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공영버스

 


1. 개요
2. 노선 목록
2.1. 중구1번
2.2. 중구2번
2.3. 중구2-1번
2.4. 중구3번
2.5. 중구4번
2.6. 중구6번
2.7. 중구6-1번
3. 폐선된 노선
3.1. 중구5번
3.2. 중구5-1번


1. 개요


인천광역시 중구 소속 공영버스 노선들이다. 인천 중구 지역 내륙이 아닌 '''영종도 및 용유도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들로 사실상 영종 및 용유도 지역 버스라 할 수 있다.
총 9대(예비차 1대 포함)로 운행 중이다. 전 노선이 자가용 면허로 운행하나, 인천광역시 BIS에서는 지선버스로 구분한다. 요금은 간선버스 요금을 징수한다.
현재 전 차량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다.

2. 노선 목록



2.1. 중구1번


[image]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KT인천공항지사)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영종중)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북동(영종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1:20
막차
21:50
배차간격
60~90분(1일 13회)
운수사명
예성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영종중 - 운남동 - 운서초교 - 금호어울림 - 영종고 - LH1단지) - KT인천공항지사 - 운서역 - 젓개마을입구 - 예드림입구 - 장촌빌라 - 장촌마을 - 돌산밑 - 예단포 - 갤러리84 - 박촌마을입구 - 영종역
전체 정류장 목록
2014년 9월 1일에 기점이 영종선착장에서 영종국제물류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5년 10월 26일부터 예단포회센터에 들어갔다 나오게 되었으며, 영종물류고에서 영종자이후문으로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6년 12월 3일에 운서로 대신 햇내로190번길 경유로 변경되었으며, '영종역 - 중촌교차로 - 중산동 - 전소 - 영종국제물류고 - 영종자이후문' 구간이 단축되었다. 그리고 기종점이 서로 바뀌었고, 노선이 단축되면서 영종중 운행시간대도 바뀌었다.(이전에는 전소 7시 50분 출발, 영종중 16시 반 출발이었다.) 관련 공지사항[1]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예성교통이 위탁운영사업자로 선정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2019년 2월 16일부터 미단시티 갤러리84를 경유하게 되었다.
용유역에서 무의도까지 운행하는 마을버스인 무의1번과 번호가 겹치지만, 노선은 겹치지 않는다.
하루 2회 영종중까지 연장운행한다. (영종역 7:30, 15:00 출발 / 영종중 8:20, 16:10 출발)
2019년 8월 13일 기준 시간표: #

2.2. 중구2번


[image]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KT인천공항지사)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영종고)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남북동(용유동주민센터)
종점행
첫차
06:25
기점행
첫차
07:10
막차
21:25
막차
20:10
배차간격
120~150분(1일 7.5회)
운수사명
예성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영종고 - LH1단지) - KT인천공항지사 - 운서역 - 공항교회 - 공항중.고교 - 풍림아파트 - 삼목선착장입구 - 영종해안북로 - 왕산해수욕장 - 을왕리해수욕장 - 늘목 - 둥깨마을입구 - 나룻개 - 용유초교 - 용유동주민센터
전체 정류장 목록
예전에는 '영종선착장 - 영종하늘도시 - 운서역 - 공항교회 - 풍림아파트 - 하늘문화센터 - 인천공항 - 무의도입구 - 용유동주민센터 - 을왕리해수욕장 - 왕산해수욕장 - 삼목선착장입구 - 하늘문화센터 - 풍림아파트 - 운서역' 구간을 운행했다.
2014년 9월 1일에 '영종선착장 - 운서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4년 11월 1일에 '재고개 - 해송삼거리 - 늘목초입(3통)' 구간이 '비재고개 - 늘목(스카이모텔) - 해뜨는집 - 늘목마을입구 - 늘목초입(3통)'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5년 10월 26일에 1일 운행횟수가 8회로 1회 증회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6년 12월 3일에 하늘문화센터 미경유로 바뀌었으며, '용유초교 - 한국도심공항터미널 - 용유역 - 무의도입구' 구간이 '용유초교 - 용유동주민센터'로 바뀌었다. 그리고 영종중 지원운행이 영종고까지만 운행하는 걸로 단축되는 대신 운행횟수가 늘어났다. 노선이 변경되기 전에는 영종중학교 연장 운행은 무의도입구에서만 7시 20분에 출발했으며 영종중 출발 시간대는 없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예성교통이 위탁운영사업자로 선정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하루 2번 영종고까지 연장운행한다. (용유동주민센터 7:10, 15:40 출발 / 영종고 8:40, 17:10 출발)
2019년 8월 13일 기준 시간표: #

