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미트 내적
Hermitian inner product
1. 개요 및 정의
프랑스의 수학자 샤를 에르미트(Charles Hermite)가 복소 벡터공간에서 정의내린 특수한 내적을 의미한다. 원래 복소공간은 벡터공간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벡터합과 스칼라곱이 정의되지만, 자기 자신을 내적할 때 실수가 나와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산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걸 보완하기 위해 sesquilinear form[1] 을 도입해서 새롭게 만들어진 연산이 바로 에르미트 내적이다.
즉 에르미트 내적은 다음의 5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left< - , - \right> : V \times V \rightarrow \mathbb{C}$$로 정의된다.
- $$\left=\left+\left
$$ - $$\left=\left+\left$$
- $$\left<\alpha u, \beta v\right>=\alpha\displaystyle{\overline{\beta}}\left$$(단, $$\alpha, \beta \in \mathbb{C}$$)
- $$\left=\displaystyle{\overline{\left
}}$$ - $$\left\geq 0$$, [2] 등호는 $$u=0$$일 때만 성립
참고로 위의 정의는 왼쪽 변수에 대해 선형이고 오른쪽 변수에 대해 켤레 선형(conjugate linear)적인데, 반대로 정의할 수도 있다. 수학에서는 반반이고, 물리학에서는 거의 무조건 오른쪽 변수에 대해 선형인 관습을 취한다.
한편, 이를 폴 디랙이 이를 약간 변형시키기도 했는데 디랙 표기법이라고 한다.
2. 예시
기본적인 예시로는 $$\mathbb{C}^{n}$$상에서 $$\left<z, w\right>=\displaystyle{\sum_{i=1}^{n} z_{i}\overline{w_{i}}}$$($$z=\left(z_1, z_2, ..., z_n\right), w=\left(w_1, w_2, ..., w_n\right)$$)으로 정의하는 내적이 있다. 마치 유클리드 공간의 기본 내적(standard inner product) 정도의 지위를 갖고 있는 녀석이다.
유클리드 공간에도 다른 내적이 있듯이 $$\mathbb{C}^n$$ 위에서도 다른 내적이 있고, 이들은 모두 에르미트 행렬 (즉 $$ A^{*} = A$$)에 대해 $$ \left<z,w\right> = \bar{w}^t A z$$의 꼴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저렇게만 쓰면 에르미트 형식이고, $$A$$의 고윳값이 모두 0보다 큰 양의 정부호성(positive definiteness)을 만족해야 내적이 될 수 있다.
공간 위의 함수에 대해 $$\left<f,g\right> = \int f(x) \overline{g(x)} dx$$을 $$L^2$$ 내적이라 부르고, 이 $$L^2$$ 내적이 유한한 함수들의 벡터공간을 $$L^2$$ 공간이라 부른다.
3. 힐베르트 공간
에르미트 내적을 갖고 있고, 이 에르미트 내적으로 정의된 거리에 대해 완비성(completeness)을 가진 (즉 임의의 코시수열이 수렴하는) 공간을 '''힐베르트 공간'''(Hilbert space)이라 부른다. 모든 유한차원의 에르미트 내적공간과 $$L^2$$ 공간 모두 힐베르트 공간이지만, 모든 에르미트 내적공간이 완비성을 지닌 것은 아니다. 다만 완비화(completion)의 과정을 통해 힐베르트 공간으로 만들어줄 수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