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독신수

 


1. 개요
2. 특징


1. 개요


"부엌 항아리 속의 양념장이 아니야! 독이라고, 독! 몸 안에서 직접 생성해내는 독! 그 기운이 손에 이르러 조화를 이루니까 오독신장이라고 불리는, 독공이라는 말이야! 고기에 붓고 죽에다 끼얹어 맛 내는 양념이 아니라고!"

- 『녹림대제전』에서 독군자가 자신을 따라한 뒤 손가락 빨고 있는 왕삼구에게 분기탱천(憤氣撐天)하여 하는 말이다. 그러자 왕삼구는 몸에서 독을 생성해낸다고 독사 같은 놈이라며 독군자를 두들겨 팬다.

풍종호 무협소설 『경혼기(驚魂記)』에 등장하는 독왕(毒王), 당대 최정상의 다섯 고수라는 천하오패(天下五覇) 중 그 이름만 들어도 세인들은 벌벌 떤다는 최고의 독술가의 절기가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기수식(起手式)에 해당하는 무공이 '''오독신수(五毒神手)'''이다.[1] 오색살수(五色殺手)가 하나의 독성(毒性)에 하나의 절기를 사용하는 총 다섯 가지의 무공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오독신수는 언제 어느 때라도 다섯 가지 독성을 한 번에 발휘하는 상승(上乘)의 독공이다.[2] 몸 안에서 다섯 가지의 독을 자체 생성하기 때문에 익히는 자마다 독의 종류가 항상 달라지며, 자연스레 통제도 가능하여 손으로 발출 할 수가 있다.
녹림대제전(綠林大帝轉)』에서 독군자(毒君子)는 독왕을 뛰어넘고자 했으나, 수십 년의 세월 동안 독왕의 절기에 닿지 못한다. 자포자기(自暴自棄)한 상태로 작금에는 그저 기수식인 오독신수만이라도 완성하고자 노력한다. 실상 독군자는 오독신수를 그저 철사련(鐵砂練)의 독장(毒掌), 흔히 독사장(毒砂掌)이라 부르는 독공에 다섯 가지 독성을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어서 도달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왕삼구를 만나면서 기연을 얻어 진정한 오독신수를 깨우친다.

2. 특징


  • 오독(五毒): 오색 손가락으로 물들인 다섯 가지 독은 손바닥으로 모여들어 투명한 이슬이 박힌 듯한 일색(一色)의 기운으로 엮인다. 그 기운이 손목을 거쳐 어깨를 지나 가슴의 오장(五臟)에 자연스레 스며들어 육부(六腑)로 번져가고, 심장 박동에 맞춰 온몸으로 스며간다. 그리고 그 기운이 다시 손끝으로 흘러 또 다른 오색의 무늬를 자아낸다. 즉, 연성자의 심경 변화에 따라 언제든 다섯 가지 독성을 다른 성질로 교체할 수 있어서 독성이 변하는 대로 선명한 다섯 가지 색채의 변화가 나타난다. 깊게 연성할수록 그 색채가 선명해지며, 무늬도 훨씬 더 정교하고 복잡한 얼룩으로 변해 마치 손바닥 위에서 춤을 추고 있는 듯한 화려함을 자랑한다.
[1]지존록(至尊錄)』에 나온 황혼기령문(荒魂棄靈門)의 후예인 번도는 철비파수(鐵琵琶手)의 고수이다. 개별적인 철비파지나 철비파장을 익힌 사람은 찾아보면 있지만, 철비파수 같은 걸 익힌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애당초 수법(手法)이라고 하는 것의 정의부터가 권(拳), 장(掌), 지(指) 등의 총체라 그러한 것들을 통합하여 완전한 수법으로서의 철비파수를 단련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라고 한다. 즉, 오독신수란, 오독신장-오독신지-오독신권 등등의 손으로 가능한 여러 기예의 단순한 덧셈을 넘어 총체적으로 통합하여 다루는 절기인 것이다.[2] 오독신수가 오색살수보다 강한 무공이다. 그렇지만 이 오독신수도 겨우 다섯 가지 독을 사용하는 것일 뿐, 독왕은 백 가지 독을 한 번에 사용하는 천독만화공(千毒萬化功)을 보여준다. 진짜 기수식이라 할 수 있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