2.3. 중구2-1번


[image]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2-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인천국제공항)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덕교동(거잠포선착장)
종점행
첫차
06:50
기점행
첫차
07:05
막차
19:40
막차
19:55
배차간격
50분
운수사명
예성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인천국제공항(7A) - 하얏트호텔 - 국립인천공항검역소 - 거잠포선착장
전체 정류장 목록
2015년 10월 26일에 15회차가 사라져(다른 회차는 시간변경없음) 바뀌어 1일 운행횟수가 14회로 줄었으며 막차가 공항이 20시 50분에서 19시 50분으로, 잠진도가 21시 10분에서 20시 10분으로 당겨졌다. 관련 공지사항
과거에는 이 노선이 매시 50분에, 222번이 매시 20분에 출발했으나 222번이 2016년 개편 때 배차간격이 40~70분으로 벌어지면서 서로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하게 되었다.
2017년 1월 1일에 폐선될 예정이었으나, 민원이 많았는지 없던 일이 되었다. 관련 게시물
222번과 중복되는 구간이 많다.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예성교통이 위탁운영사업자로 선정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2019년 4월 30일에 종점이 잠진도선착장에서 거잠포회센터로 변경되고 배차간격이 50분으로 줄어들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9년 8월 13일 기준 시간표: #

2.4. 중구3번


[image]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영종선착장)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영종국제물류고)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영종중)
종점행
첫차
05:20
기점행
첫차
06:05
막차
22:20
막차
21:05
배차간격
60분
운수사명
예성교통
인가대수
2대
노선
영종선착장 - 영종힐스테이트 - 영종하늘도서관 - 하늘초교후문 - 돌팍재삼거리 - 영종초교후문 - 돌팍재삼거리 - 김소골 - 서당골 - 마장포고개 - 가재우물터 - 마장포 - 아동보호센터 - 마당개 - 만정낚시터 - 만정낚시터입구 - 엘림교회 - 높은마을입구 - 긴마루교회입구 - 행복마을입구 - 대흥식당 - 구정슈퍼 - 논골 - 영종공원묘지입구 - 영종역 - 금산경로당 - 동광리 - 잔다리삼거리 - 운남교차로 - 영종교회 - 용궁사입구 - 전소 - 영종국제물류고 - (남뒤삼거리 - 영종중)
전체 정류장 목록
2014년 9월 1일에 기점이 영종선착장에서 국제물류고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하늘문화센터 - 풍림아파트 - 공항중.고교 - 공항교회 - 운서역'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마장포에서 전소로 가지 않고 논골(구정슈퍼)로 가는 걸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4년 11월 1일에 노선이 기존대로 환원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5년 10월 26일에 '용주사 - 돌팍재삼거리 - 중산동 - 전소' 구간이 '용주사 - 잔다리삼거리 - 전소'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image]
2016년 12월 3일부터 두미포로를 통해 바로 하늘초교후문으로 가지 않고 영종힐스테이트, 하늘도시한라비발디, 하늘도시우미린으로 돌아서 간다. 그리고 노선이 대폭 변경되었으며, 하루 9번 영종중까지 연장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기존 구간: 돌팍재삼거리 - 영종초교후문 - 돌팍재삼거리 - 중산동 - 전소 - 영종국제물류고 - 남뒤삼거리 - 영종중 - 운남동 - 운서초교- 금호어울림 - 영종고 - LH1단지 - 운서역 → KT인천공항지사 → 운서역
  • 변경 구간: 돌팍재삼거리 - 김소골 - 서당골 - 마장포고개 - 가재우물터 - 마장포 - 아동보호센터 - 마당개 - 만정낚시터 - 만정낚시터입구 - 엘림교회 - 높은마을입구 - 긴마루교회입구 - 행복마을입구 - 대흥식당 - 구정슈퍼 - 논골 - 영종공원묘지입구 - 영종역 - 금산경로당 - 동광리 - 잔다리삼거리 - 운남교차로 - 영종교회 - 용궁사입구 - 전소 - 영종국제물류고
2018년 2월 10일에 '영종선착장 - 송산입구 - 영종힐스테이트 - 영종하늘도서관 - 하늘초교후문' 구간이 '영종선착장 - 영종역사관 - 영종힐스테이트 - 스카이시티자이 - 하늘초교후문'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1대가 4번으로 넘어가 2대로 운행하게 되면서 배차간격이 40분에서 60분으로 늘어난 동시에 하루 9번 들어가던 영종중에 4번만 들어가게 되었고 첫/막차 시간이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영종선착장 첫차: 05:15 → 05:20
  • 물류고 첫차: 현행유지
  • 영종선착장 막차: 21:30 → 22:20
  • 물류고 막차: 21:45 → 21:05
하루 4번 영종중까지 연장운행한다. (선착장 06:20, 07:20, 15:20, 16:20 출발 / 영종중 07:10, 08:10, 16:10, 17:10 출발)
최근에 이 노선에 있던 차량 2대 모두 유로6 뉴카운티 신차로 교체되었다.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예성교통이 위탁운영사업자로 선정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2019년 8월 13일 기준 시간표: #
좁은 골목길을 다수 지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대에 중간지점인 마장포 아동보호센터에서 1호차와 2호차가 교행한다. 시간표도 그에 맞추어서 아동보호센터에서 양방향의 차량이 동시에 출발하도록 짜여 있다. 아동보호센터에서 차가 먼저 도착한 경우 반대 방향 차가 오기 전까지 대기 후 반대 방향 차가 오면 출발한다.

