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커러스 블레이드/병종/근접/투창 트리

 



1. 개요
2. 동양 계열 투창병
2.1. 하황 향군 (2성)
2.2. 양양 투창 사사 (4.5성)
3. 서양 계열 투창병
3.1. 바이에른 투창병 (2.5성)
3.2. 라고냐 투창병 (4성)


1. 개요


라운드 실드 정도의 작은 방패와 투창용 단창을 사용하는 병종. 중요한 점은 '''투척용 단창만으로 전투에 참여'''하는 병종이라는 점이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의 투창병 모습을 보이는 척후병들처럼 언제나 투창을 던지는 전투방식이 아니고, 투창용 단창으로 근접 공격을 하다가 스킬을 사용할 경우 단창을 던지는 방식을 취한다. 다시 말하지만, '''투창병의 평타는 투창 능력이 아니다.'''
원거리 병종에 비해서 화력 집중력과 사거리가 짧지만, 엄청난 관통능력 및 가드 파괴력을 기반으로 순간적인 누킹 딜링이 뛰어나며 어느 정도 근접전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병종이다.
투창의 매커니즘이 특이한 편인데, 일반 투창(1번 스킬)은 AI가 알아서 무작위 적에게 투척하는 방식이고, 지정 지역 투창(2번)은 해당 지역에 '''모든''' 병사가 일제히 던지는 방식이다. 특히 일반 투창이 적을 인식을 못했을 때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는다는 점과 '''탄약을 소모하는 공격을 할 경우 탄약이 소모되는 시간이 공격 모션과 불일치'''하다는 점을 이용해서 투창을 여러 번 던질 수 있다. 소지 투창 수가 기존 최대 인원의 배수이기 때문에, 투창 한 번을 자동 투창으로 던지면 한 번을 '''모든 인원이 지정 지역 투창'''을 사용할 수 있다. 아마도 버그성 플레이인 듯.
병종 특성 상 적과는 어느 정도 가까운 거리에서 서성이기 때문에, 근거리에서는 확실하게 명중률이 좋은데다 투척 범위 내에 적이 적을수록 화력이 엄청나게 뛰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혼자 다니는 장군이나 위험하지만 인원수가 적은 정예 병종들을 순간딜로 저격하기엔 이만한 무기가 없다고 할 정도.
다만 근접전 능력을 갖췄다고 할 정도지 근접 전투력이 좋다고 볼 수는 없다. 투창이 소진되는 경우에는 '''누킹 딜링 능력이 없다고 봐야 하기 때문에'''[1] 타이밍이 좋아서 급습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에는 급하게 전투에 투입할 수는 있지만 권장하진 않는다. 양양 투창 사사의 경우에만, 특히 방패 던지기 특성을 배워야 그나마 근접전에 특화된 보병과 어느 정도 버티는 정도. 그래도 방패를 들고 있어서 검방패병 수준으로 적을 붙드는 것은 가능하다.
서양 투창병과 동양 투창병 두개의 트리가 존재한다. 대체로 서양 투창병 계열이 동양에 비해서 한 번에 들고 다닐 수 있는 투창 수가 많고 사거리가 길어 투창 자체에 특화된 반면, 동양 투창병의 경우에는 한 번에 들고 다닐 수 있는 투창 수가 적은 대신 투창 자체의 화력이 강해서 순간 누킹딜에 더 특화되어 있고 근접전에 관련된 특성이 있어 근접 전투에 좀 더 치중된 트리이다. 고티어 투창병일수록 이러한 특징이 강해진다.
특히 4성 투창병의 경우, '''충시진'''으로 어느 정도 기병에 대응 가능하다는 것도 특징이긴 하다. 투창병으로는 대기병 성능은 견제 외에는 거의 힘들다보니 기병:투창병 비율을 1:n 정도로 교환해서 기병 소모를 위해 싸우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인식하지 못하던 기병들이 갑자기 들이닥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피해를 줄 수 있다.

2. 동양 계열 투창병


소지 투창 갯수가 적은 대신 투창 한 발의 위력이 매우 강하며, 레벨 특전을 통해 백병전에 효율이 좋은 스킬을 배우는 것이 특징이다.
보급소를 다녀오지 않는 경우에 '''한 기당 투창을 2번밖에 못 던지고''', 서양 투창병에 비해서 투창의 사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투창 타이밍이 매우 중요하다.

