet and follower HP and damage)
펫과 용병의 체력과 공격력이 증가한다. 사령술사의 유령 손과 드루이드의 늑대도 포함된다. 공격력 3 증가로 증가폭이 생각보다 높아 이 두 캐릭터 한정으로 쓸만한 특성이다. 이 외에 나이트 조각상 효과나 해골 법장 등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걸 선택하는 것이 낫다.

  • 스킬 쿨다운 감소(reduce skill cool down)
스킬과 조각상의 쿨타임을 25% 감소시킨다. 총검박의 재사용 대기시간도 3초 줄여준다.

  • 얼어붙지 않고, 적들이 더 오래 얼어붙습니다(immune to freeze, and extra freeze time for the enemies)
얼지 않고, 적이 어는 시간이 길어진다. 1층의 광산 테마가 아니라면 거의 얼어볼 일도 없고, 얼어있는 동안엔 무적이라 빙결이 무조건적인 패널티라 보기도 힘들며, 적 어는 시간 증가도 재빙결에 딜레이가 없는 게임 특성상 빙결이 풀리면 다시 걸면 그만이라 생각보다 쓸모가 없는 특성이다. 이 특성이 빛을 보는 순간은 보스전과 얼음 동굴 맵. 보스는 빙결 시간이 짧아 다시 얼리기 전에 깨어나 공격하는데 이럴 때 도움이 되고, 얼음 동굴 맵에서 이 특성이 있으면 얼음 송곳의 데미지가 줄어든다. 현재 무기가 빙결 관련 무기라도 찍지 않고 다른 특성을 찍는게 이득이다. 다만 프로스트활을 들고 있거나 법사 2스킬이거나 얼음 동굴 맵을 갈 생각이라면 찍어볼 법 하다.

  • 총알이 튕길 수 있습니다(bullets can bounce)
총알이 벽에 1번 튕긴다. 자체적으로 총알이 튕기는 무기는 튕기는 횟수가 한 번 늘어난다. 레이저나 로봇의 스킬에도 적용된다. 산탄총을 사용할 때 가장 적합한 특성. 용병에게도 적용된다. 치명타 시 관통에 스킬을 쓰면 치명타 확률이 올라가는 도적과 매우 좋다. 기본 관통이 달려있는 무기는 각도에 따라 두 번 맞출 수 있다. 하지만 유도탄, 폭발 무기 같은 무기는 적용되지 않는다.[20] 그런데 2.7.0 에 패치가 일어났다. 바로 상자가 부서지는 동시에 총알이 튕긴다는 것. 일반 탄환은 상관없지만 관통탄은 레이저 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프먹었다.

  • 조각상의 효과가 두 번 발동됩니다(statue effects get triggered twice)
획득 시 석상의 능력이 잠깐의 시간차를 두고 두 번 발동된다. 기사 조각상으로 한 번에 두 마리 씩 용병 소환을 하거나 엔지니어 조각상으로 연속 폭발을 일으키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성전사 조각상으로 무적 2회를 노릴 수도 있다. 암살자 3스킬과 기사 조각상을 사용 중일 때 이 특성을 찍으면 2번째 기사에게 투명화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주의.

  • 여분의 무기를 가지고 싸우세요(take an extra weapon into the fight)
무기의 최대 소지 수가 3개로 늘어난다.
다만 무기 교체버튼은 그대로라서, 1>2>3>1... 순으로만 바꿀 수 있고 3번 무기에서 2번 무기로 교체할 수는 없다.
새로 추가된 기사의 '맹렬한 불길' 스킬과 궁합이 좋은데, 맹렬한 불길은 '손에 든 모든 무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걸 찍고 스킬을 쓰면 3개를 한번에 쓸 수 있다. 또한 방패나 부표 포 같은 보조무기를 하나 더 들고 다닐 수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된다.[21]

  • 원소 무기가 치명타 시 두배의 피해를 줍니다(Elemental Bullets deal double damage on Critical hit)
원소 무기에 치명타 데미지가 적용된다.[22]
원래 원소 무기들(얼음, 불, 독, 마비, 감전)은 치명타가 떠도 속성에 맞는 디버프를 걸 뿐이지만, 이 특성이 있으면 원소 무기도 치명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대마법사의 지팡이나 프로스트활과 시너지가 좋다. 약간의 컨트롤을 더해주면 하드 보스 러시를 프로스트활 하나로만 클리어 가능한 수준.
몇몇 무기들은 디버프는 걸지만 치명타가 뜨면 데미지가 치명타 데미지로 들어가는데 이는 원소탄이 아니므로 속지말자. (ex. 용광로)
참고로 현 게임내에 적을 기절시키는 무기는 고대의 활, 클리너, 돌망치, 번개검 등이 있다 . EM 저격총의 감전과 법사의 1스킬도 원소탄 판정이다.
치명타 확률 100%, 치명타 데미지 50% 챌린지가 있을 때 찍어도 데미지가 그대로다. 찍을 필요가 없는 특성이 된다.

