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증
'''Hydrocephalus'''
[image]
뇌척수액(CSF)의 순환 및 배출(absorption)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 드물게 맥락얼기 유두종(choroid plexus papilloma)으로 인해 뇌척수액 과잉생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수두증은 폐쇄성과 비폐쇄성으로 나누어 구분하게 된다.
연령에 따라 보여질수 있는 증상이 다르며, 또한 질병에 따라 두개내압(ICP) 상승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증상의 심각도가 다르다.
신생아(infant)의 경우 보여질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이런 신체적인 소견이 보여질 경우 두부CT스캔을 시행해 수두증을 확인하게 되며, 치료는 뇌실복강션트(ventriculoperitoneal shunt)를 시행하여 수두증 증상을 완화시킨다.
[image]
1. 개요 및 원인
뇌척수액(CSF)의 순환 및 배출(absorption)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 드물게 맥락얼기 유두종(choroid plexus papilloma)으로 인해 뇌척수액 과잉생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수두증은 폐쇄성과 비폐쇄성으로 나누어 구분하게 된다.
- 폐쇄성(obstructive)-비소통성(noncommunicative)은 뇌척수액의 순환장애(circulation issue)에 의한 경우로, 대부분 특발성 중뇌수도(cerebral aqueduct)의 협착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혹은 선천성 볼거리(mumps) 감염 및 출혈로 인해 이 부분에 협착이 생기면서 수두증이 보여지기도 한다. 그 외에 제 4뇌실(forth ventricle)에 뇌종양 및 여러 병변으로 인해 폐쇄성 수두증이 보여지기도 한다.
- 비폐쇄성 혹은 소통성(communicative) 수두증은 뇌척수액의 배출장애(absorption)에 의한 경우로, 대부분 지주막하 뇌출혈(subarachnoid hemorrhage)로 인해 수두증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이며, 혹은 결핵 및 폐렴균으로 인해 이 형태의 수두증이 보여지기도 한다.
2. 증상, 진단 및 치료
연령에 따라 보여질수 있는 증상이 다르며, 또한 질병에 따라 두개내압(ICP) 상승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증상의 심각도가 다르다.
신생아(infant)의 경우 보여질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급격한 머리둘레(head circumference)의 증가
- 전천문(anterior fontanel)이 튀어나옴(bulging)
- 두피정맥(scalp vein)이 커짐
- 낙조현상(setting sun sign) - 이는 안구가 내려가고 흰 공막이 윗눈꺼풀 아래로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 상위신경관련 증상(UMN)
이런 신체적인 소견이 보여질 경우 두부CT스캔을 시행해 수두증을 확인하게 되며, 치료는 뇌실복강션트(ventriculoperitoneal shunt)를 시행하여 수두증 증상을 완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