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Fan Concert Asia Tour (2009)
2.6. JG TIME with you (2012-13)
1. 개요
배우
이준기의 팬콘서트, 팬미팅, 단관
[1] 드라마 마지막회 '''단'''체 '''관'''람.
, 행사 등을 서술한 문서.
2. 팬콘서트
배우임에도 '''콘서트 형식의 팬미팅'''을 꾸준히 여는 것으로 유명하다. 평소에도 팬들에게 잘 대해 준다는 점도 널리 알려져 코어 팬들을 많이 모은 편이다.
특히 팬콘서트를 위해 직접 노래를 부르고 작사를 해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 이준기의 앨범 발매는 팬들을 위한 프로젝트 성격이 강하지만, 실력 있는 작곡가들에게 곡을 받아 전문가에게 보컬 트레이닝을 받고 높은 수준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등 프로다운 면모를 보여준다. 보통 배우들의 팬미팅은 가수와 달리 단조롭게 구성되지만, 이준기의 팬콘서트는
컨텐츠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 한류스타로서 무한한 확장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받는다.
이준기는 이후에도 일본, 중국, 대만, 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팬콘서트를 확장했다. 제대 후에도 한국과 일본에 싱글 앨범을 발매하며 팬콘서트 활동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다.
2013년
네이버 스타칼럼에서 쓴 글에 따르면, 이준기 본인은 이러한 팬콘서트를 준비하는 것이 “미치게 좋다”고 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팬콘서트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너무 큰 사랑을 받아 무언가 해주고 싶은데, 당시에는 어떻게 준비해야 되는지도 잘 몰랐다. 해보고 싶은 것이 너무 많던 혈기 넘치던 어린 이준기를 보고 주변의 우려도 많았다. 대부분 “배우가 왜 노래 하고 춤추냐”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나는 팬들과 미치도록 소통하고 싶다. 팬들을 위해 무언가 준비하고 함께 잔치를 하는 에너지 넘치는 그 느낌이 좋았다. 오히려 팬 미팅을 통해 내가 좋은 기운과 에너지를 선물 받는다는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저는 투어를 준비할 때 단순히 팬미팅이라고만 여기지 않아요. 기획 과정부터 각 분야의 공연 전문가들과 계속해서 의견을 나누고 또 모여서 회의를 하고 여러 번의 시뮬레이션을 거쳐 결과를 도출해요. 제 팬미팅 공연을 만들어가는 자체가 창작의 연속이에요. 팬 여러분과 만나서 시너지를 내고 그 무대를 가지는 시간만큼은 긴 시간 동안 다양한 공연 기획자들과 공연에 참여한 모든 분들의 노력이 빚어낸 새로운 창조물이라고 생각해요. 때문에 3시간이 넘는 시간 내내 쉬지 않고 공연을 해도 지치질 않아요. 오히려 황홀함을 느낄 정도로 푹 빠져 있어요(웃음). 작품은 쉬고 있지만 이런 방식으로 창작 시간을 계속해서 가져갈 수 있다는 그 자체가 축복이라고 생각해요. 팬 여러분의 사랑이 없었다면 공백기를 이렇게 즐길 수 있었을까요? 투어를 통해 무엇보다 좋았던 건 너무나 많은 팬 여러분의 사랑을 느낄 수 있었다는 거예요.
THE STAR 인터뷰 中
2.1. 에피소드 I (2006)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5월 21일
| 서울
| 대한민국
| 잠실실내체육관
|
|
2006년 신드롬을 일으킬 당시, 1만 2000여명의 팬들이 참석한 잠실실내체육관에서 노래, 춤, 각종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에피소드 I’을 열었다. 당시 2억원이라는 비용이 들어갈 화려한 무대였고, 케이블에서 방송되기도 했다.