2.1. 하황 향군 (2성)


상세 정보
[image]
'''2성'''
'''하황 향군'''
'''1레벨 기준 성능'''
'''최고 레벨'''
14
'''요구 통솔도'''
'''110'''
인원
28
원기(생명력)
5,150
이동속도
5.5
채집 능력
3.92
사거리 및 탄약
미표기[A] / 56
'''공격 능력'''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960 / 861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 / .
'''방어 능력'''
찌르기 방어
295
절단 방어
314
타격 방어
140
'''진형'''
'''완화 방진'''
지그재그 모양의 4열로 서 있는 진형.
진형 중에서 인원 간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광역 공격에 피해를 입는 인원이 적어진다.
'''순장진'''
4열로 사각형 모양으로 서 있는 진형.
완화 방진에 비해서 병사들이 조금 더 밀집해 있다.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투창'''
사거리 내의 임의의 적에게 투창을 던지거나, 지정한 지역에 투창을 던질 수 있다.
투창 공격은 기본적으로 관통력이 뛰어나다.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용맹한 근접전
근접 전투 능력이 뛰어나다.
한정 수량 중형 창
투창의 위력이 강하지만 투창 소유량이 적다.
방패와 인간
방패로 원거리 공격을 막을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레벨 특전 효과'''
(윗트리) '''블락 파괴도 100% 증가''', 블락 80 증가, '''조용한 질주''' 스킬 습득
(엘리트) '''부대 편제 인원수 4명 증가'''
(아랫트리) '''충시진''' 진형 습득, '''돌격''' 스킬 습득, 돌격 피해 16% 증가, 부대 군량 소모 및 월드 부대 사망률 40% 감소
(엘리트) '''부대 보충 소모 20% 감소'''

기본적인 2성 투창병. 동양 계열이기 때문에 투창 갯수가 매우 한정적이다.
윗트리는 투창 능력 및 원거리 피해 저항 능력을 강화할 수 있고 '''조용한 질주'''를 배울 수 있다. 아랫트리는 '''돌격 스킬 습득'''과 함께 돌격 능력 강화, 필드전 능력 강화에 치중되어 있다. 특이하게 투창병 계열 중에서 유일하게 레벨 특전을 통해 '''돌진'''과 '''조용한 질주'''를 배울 수 있다. 동시에 배울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윗트리의 인원 편제수 증가를 찍을 수 없다.
특히 돌진 스킬이 특이한데, 타 돌진처럼 지정한 방향으로 달리는 것은 동일하지만 '''질주 도중에 사거리 내에 적이 들어오면 투창을 던지는''' 특이한 성능을 가졌다. 조용한 질주와 함께 쓸 경우 후방 진형 교란 및 파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 성능만 보자면 과거에 사용하던 척후병을 어느 정도 계승했다고 볼 수 있을듯.
단점은 역시 2성이라는 태생적 한계와 함께 후방 진형 교란 및 제압을 지속적으로 하기에는 부적절한 '''투창 소지 갯수'''. 돌진으로 한 번, 투창 명령으로 한 번 하면 투창 갯수가 바닥을 보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견제력을 가지지는 못한다. 3성전에서 후방의 원거리 카드를 한두 개 끊어먹고 보급하러 가던가, 아니면 백병전을 시켜서 싸우게 하던가 둘 중 하나의 선택지를 가져야 된다.

2.2. 양양 투창 사사 (4.5성)


상세 정보
[image]
'''4.5성'''
'''양양 투창 사사'''
'''1레벨 기준 성능'''
'''최고 레벨'''
19
'''요구 통솔도'''
'''240'''
인원
30
원기(생명력)
6,425
이동속도
5.5
채집 능력
4.80
사거리 및 탄약
미표기[*A ] / 60
'''공격 능력'''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1615 / 1213
절단 관통력 / 피해량
959 / 999
타격 충격력 / 피해량
487 / 437
'''방어 능력'''
찌르기 방어
605
절단 방어
468
타격 방어
255
'''진형'''
'''순진'''
최대한 밀집한 후 전방을 향해 방패를 들어 전방에서 들어오는 피해를 막는 방진.
'''충시진'''
전방을 향해 삼각형 진을 짜고 그 뒤로 병종들이 정렬하는 진형.
돌진에 최적화되어있다.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투창'''
사거리 내의 임의의 적에게 투창을 던지거나, 지정한 지역에 투창을 던질 수 있다.
투창 공격은 기본적으로 관통력이 뛰어나다.
'''저격'''
지정한 대상에게 모든 병사들이 투창을 던진다.
대상이 병사의 사거리 밖일 경우에는 병사가 사거리까지 접근하여 투척한다.
탄 밀집력이 매우 높다.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용맹한 근접전
근접 전투 능력이 뛰어나다.
화염 방어 갑옷
연소 디버프에 내성을 갖는다.
연소 디버프가 누적될 경우 연소에 걸린다.
한정 수량 중형 창
투창의 위력이 강하지만 투창 소유량이 적다.
방패와 인간
방패로 원거리 공격을 막을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레벨 특전 효과'''
(윗트리) 근접전 피해 16% 증가
(윗-윗) 근접전 공격 속도 12% 증가, 치명타 수치 8% 증가
(엘리트) '''공격으로 부대 경직 가능'''
(윗-아래) '''방패 공격''' 패시브 스킬 습득, 방패 공격 피해 15% 증가, '''방패 공격으로 적군을 출혈 상태로 만들어 지속적인 피해를 입힌다.'''
(엘리트) '''방패 공격 확률 증가'''
(아랫트리) '''철벽진''' 진형 습득, 투창 관통도 및 피해 12% 증가, 투창 블락 파괴도 60% 증가, 탄약량 10% 증가
(엘리트) '''발사 속도 12% 증가'''

