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버스 251, 252, 253, 254
1. 노선 정보
2.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시 대정읍 운진항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251번 전체 정류장 목록, 252번 전체 정류장 목록, 253번 전체 정류장 목록, 254번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오래 전부터 서부산업도로(구 95번 국도, 현 1135번 지방도)버스로 운행했다.
- 2002년 7월에 도로명이 서부산업도로에서 서부관광도로로 바뀌면서 노선명도 함께 바뀌었다.
-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95번 국도가 1135번 지방도로 격하됨과 동시에 도로명도 평화로로 바뀌면서 노선명도 평화로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8월 1일에 있었던 시외버스 번호 부여 정책에 따라 750번을 부여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의 18번째 리비전을 참조.
- 2017년 8월 26일 대중교통 체계 개편으로 노선이 간선버스 250-1번(화순,사계), 2번(서광서리,덕수), 3번(영어도시, 보성), 4번(농공단지)으로 분할되었으며, 급행버스인 151, 152번이 별도로 신설되었다. 250번은 배차간격이 10~15분 안팎이고 정류장도 개편전 750번, 755번과 동일하다.
- 2017년 11월 24일부터 다시 개편 이전인 영어도시 255번 노선을 재분리하여 운행한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18년 3월 22일부터 250-1번은 251번으로, 250-2번은 252번으로, 250-3번은 253번으로, 250-4번은 254번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4. 특징
- 251번, 252번, 253번, 254번은 인가대수는 15대이며 차량은 고정 운행이 아닌 정해진 배차 시간대에 맞춰 운행한다. [1]
- 제주 시내에서 안덕면, 대정읍을 가장 빠르게 연결하며, 서귀포시 서부권 관광지를 많이 거쳐가기 때문에 관광객의 수요도 제법 있는 편이다. 하지만 안덕면, 대정읍 노선 커버를 이 노선이 다 하기 때문에 지선 구간을 경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많다보니 느리고 답답한 편. 그냥 151번이나 152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
-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승차할 경우 10번 승차장에서 탑승하면 된다.
4.1. 시간표
2019년 8월 15일 기준[2]
5. 주요 관광지
제주공룡랜드, 유수암, 프시케월드, 렛츠런파크제주, 새별오름, 그리스신화박물관, 소인국테마파크, 화순금모래해변, 제주 올레길 9, 10코스, 제주조각공원, 산방산, 사계리해안가, 송악산, 산이수동[3] , 산방산탄산온천, 추사유배지, 대정농공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