  • 지팡이의 공격력이 상승합니다(Increase Damage of Staves)
지팡이의 데미지를 상승시킨다.
그저 지팡이류의 데미지를 상승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팡이류 아이템의 효과를 강화한다. 환영의 지팡이의 경우 분신 소환 갯수를 1체에서 2체로 늘린다.

  • 방어도 +1(Armor +1, immune to collision damage)
최대 실드가 1 증가한다.
또한 하얀색 상자를 깼을 때 나오는 단검에 대미지를 입지 않는다. 왠지 모르게 한국어로 설정하면 단검 면역에 관한 내용이 출력되지 않는다. 증가폭이 좀 낮아 보이지만 생각보다 좋은 특성이라서 체력 관리가 약간 안 되는 유저들은 애매한 특성들과 같이 나오면 이걸 찍는 것이 낫다.

  • 무기 발사 속도 증가(Increase firing speed of weapon)
공격속도 10% 증가한다. 1스킬을 달고 있는 기사라면 찍어볼 만하다. 공격속도 2배 챌린지에서 사용하면 220%가 되어 체감이 좀 되는 편이다.

  • 근접 무기의 공격 범위 증가 (Increase the attack range of melee weapon)
근접무기의 공격범위가 30% 증가한다. 근접무기로 클리어할 유저가 아니라면 딱히 찍을 필요는 없다. 암살자 1스킬의 공격 범위도 늘려주니 암살자 1스킬이라면 선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23]

  • 콤보 피트 무기의 콤보 수 증가 (Increase the number of combo hits for combo-hit weapons)[24]
콤보 무기[25][26]가 탄환을 한발 더 발사한다. 무기의 총 발사 시간은 동일하면서 발사 간의 딜레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과 DPS 모두 상승시킨다.

  • 최대 에너지 +100(Max energy +100)
에너지가 100 증가한다. 에너지를 많이 쓰는 기사 같은 캐릭터와 궁합이 좋은 편이다. 기본 에너지가 적은 캐릭터를 플레이 한다면 선택하거나 챌린지 중에 에너지 -50%가 있다면 선택해도 나쁘지 않다. 그러나 50밖에 증가하지 않는다. 총 에너지를 기준으로 -50%이기 때문.

6. 챌린지(조건) 목록


  • 최대 체력=1
  • 체력이 1로 고정된다. 최대 체력 증가 특성도 효과가 없으니 주의. 다만 웨이터가 주는 와인은 해당 층 한정 정상적으로 체력을 2 올려 준다.
  • 거인증이랑 같이 나올 시, 거인증의 체력 증가 보너스를 무시한다.
  • 다른 캐릭터는[27] 짜증나지만 성기사로 이 조건이 나오면 애초에 성기사는 체력이 2라 그냥 체력이 1 줄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성기사 1레벨의 경우 효과없는 조건.

  • 거인증
  • 플레이어의 크기가 커지고, 이동 속도가 느려지며 체력은 4, 실드는 1 증가한다. 또한 맨손 공격력이 2 증가한다.

  • 소인증
  • 거인증과 반대로 플레이어가 작아지고 속도가 빨라지며 체력은 2, 실드는 1 감소한다.[28] 또한 맨손 공격력이 1 감소한다. 여담으로 소인증의 아이콘은 도라에몽의 도구인 걸리버 터널이 모티브인 듯 하다.

  • 근접무기만 사용 가능
  • 시작부터 끝까지, 상점이나 자판기에서도 근접무기밖에 안 나온다.[29] 레이저나 화염검 등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근접무기도 사용 가능하다. 용병은 처음 들고 있는 원거리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30] 플레이어가 원거리 무기를 소지한 채로 다음 스테이지로 이동 시 사라지며, 무기가 없는 채로 다음 스테이지를 시작할 때 삽이 주어진다. 원거리의 적을 견제할 수 있는 야구방망이 등의 무기가 추천된다.

