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 시내버스/폐선
1. 개요
2. 목록
2.1. 2004년 개편
2.1.1. 10, 11, 12번
2.1.2. 15번
2.1.3. 16, 17, 18번
2.1.4. 36번
2.1.5. 53번 (2004년 개편)
2.1.6. 62번
2.1.7. 92번
2.1.8. 100번대
2.1.9. 360번대
2.2. 2016년 6월 20일
2.2.1. 문막순환(경동대)
2.3. 2017년 개편
2.3.1. 1번
2.4. 2019년 1월 1일 개편
2.4.1. 심야 2번
2.4.2. 3-1번
2.4.3. 5-3번
2.4.4. 9번
2.4.5. 49번
2.4.6. 50번
2.4.7. 51-1번
2.4.8. 54-1번
2.4.9. 84번
2.4.10. 85번
2.4.11. 통학12번, 하교노선
2.5. 2019년 5월 7일 개편
2.6. 2019년 7월 15일 개편
2.7. 2019년 8월 1일 개편
2.7.1. 25번
2.8. 2020년 5월 1일 개편
2.9. 2020년 6월 3일 개편
2.9.1. 86번
2.10. 2021년
1. 개요
원주시의 시내버스 노선 중 폐선된 노선들에 대해 서술한다.
2. 목록
2.1. 2004년 개편
[image]
현재 사진 속 정류장은 신형 정류장으로 교체된 상태이다. 노선도 이외에 간략한 경유지도 함께 적혀있었다.
2004년 개편 이전 내용은 대부분 이 노선도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2.1.1. 10, 11, 12번
관설동 종점을 출발하여 현 2번과 같이 선아아파트, 남부시장, 중앙시장을 경유한 후 태장2동을 지나 흩어지는 노선이었다. 10번이 태장주공, 11번이 장양리, 12번이 가현동 종점으로 향했다. 현 가현종점[1] 정류장은 12번의 흔적.
중앙시장의 일방통행 시행 이전 원일로와 평원로를 통과하는 노선들은 현재와 같이 왕.복편이 다른 길을 지나거나 15번 처럼 왕.복편이 같은 길(원일로)을 지났다. 10번대의 경우 양 방향이 다른 길을 지났다.
2003년 고속버스 터미널 이전 이후 6월부터 관설동 출발 기준으로 단계사거리→터미널→북원여고→단계사거리 순으로 단계동의 경로가 바뀌었다.
2004년 개편 때 10번은 6, 7번과 11번은 20번대 12번은 70번대 노선들과 겹친다는 이유로 인해 1번으로 통합되었고 심야에만 운행하는 노선으로 바뀌었다. 또한 원래 의료원 출발이던 62번이 2번으로 바뀜과 동시에 관설동 출발로 바뀌고 11번의 경로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1번으로 통합된 이후의 내용은 문서 참조.
2.1.2. 15번
현 5번의 전신. 현재 5번대 노선들과 거의 차이가 없는 노선이었다. 특히 현 5-1번과는 관설동에서 단계 현진아파트까지 노선이 아예 똑같은데, 15번은 이후 북원여고를 경유하여 대동택시, 진광중고를 지나 우산공단을 종점[2] 으로 삼았다.
2004년 개편이후엔 번호만 5번으로 바꾸고 큰 변동은 없었으나 2009년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과 동시에 단계동 이북이 모두 잘리고 시청 쪽으로 노선이 바뀌었다. 또 이 개편으로 대동택시와 우산공단, 우두산마을 구간을 3, 4번이 넘겨받게되었다. 5번 노선의 변천사는 문서 참조.
2.1.3. 16, 17, 18번
16번은 관설동을 기점으로하는 순환노선이었다. 관설동에서 성원아파트 구간은 혁신도시 구간을 제외한 현 6번 노선과 똑같으며 왕복운행 구간이다. 성원아파트를 지난 이후에는 단계아파트 - 국제아파트 - 중앙시장 - 원주경찰서 - 현충탑 - 진광중고 - 원주세무서 - 북원여고[3] - 법웅사 - 국제아파트 순으로 순환했다. 당시 자료 중에 단선 순환이라는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역방향 노선은 운행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7, 18번 또한 순환노선으로 16번과 달리 양방향의 번호가 달랐다. 의료원[4] 을 기점으로 하며 노선은 다음과 같다.