2.5. 중구4번


[image]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북동(예단포물양장)
인천광역시 중구 운북동(갤러리84)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영종국제물류고)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영종중)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5:10(전소 출발)/05:30
막차
23:00
막차
22:50
배차간격
40분
운수사명
예성교통
인가대수
2대
노선
(갤러리84 - 미단교회사거리) - 예단포물양장 - 예단포 - 돌산밑 - 장촌빌라 - 영종역 - 금산경로당 - 잔다리삼거리 - 전소 - 영종국제물류고 - (남뒤삼거리 - 영종중)
전체 정류장 목록
2014년 11월 1일에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당시 노선은 '운서역 - 금산초교 - (영종공동묘지입구 → 논골 → 구정슈퍼 → 높은마을입구(천성교회) → 엘림교회입구 → 운북동샤인빌 → 운북타운하우스앞 → 행복마을입구 → 대흥식당 → 구정슈퍼앞 → 논골 → 영종공동묘지입구)(이 구간은 양 방향 같은 방향으로 운행) - 금산경로당 - 동광리(운북상회) - 동광리 - 잔다리삼거리 - 운남교차로(운남9통경로당) - 강남태양열 - 전소 - 영종물류고 - 남뒤삼거리 - 영종중 - 운서초교 - 영종고 - LH1단지 - 운서역(건너편)'이었다.
2015년 10월 26일에 '영종물류고 - 남뒤삼거리 - 영종중 - 운서초교 - 영종고 - LH1단지 - 운서역(건너편)' 구간이 단축되었고 하루 1번만 영종고까지 가는 걸로 변경(기존과 달리 금호어울림 경유)되었다. 또한 운서역 구간은 KT공항지사를 경유해 회차하는 걸로 바뀌었으며 젓개 쪽 구간 도로가 변경되어 운서로를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변경 직후 노선은 '운서역 - 젓개마을입구 - 예드림입구 - 영종역 - 논골 - 구정슈퍼 - 논골 - 동광리 - 잔다리 - 운남교차로 - 전소 - 영종국제물류고 - (남뒤삼거리 - 영종중 - 운남동 - 운서초교 - 금호어울림 - 영종고)'였으며 하루 1번 영종고까지 연장운행했다. (운서역 7시 반 출발 / 영종고 16시 반 출발)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의 72번째 리비전을 참조.
2016년 12월 3일에 3번으로 흡수되었다.
[image]
2018년 2월 10일에 현재 노선으로 대폭 변경되어 부활하였고 3번에서 1대를 가져와 2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예성교통이 위탁운영사업자로 선정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2019년 2월 16일부터 영종중학교를 경유하는 시간대 중 일부 시간대에서 예단포물양장 대신 미단시티 갤러리84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하도록 변경되었다.
현재 중구 공영버스에 운행하는 차량 중 최신차량이 이 노선에 있다. 원래는 2번 차량이 가장 최신차였으나, 최근 신차를 한 대 출고하였다. 출고 당시에는 5번에 투입되어 운행하였으나 5번의 폐선으로 인해 이 노선으로 왔다. 하지만 3번 차량 2대가 신차로 모두 교체되면서 이 노선보다 3번에 있는 2대가 조금 더 신차량이다.
하루 6번 영종중까지 운행하며 이 중 2번은 예단포물양장 대신 미단시티 갤러리84에서 노선이 끝나게 된다. (예단포물양장 07:00, 15:00, 15:40, 16:20, 17:00 출발 / 갤러리84 07:40 출발 / 영종중(예단포물양장 종료) 07:35, 08:15, 16:55, 17:35 출발 / 영종중(갤러리84 종료) 15:35, 16:15 출발)
2019년 8월 13일 기준 시간표: #