  • 각 레벨 시 무기가 다시 제련됨
  • 다음 층으로 갈 때마다 무기가 단련의 용광로에 넣은 것처럼 된다. 즉 저격총 계열의 무기를 들고 있다면 저격총 계열이, 기관총 계열의 무기를 들고 있다면 기관총 계열이 나온다. 3-5에서 3-6으로 넘어갈 때는 바뀌지 않는다. 무기 컬렉션을 완성할 때 효과적이다.

  • 새로운 생물군계 입장 시 무기 획득
  • 1-1, 2-1, 3-1 스테이지에서 시작할 때 랜덤으로 무기를 하나 준다. 역시 근접무기 조건이 달릴 경우 근접무기만 준다. 한 게임동안 무기를 단 3개만 주는데 좋은 무기가 나온다는 보장도 없기에 있으나 마나한 조건이다. 한 생물군계가 4개의 스테이지로 이루어진 보스 러시 모드에서는 1-1, 2-2, 3-3에서 무기가 나온다.

  • 다양한 조각상 숭배 가능
  • 한 번에 여러 가지 조각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스킬 사용 시 쿨타임이 끝난 것들이 한 번에 다 적용된다.[31]

  • 적 디버프 시간 -50%
  • 적들이 상태이상에서 회복하는 시간이 2배 빨라진다.

  • 적 공격속도 증가
  • 적들의 공격이 날아오는 속도가 빨라진다.

  • 적 방어력 +1
  • 적들이 받는 데미지가 1 감소한다. 에너지 대비 데미지가 낮은 무기들, 또는 연사형 무기의 경우 보스전에서 에너지가 부족할 수 있다. 특히 이 챌린지를 하다가 유적맵에서 파수꾼 게를 만나면 속터지는 상황이 연출된다.

  • 적 이동속도 증가
  • 적들이 빨라진다.

  • 던전의 적 증가
  • 한 방에 출현하는 적들의 수가 늘어난다. '엘리트 광부'업적을 노린다면 좋은 챌린지.

  • 엘리트 몬스터 출현 빈도 증가
  • 방에서 엘리트 몬스터 출현 확률이 증가한다.

  • 적 HP +100%
  • 적들의 체력이 2배가 된다.

  • 더 호전적인 적 출현!
  • 적들의 공격속도가 상승한다.

  • 버프 선택 시 옵션 +2
  • 특성 선택지가 2개 추가된다.

  • 버프 선택 시 옵션 -2
  • 특성 선택지가 2개 줄어든다. 즉 주는 대로 받아먹어야 한다.

  • 무기 공격력 +100%, 공격속도 -50%
  • 무기의 공격력은 2배가 되지만 일반적인 무기라면 속도가 답답할 정도로 느려진다. 차징 속도에도 영향을 준다. 기본 공격속도가 빠른 라이플이나 기관총류와 사용하여 효율을 높이거나 저격총을 사용하여 한 방에 보내버릴 수 있다. 돌격 저격총은 3발을 쏘고 나서 바로 다른 무기로 바꾸고 다시 돌격 저격총을 들면 공속이 초기화되어 보스전에선 사기급 성능을 보여준다. 이 미션으로 흰 숨은 기관총을 쓰면 10 데미지→7 데미지가 되어 7 데미지를 0 에너지로 난사하는 사기 무기가 된다. 또한 공격 버튼을 난타하면 즉시 공격이 나오는 무기류[32]도 사기가 된다.

  • 무기 공격속도 +100%, 공격력 -50%
  • 위와 정 반대다.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있는 무기는 순식간에 에너지를 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제 조각상이나 무한 에너지 챌린지가 필수적이다. 아니면 스노우 폭스 L이나 인터넷 소년, 레이저 테라피 등 에너지 소모가 없는 원거리 무기를 추천한다. 원래 데미지가 낮아서 디메리트가 별로 없고 빠른 속도로 오히려 원래보다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캐릭터는 기사를 들고 노코스트 무기를 사용할 경우 좀 더 수월하게 진행이 가능하다. 미니 UZI나 레이저 테라피 등 공격력이 1인 무기는 0.5가 아니라 반올림되어 1이 된다. DPS가 2배가 되니 참고. 근접무기 '고기'를 사용하면 공격속도가 매우 빨라져 오는 탄환들을 거의 모두 없앤다![33][34]