의료원 - 구곡 청구아파트 - 남원주중 - 남원주초 - 현진에버빌 - 원주중 - 시립박물관 - 풍물시장 - 중앙시장(평원로) - 학성초 - 과학고 - 태장주공아파트 - 진광중고 - 원주세무서 - 벽산아파트 - 고속버스 터미널 - 국제아파트 - 중앙시장(원일로) - 한주아파트 - 원여중 - 의료원
17번이 구곡택지를 먼저 경유 했으며 18번은 반대로 원여중을 먼저 경유했다.
세 노선이 폐선된 이후 6, 7번 순환선이 이 때 경로와 비슷하게 운행했다. 2011년 6, 7번이 왕복운행으로 분리된 이후 현재 원여중 구간은 6번이, 남원주중 등 단구동 구간은 7번이 경유한다. 또한 벽산아파트 구간은 3,4번이 넘겨받았다.
2.1.4. 36번
과거 30번대 노선들은 현재와 별 차이 없이[5] 장양리에서 출발해서 중앙시장을 지나는 노선이었다. 이와 달리 36번은 흥업방향으로 가는 것은 여타 30번대와 같으나 관설동에서 출발하여 현 6번 처럼 중앙시장을 거치지 않는 대신 의료원을 지났고, 강릉 원주대를 지나 연세대를 종점으로 삼았다.
2.1.5. 53번 (2004년 개편)
2019년에 폐선된 53번과는 번호만 같은 완전히 다른 노선이다.
과거 50번대 노선들은 현재와 달리 의료원을 기점으로 삼았는데, 이 때 노선 번호는 다음과 같았다.
- 51번: 의료원 - 문막
- 51-1번: 의료원 - 사제리[6] - 문막
- 52번: 의료원 - 간현
- 53번: 의료원 - 문막 - 부론 - 흥업 - 의료원
- 54번: 의료원 - 대산
- 55번: 의료원 - 문막 - 부론
- 56번: 의료원 - 월송
- 57번: 의료원 - 상구현
- 57-1번: 의료원 - 양동
2.1.6. 62번
현 2번의 전신. 2번과 달리 의료원을 기점으로 삼으며 단관택지와 함께 도영쇼핑까지 경유했었다. 1997년 1월 부터 노선 변경 전까지 태창운수 소속의 좌석버스 2대가 일 19회 운행하기도 했었으며 62-7번의 경우 둔내 행 노선이었다. 출처
2004년 개편과 동시에 번호가 2번으로 바뀌고 기점이 관설동으로 연장되었다. 이 중 중앙시장을 경유하는 노선은 10번대의 시내구간을 넘겨 받았다.
횡성 노선의 단관택지 경유는 현 2-1번에 남아있다.
2.1.7. 92번
현 90번과 91, 92번은 한라대로 향한다는 것은 비슷했으나 시내구간에서의 공통점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90번은 현재와 같이 kt지사를 지나며 일산동 한주아파트와 고속버스 터미널을 경유했고 91번은 의료원 출발에 현 6번처럼 평원중을 경유했었다.[7] 92번은 장양리에서 출발하여 시내로 바로 가던 90번과 달리 단계동을 경유하여 한라대로 향하는 노선이었다.
2.1.8. 100번대
100~103번 총 4노선이 있었다. 모두 의료원을 기점으로 하여 현 8번처럼 흥업과 한라대를 지나 고속버스 터미널과 단계택지를 경유하여 이후 행선지로 흩어졌다.
- 100번: 원주공고 종착.
- 101번: 황골 종착.
- 102번: 태장동 상록아파트 종착
- 103번: 태장동 동보렉스아파트 종착.
2.1.9. 360번대
관설동과 태장동 상록아파트를 기점으로 하는 시내 노선들이었다. 361, 362, 363, 364, 365번이 있었으며 361번을 제외하고 모두 관설동 출발이었다. 부론에 있던 정류소의 노선도에는 363번이 있었으나 경유지 부분에서 누락돼 있음에 따라 363번은 제외하고 서술한다.
