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취했어
1. 수록곡
2. 개요
대성공을 거둔 임재현의 사랑에 연습이 있었다면이 발매된 지 1년째 되는 날의 하루 전날 발매된 곡이다. 이전 곡보다 최고음이 두 키 더 높으며 중독적인 멜로디와 매달리는 듯한 가사로 많은 대중들의 관심을 샀다.
3. 가사
2옥타브 도(C4) 구간은 '''회색'''
2옥타브 레(D4) 구간은 '''연두색'''
2옥타브 레♯(D♯4) 구간은 '''초록색'''
2옥타브 미(E4) 구간은 '''하늘색'''
2옥타브 파(F4) 구간은 '''파란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남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주황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빨간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갈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분홍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보라색'''
4. 곡 분석
- 조성 : 다장조(C Major) → 내림마장조(E♭Major)→ 다장조(C Major) → 내림마장조(E♭Major) → 바장조(F Major)
- 최고음 : 3옥타브 도(C5)
- 최저음 : 0옥타브 라(A2)
그러나 후렴구가 되자마자 음이 급상승하여 올리기가 힘들어지며, 후렴구에서 한 호흡이 정말 길다. 예를 들자면 <니가 싫어하는 담배도 피고 술도 했어> 부분을 한 호흡으로 불러야 하는데, 2옥타브 중후반의 음역을 유지하면서 이 긴 구간을 부르는 게 결코 쉽지 않으므로, 대다수가 이와 같은 구간을 부를 때 중간에서 끊고 숨을 한 번 이상 쉬게 된다.
그 다음에 바로 이어지는 2옥타브 라♯(A♯4). 한 번 올리기도 힘든 음을 대략 2초 동안 유지해야 하며[5] 이 부분을 어찌어찌 잘 넘어갔다 해도, 그 다음엔 긴 소절로 남아있는 호흡을 마저 빼 놓은 다음 '''3옥타브 도(C5)'''를 '''2초 동안''' 끌어야 하는 헬구간이 존재한다. 음도 문제지만 더 문제인 것은 발음인데, 이 구간의 첫 음절이 '''취'''이다. 자음은 그렇다 쳐도, 고음을 내기 어렵다는 두 모음이 바로 'ㅜ'와 'ㅣ'인데, 그 두 모음이 '''합쳐져 있다'''(...). 그래서 이 부분에서 대부분은 대형 삑사리가 나기 십상이다. 발음이 고음의 난이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
그 다음으로 쉬지도 않고 두 번째 후렴구[6] 가 나온다. 여기에 그 유명한 Xiyehn이가 나오는데, 이번엔 2옥타브 라♯(A♯4)을 Xiyehn으로 끈다. 발음은 쉽기 때문에 첫 번째 후렴구보다는 상대적으로 올리기 쉽다. 다만, 이쯤되면 후렴구 후반이기 때문에 호흡이 매우 부족해져서 실질적 성공률은 첫 번째 후렴구에서의 <술이 '''깨~'''면> 부분이 조금 더 높다.
2절 후렴구의 첫 번째 구간까지는 1절과 동일하다. 문제는 두 번째 구간 직전부터인데, 여기서부터 진짜 헬게이트를 맛보게 된다. 안 그래도 높고 힘들어 죽겠는데 '''2키'''가 더 전조된다. 첫 번째 후렴구 극후반부의 <조금 취~했어> 부분은 2초간 끌던 걸 '''7초'''[7] 간 끌고, '''2옥타브 라(A4)''' 이상의 음이 '''밥 먹듯이''' 등장한다. 문제의 <Xiyehn아> 부분은 '''3옥타브 도(C5)'''로 돌변하며 이로써 이 노래의 후반부는 일반인 남성[8] 에게는 정말 답이 없는 난이도로 변해버린다.
종합하자면 호흡의 텀이 길고 고음을 길게 유지하며 어려운 발음을 내야 하고, 거기다 큰 음역 변동폭이 시너지를 일으킴으로서 일반인 남성을 기준으로 절대적으로 어려운 곡을 형성했다. 노래방에서 이 곡을 매끄럽게 소화하는 사람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5. 여담
- 가사의
부분을 '지연아'라고 불러야 하는지, '지현아'라고 불러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았으며, 결국 둘 다 가능하다는 의견으로 점점 모이고 있다. 또한 전국의 '지연', '지현'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놀림을 받고 있기도 하다.
[A] A B M.C The Max 메인보컬 이수와는 전혀 관계 없는 사람이다.[1] '''전조 : C → E♭'''[2] '''전조 : E♭ → C'''[3] '''전조 : C → E♭'''[4] '''전조 : E♭ → F'''[5] M.C The Max의 노래 그대가 분다에서의 그 유명한 후렴구 시작 직전 길게 끄는 음(이 가슴을 울려 온'''다~''' / 그 시절은 영원하'''다~''') 도 2옥타브 라♯(A♯4)인데, 이보다 지속시간이 조금 짧다.[6] 여기서 첫 번째 후렴구는 후렴구 시작부분 ~ 조금 취했어 까지, 두 번째 후렴구는 어디야 ~ 후렴구 끝 부분을 지칭한다.[7] <조금 취했어> 부분만 7초고, 원래는 음원상으로 앞의 <마시다 보니> 부분까지 한 호흡으로 불러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음 지속시간은 대략 '''10초'''이다.[8] 평균 음역대가 2옥타브 파(F4)~2옥타브 라(A4)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