#2.2. 에피소드 II <MASK> (2009)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4월 18일
| 서울
| 대한민국
| 올림픽공원 펜싱경기장
|
|
에피소드 I 이후 3년만에 개최된 에피소드 II의 주제는 '마스크'로, 배우로서 갖춰야 할 '천의 얼굴'을 의미한다. 게스트로는 에피소드 I에서도 함께한
팝핀현준이 출연했다. 약 3시간 동안 팬들을 위해 준비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2.3. Fan Concert Asia Tour (2009)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5월 29일
| 상하이
| 중국
| 상하이 대무대
|
|
5월 30일
| 항저우
| 항저우 체육관
|
|
7월 18일
| 고베
| 일본
| 고베국제회관 고쿠사이홀
|
|
7월 19일
| 요코하마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
9월 26일
| 타이베이
| 대만
| 타이베이 국제회의센터(TICC)
| '''<J-style 팬콘서트 In Taipei>'''
|
2.4. Reunion JG (2012)
- ≡ 펼치기 · 접기
| '''2012'''}}} {{{-2 '''Reunion JG'''
|
|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2월 16일
| 서울
| 대한민국
| 상명아트센터 계명홀
| 제대 이벤트
|
2.5. Coming Back! (2012)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3월 16일
| 나고야
| 일본
| 나고야 국제회의장 센츄리홀
|
|
3월 18일
| 요코하마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
3월 19일
| 오사카
| 오사카 국제회의장 그란큐브 오사카
|
|
4월 28일
| 상하이
| 중국
| 루완 스타디움
|
|
2.6. JG TIME with you (2012-13)
- ≡ 펼치기 · 접기
| '''2012'''}}} {{{-2 '''JG TIME with you at Home'''
|
|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2012년'''
|
12월 4일
| 나고야
| 일본
| 나고야 국제회의장 센츄리홀
|
|
12월 5일
| 오사카
| 오사카 국제회의장 그란큐브 오사카
|
|
12월 10일
| 요코하마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
12월 29일
| 서울
| 대한민국
| 대학로뮤지컬센터 대극장
| '''<at Home>'''
|
'''2013년'''
|
1월 26일
| 베이징
| 중국
| 마스터카드 센터
|
|
2.7. JG NIGHT (2013-14)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2013년'''
|
12월 14일
| 서울
| 대한민국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 '''<at Home>'''
|
'''2014년'''
|
1월 4일
| 베이징
| 중국
| 베이징 전람관극장
|
|
1월 11일
| 상하이
| 상하이 대무대
|
|
1월 27일
| 나고야
| 일본
| 나고야 국제회의장 센츄리홀
|
|
1월 28일
| 오사카
| 오사카 국제회의장 그란큐브 오사카
|
|
1월 30일
| 요코하마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
2월 15일
| 광저우
| 중국
| 중산기념당
|
|
서울을 시작으로 한 두 달여간의 아시아 순방 투어로, 누적 관객 수는 약 2만여 명이다. 게스트로는
유승찬이 출연했다.
2.8. Together (2014)
- ≡ 펼치기 · 접기
| '''2014'''}}} {{{-2 '''Together'''
|
|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11월 29일
| 요코하마
| 일본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사진
|
12월 2일
| 오사카
| 오사카 페스티벌홀
|
12월 3일
| 나고야
| 나고야 국제회의장 센츄리홀
|
12월 20일
| 광저우
| 중국
| 광저우 국제 스포츠 아레나
|
12월 24일
| 우한
| 화중과학기술대학교 광곡체육관
|
12월 27일
| 베이징
| 마스터카드 센터
|
투어의 명칭은 '투게더'로, 늘 팬들과 한마음으로 소통하고 싶어하는 이준기의 마음을 담았다고 한다.