  • 무기 치명타 확률 +100%, 치명타 피해 -50%
  • 치명타 확률은 두 배로 증가하지만 치명타로 적중해도 피해량이 그대로다. 하지만 원소탄 치명타 시 대미지 두 배 특성을 찍으면 원소 무기 한정으로 치명타 피해가 두 배이다. 또한 치명타 시 관통 특성도 괜찮다. 치명타 시 부가 능력이 있는 원소탄 무기를 추천한다.[35]

  • 스킬 대기시간 +100%
  • 스킬 쿨타임이 증가한다.

  • 스킬 대기시간 -50%
  • 스킬 쿨타임이 절반이 된다. 캐릭터 스킬뿐만 아니라 조각상의 쿨타임도 줄어든다.
쿨감 특성과 함께 쓰면 75% 감소된다.

  • 최대 에너지 50%
  • 에너지 총량이 절반이 된다. 에너지가 200 미만인 성기사 등은 한 대를 사용하는 게 불가능해진다.

  • 무한 에너지
  • 에너지가 초당 10씩 자동으로 회복된다. 덕분에 기사나 광전사 같은 에너지 소모가 심한 캐릭터가 에너지 걱정을 덜 수 있게 된다.[36] 죽음의 노트, 개틀링은 마구 난사해서 편하게 클리어할 수 있다.

  • 방어력 증가, 보호막 재생 불가
  • 실드가 피해를 받을 시 피해를 1만 받는 대신 자동으로 회복되지 않고 포탈을 탈 때만 회복된다. 탈것과 아머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실드가 모두 파괴되면 원래의 데미지를 받는다.

  • 동물이나 용병 사용 불가
  • 펫과 용병을 데리고 다닐 수 없다. 시작 지점에서 플레이어를 도와주는 캐릭터나 기사의 조각상, 심지어는 환영의 지팡이도 사용할 수 없으며, 위성 부양 총, 레이저 부표 포, 부표 포 등의 손에 들지 않을 때 펫 역할을 수행하는 무기는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맵에서 용병을 만나도 혼자 해 나가야 한다는 대사를 날리며 고용할 수 없다. 드루이드의 늑대, 덩굴과 엔지니어의 포탑은 정상적으로 소환되지만 늑대는 소환된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 두 번 부활 가능
  • 부활 가능 횟수가 1회 증가한다. 멀티에선 전멸했을 때 한 번 전체가 부활한다.

  • 상점 가격 +100%
  • 상점, 자판기 등에 소비되는 코인이나 체력 지불 가격이 2배가 된다.

  • 던전 공간 증가
  • 스테이지의 던전 수가 증가한다. 진행 시간이 늘어난다는 것이 확실히 느껴진다.

  • 버프 최대 수 +3
  • 버프의 최대치가 5개에서 8개로 늘어난다. 칠색 비올라와 같은 특성 식물 사용 시 8 + a개가 된다.

  • 버프 최대 수 -3
  • 버프의 최대치가 5개에서 2개로 줄어든다. 굉장히 힘들다.

  • 행운
  • 무기가 나오는 모든 상황에서 더 좋은 무기가 나올 확률이 증가한다. 거실의 보물 상자와 가샤폰 등에도 적용된다.

  • 불운
  • 행운 효과의 반대. 등급이 낮은 무기가 나올 확률이 증가한다.

  • 치명타 피해가 증가합니다
  • 2019 부활절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건. 200%에서 300%로 치명타 데미지가 증가한다.

  • 보스룸에서 살짝 약해진 보스 2명과 싸우세요
  • 2019 부활절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건. 보스방에서 보스가 2마리 나타난다. 대신 보스들의 체력이 약간 감소한다. 보스 방의 구조는 첫 번째 보스의 방의 구조를 따르고, 두 번째 보스는 같은 스테이지의 모든 보스들 중 무작위로 하나가 나온다[37] 같은 보스가 둘 나올 수도 있다. 공물 웅덩이로 강화 제사장이 나오게 하면 두 번째 보스는 무조건 기본 제사자가 된다.[38] 3스테이지 클리어 후에 나오는 보석의 색은 더 나중에 죽은 보스의 색으로 나온다. 보스를 처치할 시 상자도 2개가 나온다.
평소에는 볼 수 없는 이벤트 보스 니엔은 이 챌린지가 있으면 가끔 등장한다.

