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시계
1. 개요
스위스에서 만들어진 시계. 쿼츠 시계 등장이후 한차례 위기를 맞이했지만 고급화 전략으로 맞대응했고 그 결과 "명품시계"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시계가 바로 스위스 시계가 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 애플 워치를 필두로한 스마트 워치 시장의 성장, 세계 경제의 장기 불황등이 겹치며 2016년 기준 생산물량의 8%가 재고처리 되는 등 또다시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안 팔리는 스위스 고급시계…5년새 반품 배로 늘어
2. 배경 및 내용
'''전 세계의 모든 손목시계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평가를 받는 제품.''' 위상 면에서 넘사벽의 인지도와 가치를 지닌 최고로 치며, 아예 손목시계 산업은 스위스산과 비스위스산으로 나누어 진다고 해도 무방하다. 단순히 최종 조립을 스위스에서 했다고 'Made in XXX' 하는 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법에 규정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기계식 시계가 발명된 이래 스위스의 시계는 높은 평판을 구가해 왔지만, 1969년 쿼츠 시계의 등장으로 위기를 맞게 된다. 기계식 시계로는 죽었다 깨도 못 따라갈 정확도를 가진 쿼츠 시계가 가격마저도 급속도로 저렴해지고 있었다. 스위스 시계의 고급 이미지를 유지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스위스 의회는 1971년 12월 23일, 스위스 시계의 조건을 규정한 법을 통과시킨다. 아래 세 조건을 만족한 시계만 'Swiss Made' 라는 인장을 새길 수 있도록 했다. #
- 무브먼트가 스위스제여야 한다. 즉, 무브먼트 재료의 가격 절반 이상이 스위스에서 생산된 것[1] 이어야 하며 그 조립과 검수 역시 스위스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최종 완성품의 조립이 스위스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최종 완성품이 스위스 내에서 검수되어야 한다.
- 무브먼트의 핵심부인 메인 스프링, 톱니바퀴만 스위스에서 생산하고, 나머지는 아시아에서 싸게 조달한다.
- 이것들을 중국이나 태국의 공장으로 모아서 무브먼트를 반조립한다.
- 반조립된 무브먼트를 스위스로 다시 가져와서 최종 조립, 검수한다. 이것으로 법적 조건의 1 통과.
- 이 무브먼트로 시계를 만든다. 법적 조건의 2, 3 통과.
- Swiss Made 인장을 찍어서 판다.
3. 관련 문서
- 제네바 홀마크 - 업그레이드 버전(?)
- 스위스 공업에 대한 도시전설 - 내용 자체는 유머나 와전이지만 그 만큼 한국내에서 스위스 시계에 대한 평판이 어느정도인지 알수있는 척도이기도 하다.
[1] 조립 비용을 제외한 부품 가격 기준. 그러니까 무브먼트 부품이 모두 합쳐 100원이면 50원어치 이상은 스위스제를 사야 한다. 본문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이것이 결국 꼼수에 활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