2.9. THANK YOU (2016-17)
- ≡ 펼치기 · 접기
| | '''2016'''}}} {{{-2 '''THANK YOU'''
| '''2017'''}}} {{{-2 '''THANK YOU Again'''
|
|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2016년'''
|
12월 3일
| 서울
| 대한민국
| 상명대학교 계당홀
| 사진
|
12월 4일
|
12월 21일
| 나고야
| 일본
| 아이치현 예술극장
| 사진
|
12월 22일
| 오사카
| 오사카 국제회의장 그란큐브 오사카
|
12월 24일
| 요코하마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2017년'''
|
1월 8일
| 타이베이
| 대만
| 타이베이 국제회의센터(TICC)
| 사진
|
1월 22일
| 홍콩
| 중국
| 아시아 월드 엑스포
| 사진
|
3월 4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센토사 골프 클럽
| 사진
|
4월 15일
| 서울
| 대한민국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 앙코르 공연 '''<THANK YOU Again>'''
|
네이버 포스트
한국의 경우, 2016년 12월 3일 단독 공연이 계획되었으나 팬들의 추가 공연 요청으로 1회 더 추가되었다. 이후 계획되었던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
[2] HSBC 위민스 챔피언십 전야제 뮤직 페스티벌에 공식 초청을 받아 공연하게 되었다.
등에서 아시아 투어가 진행되었다. 한국 공연 당시 팬들에게 다시 만나자는 약속을 했었는데, 2017년 4월 15일 <THANK YOU Again>이라는 추가 앙코르 공연을 통해 약속을 지키게 되었다. 누적 관객 수는 약 2만 8천여 명이다.
약 두 시간 넘게 15곡이 넘는 노래와 화려한 퍼포먼스를 선보였으며, 게스트로는
길구봉구가 출연했다. 서울에서 신곡 ‘NOW’, 일본에서 ‘THANK YOU’의 뮤직비디오를 깜짝 공개했다.
포토북이 포함되어 있는 블루레이가 발매되었다.
[A] 나무샵(소속사 나무엑터스에서 공식으로 운영하는 판매사이트)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2.10. Delight (2018-19)
- ≡ 펼치기 · 접기
| | '''2018'''}}} {{{-2 '''Delight'''
| '''2019'''}}} {{{-2 '''Delight : For Us'''
|
|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2018년'''
|
12월 15일
| 서울
| 대한민국
| 이화여자대학교 대강당
| 사진
|
12월 17일
| 오사카
| 일본
| 오사카 국제회의장 그란큐브 오사카
|
|
12월 19일
| 요코하마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
12월 20일
|
|
'''2019년'''
|
1월 27일
| 타이베이
| 대만
| 타이베이 국제회의센터(TICC)
|
|
3월 3일
| 방콕
| 태국
| 센트럴 월드 GMM 라이브 하우스
|
|
3월 10일
| 홍콩
| 중국
| 아시아 월드 엑스포
|
|
4월 28일
| 서울
| 대한민국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 앙코르 공연 '''<Delight : For Us>''' 사진
|
네이버 포스트 1 |
네이버 포스트 2
THANK YOU 아시아 투어 이후 2년 만에 개최되는 투어로, 서울 공연은 예매 오픈이 열리자마자 솔드아웃 되었다. 공연 준비를 위해 안무 연습실 근처에 숙소를 잡고 잠자는 시간을 아껴가며 연습에 매진했고, 매 공연마다 3시간 동안 논스톱으로 진행되었다. 일본, 대만, 태국, 홍콩에서도 개최되었으며, 특히 태국은 약 10년 만의 방문이었으며 첫 공연이었는데, 공연 당시 태국 팬들이 직접 만든 이벤트 영상과 함께 카드 섹션을 선보여 훈훈하고 감동적인 분위기였다고 한다.
[3] 이벤트 이후 이준기는 눈물을 보였는데, 너무 늦게 방문한 것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후 서울에서 앙코르 공연 <Delight : For Us>가 추가되었고, 240분 동안 공연하였다.
신곡 3곡 <ACCEPTED>, <FOR US>, <CAN'T BE SLOW>를 포함해 20여곡을 열정적인 퍼포먼스로 꽉 채웠다.
포토북과 스노볼이 포함되어 있는 블루레이가 발매되었다.
[A] 나무샵(소속사 나무엑터스에서 공식으로 운영하는 판매사이트)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3. 팬미팅
주로 생일 기념으로 개최되며, 팬들 사이에선 '생파'라고도 불린다. 공식 팬카페에서 생일 케이크를 준비하며, 커팅식도 볼 수 있다. 팬콘서트와 같이 퍼포먼스 공연도 선보이지만, 토크의 비중도 높은 편이다.
