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신옹주

 


1. 개요
2. 관련 문서


1. 개요


淑愼翁主
태조와 관기출신 후궁인 화의옹주[1] 김씨 사이에 태어난 딸이다. 태조가 말년에 본 딸로 그 어머니 화의옹주는 김해의 관기 칠점선(七點仙)이었으며, 태조 7년(1398년) 후궁에 정식으로 봉작되었다. #
나이는 기록이 없지만 건문 3년(1401년) 당시 아직 어리다는 기록이 있고, 생모 화의옹주가 태조 7년(1398년)에 후궁으로 봉해졌으므로 이 해를 전후해서 태어났다고 하면 건문 3년(1401년) 시점에서 3, 4살 정도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태조는 나이 70세를 앞두고 아직 어린 옹주를 위해 숙신옹주가대사급성문이라는 문서를 하나 남겨준다. 옹주의 집터, 집 방향, 집에 쓰이는 재목, 가옥의 배치, 건물의 칸수를 적었고 끝에는 그 집에 옹주의 자손이 영원히 거주할 것을 밝히는 문서이다. 여기에서는 옹주의 이름이 며치(㫆致)라고 나와 있다.

“건문(建文) 3년(1401) 신사년(辛巳年) 9월 15일 첩의 소생인 며치(㫆致)에게 상속 문서를 작성해 준다. 비록 며치가 나이 어리고 첩에게서 난 여자 아이지만, 지금 같이 내 나이 장차 70이 되는 마당에 가만히 있을 일만은 아닌 듯 하다. 동부(東部)에 있는 향방동(香房洞)의 빈터는 돌아간 재상 허금의 것으로 잘 다듬어진 주춧돌과 함께 샀으니, 집은 종을 시켜 나무를 베어다가 짓도록 하여라. 몸채 두 칸은 앞뒤에 툇마루를 하고 기와로, 동쪽에 붙여 지은 집 한 칸도 기와로, 부엌 한 칸도 기와로 잇는다. 술 방 세 칸은 이엉으로, 광 세 칸은 앞뒤에 툇마루를 하고 이엉으로, 다락으로 된 곳간 두 칸은 이엉으로, 안 사랑 네 칸도 이엉으로, 서방 두 칸은 앞뒤에 툇마루를 하고 이엉으로, 남쪽에 있는 마루방 세 칸은 앞에 툇마루를 하고 이엉으로 잇는다. 또 다락으로 된 곳간 세 칸은 기와로 이어서 모두 스물 네 칸을, 주춧돌과 함께 구입한 허금 집터의 매매 문서와 함께 상속해 주노라. 영원토록 그 곳에서 살도록 하되 훗날에 별다른 일이 있거든 이 상속 문서를 가지고 관청에 신고해서 올바르게 변별하고 자손들이 전해 가지며 오래도록 거주 하도록 하여라.”#

검교참찬문하부사(檢校參贊門下府事) 홍언수(洪彦修)의 아들 당성위(唐城尉) 홍해(洪海)에게 하가하였다. 옹주는 단종시절인 1453년 사망했다.
실록에서 숙신옹주를 검색해보면 정종태종, 성종에게도 똑같이 숙신옹주로 봉해진 딸이 있었던 것으로 나온다. 정종의 딸 숙신옹주는 후궁 기씨(奇氏) 소생으로 전주부윤(全州府尹) 김검(金謙)의 아들 김세민(金世敏)에게 출가하였고, 태종의 딸 숙신옹주는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윤창(尹敞)의 아들 파원군(坡原君) 윤평(尹泙)에게 시집갔는데, 실록에는 이때 숙신옹주는 전통적인 데릴사위 즉 장가드는 신랑이 신부의 집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신부가 신랑의 집으로 들어가 사는 친영을 처음으로 행했다고 적고 있다. [2] 성종의 딸 숙신옹주는 성종 18년(1487년)에 요절한 인물 외에도[3] 성종 20년(1489년)에 12세로 사망한 인물이 더 나와서 헷갈린다. [4]

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