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대학원
1. 일반대학원
1.1.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사학과
- 교육학과
- 문화콘텐츠학과
- 디지털휴머니티학과[1]
1.2. 자연과학대학
- 수학과
- 물리학과
- 생명과학과
- 화학과
1.3. 사회과학대학
- 경제학과
- 심리학과
- 응용사회학과
- 정치외교학과
- 행정학과
1.4. 공과대학
- 기계공학과
- 산업공학과
- 화학공학과
- 신소재공학과
- 환경공학과
- 환경안전공학과
- 건설시스템공학과
- 교통시스템공학과
- 건축학과
- 건축공학과
- 시스템공학과
- 도시개발학과
- 분자과학기술학과
- 에너지시스템학과[2]
-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1.5. 경영대학
- 경영학과
- 비즈니스애널리틱스학과
- 글로벌경영학과
- 금융공학과
1.6. 정보통신대학
- 전자공학과
- 컴퓨터공학과
- 미디어학과
- 지식정보공학과
- 국방디지털융합학과
- AI융합네트워크학과
- 인공지능학과
1.7. 법과대학
- 법학과
1.8. 의과대학
- 의학과
- 의생명과학과
1.9. 간호대학
- 간호학과
1.10. 약학대학
- 약학과
1.11. 학과간 협동과정
- 의용공학과
- 우주전자정보공학과
- 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
- 소프트웨어특성화학과
- 의약생명정보시스템협동과정
- 라이프미디어협동과정
1.12. 학연산 협동과정(협약체결기관)
- 고등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농촌진흥청, 한국나노기술원, LIG넥스원(주), (주)휴니드테크놀러지스, 한화탈레스(주),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기계연구원 (13)
2. 전문대학원
2.1. 법학전문대학원
3. 특수대학원
3.1. 공학대학원
- 기계공학과
- 화학생명공학과
- 환경안전공학과
- 산업시스템공학과
- 지식재산공학과
- 물류SCM학과
- 에너지학과
3.2.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 경영관리
- 경영전략
- 마케팅
- 인사조직
- 재무
- 회계학
- MS/OM(경영과학/운영관리)
- IT비즈니스
- 헬스케어
- 코칭
- 협상
- ERP(SAP트랙)
- 창업벤처
- 연구기술경영
-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3.3. 국제대학원
- 국제경영학과
- 국제통상학과
- NGO학과
- 국제개발협력학과
- 융합에너지학과
3.4. 교육대학원
2020년 기준 설치 전공은 다음과 같다. 2018~2020년도 중등임고 합격자가 1명이라도 배출된 전공은 ◎를, 중등교사가 아닌 다른 직업으로 진출하게 되는 전공은 ◆를 표기한다.
- 교육학과
3.5. 공공정책대학원
- 행정학과(행정학전공/사회복지학전공)
- 정책학과(부동산전공)
3.6. 정보통신대학원
- 정보통신공학과
- 정보통신전공
- 정보통신/C4I 전공
- 사이버보안전공
- 사이버보안/C4I 전공
- IoT(사물인터넷) 전공
- C4ISR 전공
- 지능형소프트웨어 전공
3.7. 교통•ITS대학원
- 교통•ITS학과 (교통공학전공/ITS전공)
- 철도시스템학과
3.8.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 보건정책과 관리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역학과 건강증진 (Epidemiology and Health Promotion)
- 안전보건 (Safety Promotion and Occupational Health)
- 국제보건 (Global Health)
3.9.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치의학과
- 구강악안면외과학
- 치주보철·임플란트학
- 치과교정학
- 통합치의학
- 임상구강보건학과
3.10. IT융합대학원
- IT융합공학과
3.11. 글로벌제약임상대학원
- 글로벌제약임상약학과
- 임상상담약학
- 의약
- 기능성소재
[1]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융합분야(CRC)에 선정되어 개설되었다. 의료인문 융합인력을 양성하기 위함이다. 스토리텔링, 콘텐츠, 정신건강,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콘텐츠, 의료, 데이터마이닝 분야에 특화된 융합형 교육과정이다.[2] 2007년 대선 때 기호 7번으로 출마했던 정근모 박사가 1987년 설립을 건의, 초대 학부장을 지냈다. 대한민국 최초로 세워진 에너지 관련 학과였으며, 에너지센터(전산소) 2층에는 '정근모실'이란 회의실도 있다. BK21 2차년도에서 2년연속 최우수실적을 내고 있다. 세부 전공은 에너지전공, 응용화학전공, 응용물리전공, 에너지화공재료전공으로 나뉜다.[3] 18년도에 1명이 합격했다.[4] 18년도에 영어과 합격자가 한 명 있기는 한데, 학부생인지 교육대학원생인지 확실하지가 않다.[5] 20년도에 3명, 19년도에 2명이 합격했다.[6] 가장 많은 합격자를 배출한 전공으로 20년도에 30명, 19년도에 21명, 18년도에 16명이 합격했다.[7] 중등교사가 아닌 교육행정가를 양성하는 전공이다.[8] 이 역시 중등교사를 양성하는 전공이 아니다.[9] 중등교사가 아닌 청소년상담사를 양성하는 전공이다.[10] 이 전공은 임용고시에 합격하지 않아도 사립 유치원 교사로 취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순히 임고 합격자가 0명이라고 해서 아웃풋이 안나오는 것은 아니다.[11] 중등교사가 아닌 영재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전공이다.[12] 중등교사가 아닌 평생교육사를 양성하는 전공이다.[13] 중등교사가 아닌 대학 행정 직원을 양성하는 전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