  • HP가 50% 미만으로 떨어지면 HP를 재생합니다
  • 2019년 부활절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건. HP가 절반 미만으로 내려가면 실드 회복처럼 HP가 절반까지 자동으로 회복된다. 최대 체력이 홀수인 경우에는 버림을 한다.[39]

  • 무기를 하나만 소지할 수 있습니다
  • 2019년 부활절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건. 무기 소지 개수가 1개로 감소한다. 여분의 무기 특성을 가지면 다시 2개를 들 수 있다.

  • 새 레벨에 진입할 때 캐릭터를 바꿀 수 있습니다
  • 2019년 부활절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건. 새 스테이지에 진입할 때마다 캐릭터가 무작위로 변경된다. 캐릭터가 바뀔 때마다 캐릭터에 맞는 기본 특성을 가지며 바뀐 캐릭터는 업그레이드가 된 만큼 그러한 능력치로 플레이해야 한다. [40][41] 보유하지 않은 캐릭터로도 바뀔 수 있으며[42] 해금하지 않은 2,3스킬도 사용할 수 있다.

  • 보너스 룸 수 증가
  • 새 레벨마다 최대 2개의 보너스 룸이 생긴다. 두 방은 항상 다른 타입이다.

  • 상태 UI가 비활성화되었습니다.
  • 체력과 실드, 에너지 바와 코인량이 ???[43]로 표시된다. 체력과 에너지 관리가 굉장히 힘들어진다.

  • 몬스터 HP가 50% 미만이 되면 둘로 쪼개짐
  • 잡몹들의 체력이 50%로 줄어드는 대신 죽으면 두 마리로 쪼개진다. 광산의 경우 3배로 얻는 셈.

  • 무작위 레벨
  • 1-1스테이지의 포탈을 타면 이후부터 랜덤한 스테이지가 등장한다.[44]

  • 모든 무기에 부속물 장착
  • 부속물이 붙지 않는 빨간색 무기를 제외한 모든 무기가 부속물을 달고 등장한다. 무기를 장착하면 자동으로 부속물이 붙은 상태로 무기를 들며 다시 바닥의 무기를 들면 부속물이 해제된다. !방에 등장하는 콩알탄 모음은 모두 같은 부속물을 장착한 상태로 나온다.

  • 시야가 제한되었습니다
  • 캐릭터 주위가 어두워진다. 날아오는 탄환이 보이지 않아 위험하다.