2.6. 중구6번


[image]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광명항)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인현동(동인천역)
종점행
첫차
08:10
기점행
첫차
09:30
막차
14:40
막차
16:00
배차간격
1일 3회
운수사명
예성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광명항 - 무의분교 - 홈플러스아카데미 - 큰무리 - 큰무리선착장 - 잠진도 - 거잠포회센터 - 영종해안남로 - 영종IC - 인천대교고속도로 - 연수JC - 옥련IC - 숭의역 - 답동사거리(무정차) - 동인천역
공식적으로 시외좌석버스 요금을 징수하고 있으며, 외지인 탑승이 허용되던 시절에는 외지인에 한해 무의도 왕복 도선료를 별도로 징수했다.[2]
예전에는 삼목선착장도 갔으나, 2014년 5월 28일에 북도면 공영버스가 생기면서 가지 않는 걸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8년 2월 10일에 광명항 첫차가 8시 20분에서 8시 10분으로 조정되었다.
'거잠포회센터 - 영종해안남로 - 영종IC - 인천대교고속도로 - 연수JC - 옥련IC - 숭의역 - 답동사거리(무정차) - 동인천역' 구간이 '거잠포회센터 - 영종해안남로 - 운서역 - 하얏트호텔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공항신도시JC - 영종도서관 - 운서역 - 레전드호텔 - 유승한내들 - 영종LH아파트입구 - e편한세상영종하늘도시 - 전소'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민원이 있었는지 철회되었다. 관련 공문 캡처본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예성교통이 위탁운영사업자로 선정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버스노선 중에서 (6분 밖에 안 타지만) 배를 타는 마지막 노선[3]이었지만, 무의대교 개통 이후로 더 이상 선박을 이용하지 않는다.
동인천역앞 외에는 정류장에 가지 않아서 인천대교를 이용하여 운행한다.
중구 공영버스 노선중 운행횟수가 가장 적은 노선이다.[4]
이전에는 관광객이라고 미리 말을 해놓고 운행사원에게 양해를 구하면 탑승이 가능했지만 2017년 1월 4일 기준으로 무의도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관광객들의 탑승이 불가하다.[5] 따라서 이 노선도 민통선 내부 출입 노선처럼, 아예 민간인 탑승이 불가능하다. 이 노선 외에 소무의도로 가려면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철도 용유역에서 무의1번을 타고 가야 한다. 비용도 비용이거니와 거의 3~4번의 환승이 필요하여서 서로 타이밍이 맞지 않을 가능성도 크니 가급적 렌터카를 빌리자.
2019년 8월 13일 기준 시간표: #

2.7. 중구6-1번


[image]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6-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전소)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하나개해수욕장)
종점행
첫차
07:10
기점행
첫차
08:30
막차
19:40
막차
21:00
배차간격
180~200분 (1일 5회)
운수사명
예성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전소 - 영종중 - e편한세상1차정문 - 은골공원 - 영종도서관 - 영종해안북로 - 왕산교 - 왕산마을회관입구 - 을왕리해수욕장 - 늘목 - 서릿목 - 마시란 - 용유역 - 큰무리선착장 - 하나개해수욕장
2019년 8월 13일에 신설되었다. 전체 정류장 목록
2019년 8월 13일 기준 시간표: #