3.1. Joongi's Day
- ≡ 펼치기 · 접기
| | | '''2015'''}}} {{{-2 '''Joongi's Day'''
| '''2016'''}}} {{{-2 '''Joongi's Day'''
| '''2018'''}}} {{{-2 '''Joongi's Day'''
|
|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2015년'''
|
5월 2일
| 서울
| 대한민국
|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
| 사진 | 포스트
|
'''2016년'''
|
4월 23일
| 서울
| 대한민국
|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
| 사진 | 포스트
|
'''2018년'''
|
4월 7일
| 서울
| 대한민국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 '''<봄, 소풍>''' 사진 | 포스트
|
소속사 나무엑터스에서 주관하는 생일 팬미팅이다. 2018년에는 부제를 <봄, 소풍>으로 정했다.
3.2. SPLENDOR Family Day
- ≡ 펼치기 · 접기
| | | '''2016'''}}} {{{-2 '''SPLENDOR Family Day'''
| '''2018'''}}} {{{-2 '''SPLENDOR Family Day'''
| '''2019'''}}} {{{-2 '''SPLENDOR Family Day'''
|
|
<rowcolor=#fff> '''날짜'''
| '''도시'''
| '''국가'''
| '''장소'''
| '''비고'''
|
'''2015년'''
|
5월 6일
| 요코하마
| 일본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사진
|
'''2016년'''
|
5월 20일
| 도쿄
| 일본
| 도쿄국제포럼 홀 A
| 사진
|
'''2018년'''
|
4월 26일
| 도쿄
| 일본
| 도쿄국제포럼 홀 A
| 사진
|
'''2019년'''
|
6월 14일
| 요코하마
| 일본
| 파시 피코 요코하마 국립대 홀
|
|
일본 유료 팬클럽인 SPLENDOR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팬미팅이다. 한국 팬도 SPLENDOR에 가입했다면, 티켓 구매가 가능하다.
<rowcolor=#fff> '''날짜'''
| '''제목'''
| '''도시'''
| '''국가'''
| '''장소'''
|
2007년 4월 15일
| Birthday Party
| 서울
| 대한민국
| 광운대학교 대강당
|
2008년 4월 27일
| 서울롯데호텔 크리스털볼룸
|
2010년 4월 17일
| 연세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
2011년 4월 17일[4]
| 나루아트센터 대극장
|
2012년 4월 17일
| 연세대학교 대강당
|
2013년 4월 14일
| Birthday Party Let's go!
|
2014년 4월 19일
| Birthday Party DREAMING
| 올림픽공원 우리금융아트홀
|
4. 단관
<rowcolor=#fff> '''날짜'''
| '''작품'''
| '''장소'''
| '''링크'''
| '''비고'''
|
2007년 9월 6일
| 개와 늑대의 시간[5]
| 용산 CGV
| #
| 마지막회 단체관람
|
2008년 7월 24일
| 일지매[B]
| #
|
2010년 1월 14일
| 히어로[B]
| 메가박스 코엑스
|
|
2013년 9월 26일
| 투윅스[B]
| 압구정 CGV
|
| 마지막회 단체관람 (With. 배우 이채미[6])
|
2014년 9월 4일
| 조선 총잡이[B]
| 신도림 CGV
|
| 마지막회 단체관람 (참석 X)
|
2015년 9월 10일
| 밤을 걷는 선비[B]
| 여의도 CGV
|
| 마지막회 단체관람
|
2015년 12월 12일
| 왕의 남자
| 한국영상자료원
|
| 10주년 기념 상영회 및 GV[7] (With. 이준익 감독)
|
2016년 11월 1일
|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점
|
| 마지막회 단체관람 & 미니 팬미팅
|
2017년 12월 17일
| 왕의 남자
| 한국영상자료원
|
| 12주년 기념 상영회 (With. 이준익 감독, 배우 이승훈[8])
|
주로 공식 팬카페에서 주관하며, 이준기도 참석하여 팬들과 함께 마지막회를 관람한다. 참여 방법은 드라마 중·후반부에 공식 팬카페에서 따로 공지가 올라오며, 그 공지에 따라 참여하면 된다. 왕의 남자 특별 상영회의 경우,
해당항목 참조.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같은 경우, 이준기 팬들과 드라마 팬들의 성원에 힘입어 소속사인 나무엑터스에서 주관하여 랜덤 추첨을 하였고, 미니팬미팅도 함께 진행하였다. 약 1만여 명의 신청자가 몰려 경쟁률이 17대 1이었다고 한다.