  • 몬스터가 공격을 받으면 다른 위치로 이동
  • 탄환이 닿는 순간 맵 내의 랜덤한 위치로 순간이동한다. 보스도 적용된다. 바닥에 이펙트가 생기는데 이 이펙트가 포탈이다.
[1] 레일건의 공격력은 상승하지 않는다. 광전사 조각상은 예외로 모든 공격에 영향을 준다.[2] 플레이어는 1초마다 1데미지씩 2번, 적은 0.5초마다 3데미지씩 3번[3] 플레이어는 2초마다 1데미지씩 2번, 적은 0.5초마다 2데미지씩 11번[4] 일정 데미지를 받거나 일정 시간 후 사라져 어떻게 보면 금가면의 장판보다 까다롭다.[5] 0.5초마다 한 번만 발동한다.[6] 조이스틱을 오른쪽으로 밀었을 경우 왼쪽으로 이동한다.[7] 시야에서 사라지지는 않지만 판정은 그렇다.[8] 스킬 시전 시, 시전 중 적 처치 시 일회용 무적[9] 특히 사제가 피해를 입은 이후 0.5초 내에 1 스킬을 쓰면 한번 회복이 되지 않는다.[10] 이 특성이 없더라도 근접공격으로 적의 탄을 지울 수는 있다.[11] 마법사의 유도탄, 튕기는 총알, 기사가 쏘는 빠른 탄환, 속이 빈 탄환, 휘는 탄환 등.[12] 연금술사와 시너지가 좋다. 연금술사 기본 특성.[13] 나오면 무조건 찍고 가자. 외계인 스테이지에서 보라색 독 장판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최종보스 중 하나인 바콜린 지도자를 잡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14] 나오면 무조건 찍고 가자. 이 특성이 없는 상태로 3스테이지에서 용암 테마가 걸리게 된다면 용암 테마의 용암 장판에 일반 1데미지, 하드 2데미지가 들어가게 되는데 그저 거슬리는 정도가 아니라 용암 때문에 죽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15] 이모티콘 구간 혹은 박스가 많은 구간에서 빛을 발한다.[16] 근접무기 탄 튕김 특성과도 호환이 된다.[17] 이게 무슨 뜻이냐면, 소울 나이트 시스템 상 현재 쉴드 이상의 피해를 받으면 쉴드가 깨지고 잔여 데미지가 체력을 깎는데, 이 특성이 있으면 방어도가 0이 될 때의 잔여 피해를 없애 쉴드만 0이 되는 것이고, 체력이 입는 피해를 없애주는 것이다.[18] 도적 기본 특성.[19] 부채꼴로 탄환이 나가는 산탄 무기는 물론, 레이저 테라피나 로봇의 레이저 스킬처럼 여러 명의 적에게 타겟팅 되는 공격은 그 인원 수가 늘어난다. 근접무기 부착물 에너지 자루의 투사체 개수는 늘어나지 않는다.[20] 인터넷 소년 같은 경우는 한 몬스터에 전기를 꽂으면 주변에 제일 가까운 다른 몬스터 한마리에게 연결되어 피해를 입힌다.[21] 무기를 들고 하드 모드를 클리어해 지하실에 금장을 새기는 유저의 경우 한 판에 무기 1개를 더 금장할 수 있어 나오면 꼭 찍어야 하는 특성[22] 원소 무기라고 번역되어있지만 속성 무기라고 생각하는게 정확하다.[23] 암살자의 기본 특성인 근접무기 탄 튕김과의 조합도 좋다. 40m장검과 함께하면 더할 나위 없는 사기 조합[24] 영문에서도 보면 알 수 있듯이 콤보 히트인데 어째선지 콤보 피트로 오타같은 오역을 했다. 그런데 콤보 피트로 부르는 사람도 많다.[25] 한번에 여러 번 공격하는 무기. 대표적으로 차차세대 기관단총, 암살자의 피의 칼날, 엔지니어 기본 무기가 있다. 얼음과 불의 독수리는 예외이다.[26] 도적, 연금술사, 늑대의 2번 스킬에도 1씩 스택이 늘어난다. 마법사 2번 스킬에 적용하면 얼음 가시가 더 멀리까지 나간다.[27] 특히 늑대.[28] 단 1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는다.[29] 구린 특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상점에서 한 대, 카레 방망이 등 높은 등급의 근접무기들이 상점에 나타날 확률이 매우 증가하는 장점도 있다.[30] 플레이어가 용병의 원거리 무기를 주워 사용할 수는 있지만 다시 용병에게 들린 상태로 이동하지 않는 한 한 층만 사용 가능하다.[31] 캐릭터의 아래 띠에는 마지막에 선택한 조각상의 색깔이 나온다.[32] 레일건, 활, 그라운드워터 등.[33] 로봇의 1스킬 공격력인 2는 유지되지만 공속은 2배가 되어 순식간에 녹는 잡몹들을 볼 수 있다.[34] 이 미션으로 세검을 들고 공격 버튼을 꾹 누르면서 이동하면 미끄러지듯 전진하며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35] 눈의 유인원 장궁, 프로스트 활, 수정 게의 카타나 등.[36] 단,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는 충전된 레일건 등을 난사하면 에너지가 바로 0으로 줄어버리는 마법을 볼 수 있다.[37] 단, 히든맵 보스들의 경우 두 번째 보스로는 등장하지 않는다.[38] 컷씬에서는 제사장 하나만 나와서 강화된 뒤에, 기본 고블린 제사장이 하나 더 나타난다. 때문에 강화 제사장을 한번에 둘 씩 만날 수는 없다.[39] 예시로 최대 체력이 5이면 2까지만 회복된다.[40] TIP 3-4의 캐릭터가 3-5로 이어진다.[41] 신비의 상인으로부터 최대 체력을 깎인 뒤에 깎인 체력보다 최대 체력이 낮은 캐릭터가 되면 체력이 0이된다.[42] 다만 이 경우엔 1레벨 능력치인 상태로 플레이하게 된다.[43] 현재 소지한 돈의 절반을 요구하는 로봇 용병에게 말을 걸면 코인 갯수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44] 무한 반복 모드를 통해 4-1이상의 맵을 진행할 때는 적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