- 361번: 상록아파트 - 장양리 - 우산동 - 단계택지 - 삼육고 - 육민관고
- 362번: 관설동 - 남부시장 - 종합운동장 - 육민관고
- 364, 365번: 관설동 - 봉산동 - 단계택지 - 삼육고(364번) - 육민관고 - 한라대(365번)
2.2. 2016년 6월 20일
2.2.1. 문막순환(경동대)
총 운행거리 5.8km의 단거리 노선.
2016년 6월 20일에 51(경동대)와 59번으로 분리되었다. 원주시 공지사항 원주시 개편 내역에는 이 노선이 관설동으로 연장되어 59번이 되었고, 51(경동대)가 새로 신설된 것으로 되어 있다.
2.3. 2017년 개편
2.3.1. 1번
가장 먼저 폐선된 심야 버스 노선. 2012년 7월에 한 차례 감회되고 2017년 11월에 폐선되었다. 원주 버스 1 문서 참조.
2.4. 2019년 1월 1일 개편
[image]
2.4.1. 심야 2번
원주 버스 2 문서 참조.
2.4.2. 3-1번
4-1번과 함께 폐선된 노선이다. 이 노선이 폐선된 덕분에 시내순환의 배차가 크게 늘어났으며 3, 4번의 굴곡도 더욱 심해졌다.
원주 버스 3, 4 문서 참조.
2.4.3. 5-3번
원주 버스 5 문서 참조.
2.4.4. 9번
원주 버스 9 문서 참조.
2.4.5. 49번
원주 버스 49, 50 문서 참조. 장양리 발 51번이 2009년 10월에 노선번호를 변경한 노선이였다.
2.4.6. 50번
원주에 그나마 남아있던 심야 노선들이 2019년 개편으로 인해 공식 폐선되었다.
원주 버스 49, 50 문서 참조.
2.4.7. 51-1번
새벽시간 만종역 연계를 위한 노선이었다. 51-2, 51-3번과 함께 폐선
원주 버스 51 문서 참조.
2.4.8. 54-1번
원주 버스 54 문서 참조.
2.4.9. 84번
원주 버스 84 문서 참조.
2.4.10. 85번
원주 버스 85 문서 참조.
2.4.11. 통학12번, 하교노선
원주시 시내버스/등교노선 문서 참조.
2.5. 2019년 5월 7일 개편
[image]
2.5.1. 33번
원주 버스 33 문서 참조.
2.5.2. 35번
원주 버스 35 문서 참조.
2.5.3. 51번(대둔리, 등안리, 밤산골, 진밭)
원주 버스 51 문서 참조.
2.5.4. 53번
원주 버스 53 문서 참조.
2.5.5. 91번
원주 버스 91 문서 참조.
2.6. 2019년 7월 15일 개편
[image]
2.6.1. 81-1번
원주 버스 81 문서 참조.
2.6.2. 83번
원주 버스 83 문서 참조.
2.7. 2019년 8월 1일 개편
2.7.1. 25번
원주 버스 25 문서 참조.
2.8. 2020년 5월 1일 개편
2.8.1. 누리버스 7번
누리버스 문서 참조.
2.8.2. 누리버스 12번
누리버스 문서 참조.
2.9. 2020년 6월 3일 개편
2.9.1. 86번
원주 버스 86 문서 참조.
2.10. 2021년
2.10.1. 100-1번
원주 버스 100-1 문서 참조.
2.10.2. 5-1번
원주 버스 5 문서 참조.
2.10.3. 8번
원주 버스 8 문서 참조.
[1] 현재 여기서 회차하는 노선은 없다.[2] 우산동에서는 단방향으로 순환하며 회차한다. 우산공단→우두산마을→도로관리사업소 순.[3] 노선이 약간 특이한데, 단계사거리 - 원주세무서 - 벽산아파트 - 북원여고 - 단계사거리 순으로 한 번 더 순환한다. 즉, 순환노선 안에 순환 구간이 한 번 더 끼어 있는 셈[4] 과거 개운동 차고지 였던 곳을 말한다.[5] 2009년 터미널 개업으로 노선이 한 차례 변경된 것을 빼면 노선에 큰 변화는 없었다. 다만 32번의 경우 2004년 개편 전에는 의료원 출발이었다.[6] 현 55번과 같다.[7] 당시엔 무실동 일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이전이라 현재와 같이 평원중~법조사거리를 잇는 도로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당시 91번은 평원중을 경유하고 한지공원 앞에서 우회전, 이화마을을 지나 90번과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