포스터 및 공지5. 행사
<rowcolor=#fff> '''날짜'''
| '''행사 / 기관'''
| '''내용'''
|
'''2006년'''
|
1월 19일
| 폭설피해 기금 마련 자선파티
| 디자이너 박종철 자선패션쇼
|
3월 23일
| 청와대 토론회 양극화, 함께 풀어갑시다
| 특별패널 스크린 쿼터 관련
|
4월 5일
| 중국 상하이 앙드레 김 패션쇼
| 메인모델 (with. 한지민)
|
'''2007년'''
|
1월 27일
| 한류엑스포 飛上 2007
| 특별공연
|
3월 27일
| 첼시 FC 한국어 홈페이지 오픈식
| 명예 서포터즈
|
'''2008년'''
|
4월 24일
| 백상예술대상
| 시상자 (with. 한효주)
|
12월 30일
| MBC 연기대상
| 시상자 (with. 한지민)
|
12월 31일
| SBS 연기대상
| 콩트공연 (with. 이문식, 이원종)
|
'''2009년'''
|
2월 27일
| 백상예술대상
| 시상자 (with. 박솔미)
|
3월 7일
| 태국 방콕 앙드레 김 패션쇼
| 메인모델 (with. 이보영)
|
8월 28일
| Mnet 20's Choice
| 시상자 (with. 한지민)
|
12월 31일
| SBS 연기대상
| 시상자 (with. 김하늘)
|
'''2010년'''
|
6월 27일 ~ 8월 18일
| 6.25 전쟁 60주년 특별사진전 <경계에서>
| 도슨트 (with. 이동욱) 사진 1 | 사진 2 | 사진 3
|
'''2012년'''
|
4월 7일
| 중국 东方风云榜(동방풍운방) 시상식
| 특별공연
|
'''2013년'''
|
9월 5일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시상자 (with. 김소현)
|
11월 23일
| 에이판 스타 어워즈
| 대리수상 (작가상 | 소현경)
|
'''2014년'''
|
2월 11일
| 연탄 배달 봉사
| 사진 봉사활동[9]
|
'''2015년'''
|
4월 14일
| 청량리 밥퍼나눔운동본부 무료 급식 봉사
| 사진 봉사활동[10] 공식 팬카페 회원들과 생일 기념으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
'''2016년'''
|
12월 1일
| 14주년 사진전 천사들의 편지
| 재능기부 조세현 작가 자선화보
|
'''2018년'''
|
10월 26일
| W KOREA 2018 LOVE YOUR W
| 유방암 인식 향상 캠페인 레드카펫 | 사진 | 영상
|
11월 28일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18 산타원정대
| 크리스마스 선물 포장 행사 (with. 미키마우스[11] 디즈니의 미키 마우스가 90주년을 맞아 첫 내한하여 행사에 참석했다. , 신세경) 포스트 | 영상 1 | 영상 2
|
'''2019년'''
|
1월 1일 ~ 1월 30일
| Represent[12] 미국에 기반을 둔 기부 플랫폼.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마크 러팔로 등 할리우드의 스타들과 함께 사회 기여에 앞장 섰다. Just Go Love[13] 이준기의 이니셜 LJG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이준기가 디자인에 많은 참여를 했고 공식 로고와 이름을 직접 지었다고 한다.
| 기부프로젝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