3. 폐선된 노선



3.1. 중구5번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5번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금호어울림)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화물터미널A동입구)
종점행
첫차
05:15
기점행
첫차
05:55
막차
20:25
막차
20:55
배차간격
75~105분(1일 11회)
운수사명
영풍운수
인가대수
1대
노선
금호어울림 - 넙디 - 영종고 - LH1단지 - KT인천공항지사 - 운서역 - 공항교회 - 공항중.고교 - 풍림아파트 - 삼목사거리 - 삼목선착장입구 - 삼목선착장 - 화물터미널A동입구
예전에는 6번과 함께 육지로 갔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당시 시간표
  • 운서역 - LH아파트입구 - 남뒤삼거리 - 전소 - 중산동 - 한양수자인 - LH7단지 - 우미린7단지 - 신명스카이뷰 - 동보노빌리티 - 영종힐스테이트 - 우미린8단지 - 월촌삼거리 - 영종선착장 - 월미도선착장 - 인천역 - 중구청 - 동인천등기소 - 신포동주민센터 - 중구노인복지회관 - 출입국관리사무소 - 중구문화회관
2014년 9월 1일에 노선이 대폭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영종선착장 - 영종힐스테이트 - 우미린8단지 - 한양수자인정문 - 우미린2단지 - 신명스카이뷰 - 동보노빌리티 - LH7단지(대로변) - 영종고 - LH1단지 - 운서역 - 풍림아파트 - 삼목감리교회 → 화물터미널 → 인천국제공항입구(3층) → 인천국제공항13A(3층) → 국제업무단지 → 화물터미널 → 삼목감리교회 → 이후 역순
2015년 10월 26일에 노선이 대폭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영종선착장 - 영종힐스테이트 - 영종하늘도서관 - 하늘초교후문 - 돌팍재삼거리 - 영종초교후문 - 용주사 - 잔다리삼거리 - 동광리 - 금산경로당 - 논골 - 구정슈퍼 - 논골 - 영종공동묘지입구 - 영종역 → 장골 → 예단포 → 돌산밑 → 장촌마을 → 영종역 → 이후 역순
2015년 11월 18일에 기존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하지만 이후 다시 장촌 행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2016년 12월 3일에 기존 노선과 중복되는 구간 없이 아예 새로운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금호어울림 - 넙디 - 영종고 - LH1단지 - KT인천공항지사 - 운서역 - 공항교회 - 공항중.고교 - 풍림아파트 - 삼목사거리 - 삼목선착장입구 - 삼목선착장 - 화물터미널A동입구
첫차는 돌팍재삼거리에서 5시에 출발하며, 삼목선착장입구로 가지 않고 스카이72골프클럽드림골프레인지 입구를 거쳐 삼목선착장에 들른 후 화물터미널로 내려갔다.
2018년 2월 10일에 폐선되었다. 차량은 4번으로 이동.

3.2. 중구5-1번


[image]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중구5-1번
기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영종선착장)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운서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6:05
막차
21:00
막차
21:35
배차간격
90~120분
운수사명
영풍운수
인가대수
1대
노선
영종선착장 - 영종힐스테이트 - 영종하늘도서관 - 하늘초교후문 - 돌팍재삼거리 - 중산동 - 전소 - 영종국제물류고 - 남뒤삼거리 - 영종중 - 운남동 - 운서초교 - 금호어울림 - 영종고 - LH1단지 - 운서역 → KT인천공항지사 → 운서역 → 이후 역순
2015년 10월 26일에 4번이 운서역에서 전소로 단축되는 동시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016년 12월 3일에 3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1] 일부 게시물 등에는 다른 시간표가 적혀 있으나, 이는 11월 초에 붙은 것이며, 이후 시간표가 한 번 수정되었다.[2] 참고로 2014년 9월까지 있었던 중구공영 5번의 도선 구간은 공항좌석버스 요금을 내는 걸로 도선료를 대신했다. 영종대교나 인천대교를 이용하는 다른 노선들이 (시외좌석버스보다 기본요금이 300원 정도 비싼) 공항좌석버스 요금을 징수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물론, 202번은 예외.[3] 이 노선 이전에는 '고금도 - 약산 - 당목항 - 금일도' 노선도 있었으나, 장보고대교가 개통하면서 더 이상 선박을 이용하지 않는다.[4] 아랫문단에 있는 지선인 중구6-1번도 1일 5회로 2회나 많다. 어쩔 수가 없는게 노선이 중구 공영버스 노선중 가장 장거리(...) 노선이기 때문이다.[5] 민원을 넣은 사유는 취객들이 정류장이 아닌곳에서 지속적으로 내리는(...) 이유로 보다못한 주민들이 민원을 넣어 일반인이 탑승을 못하게 된것이다. 무의도민의 심정이 매우 이해가 가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