근접전과 원거리전이 적절히 조화된 동양 투창병. 서양 투창병인 라고냐 투창병이 투창에 올인하여 투창으로 운용을 해나가는것에 반해, 양양은 근접전이 주가되고 투창으로써 보조를 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 유닛.
레벨 특전 중에서 윗트리는 근접전 능력 강화에 치중되어 있고, 아랫트리는 투창 강화 성능에 치중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양양 투창 사사는 투척 성능에 크게 의존하기보다는 윗트리의 근접전 부가 능력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에 아랫트리는 잘 가지 않는 편.
특히 윗트리가 근접전에 특화시킬 수 있어 투창병 치고는 근접전이 제법 강해진다는 것이 장점이다. 레벨 특전을 통해 평타가 일정 확률로 방패 던지기로 바뀌는 특성이 있고, 방패 던지기 공격에 출혈 디버프 확률이 생기는 특성, 엘리트에서는 평타 공격에 경직이 추가되는 특성이 있다. 최대 레벨이 살짝 모자라기 때문에 두 엘리트 특성을 모두 찍을 수는 없다. 방패 던지기의 모션은 어느 대장처럼 방패를 날리고 다시 받는 공격모션이며, 이때 일직선상의 적에게 '''모두''' 피해를 입힌다.
또한 몰타 도보전 기사의 방패진과 거의 동일한 반원 모양의 진형을 짤수가 있고, 밑트리를 타면 철벽진도 배우기 때문에[2] 어느 정도 아군 엄호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투창병들이 사실상 투창 스킬에만 의존해야 했다는 점에 비해 조건부 광역공격, 도트 피해, 평타 경직 성능, 진형 등을 통해 근접전이 상당히 강해진 셈이다.
그러나, 근접전 능력이 강화되었다고는 해도 투창병의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한다. 근접전은 동티어 근접유닛은 물론이고 하위 티어의 근접유닛에게도 근접전의 우위를 장담할 수 없다. 오히려 방패 던지기를 믿고 신경을 안 쓴다면 끔살당할 때가 많다. 방패 던지기나 방패 던지기 확률적 출혈 디버프 부여, 근접 공격 경직 등을 배운다고는 하지만 평타가 타 근접 병종이랑 비슷할 정도로 짧아서 평타의 경직효과는 큰 의미가 없고, 방패 던지기가 그나마 사거리가 길지만 결국은 '''확률'''이라서 성능이 언제나 동일하게 나오지 않을 수밖에 없다.
또한 방패치기 확률 증가 특성을 찍지 않는다면 방패치기의 빈도수가 낮아서[3] 딜링의 편차가 크다. 출혈딜은 틱당 200 가량의 고정데미지를 주는게 전부며, 바르호 사냥꾼처럼 중첩되는 것도 아니다.
원거리전은 서양 계열 투창병이 훨씬 강력하고 모루 파괴에도 더 효율적이다. 투창의 범용성 등을 비교한다면 서양 계열보다 떨어지기 때문에[4] 자칫 잘못하면 이도저도 아니게 될 수 있다.
라고냐 투창병과 다르게 양양 투창 사사는 투창 궤적이 상대적으로 더 일직선에 가깝고 사거리 자체가 짧아서 투창의 제약이 있는 편이고, 미보급 기준 1기당 투창 최대 횟수도 2회 뿐이므로 양양의 투창은 장수나 고급유닛을 저격하는데 더 특화되어 있다. 소지 투창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밑트리에서 탄약 10%를 배우든, 군혼으로 10%를 채우든, 둘 다 합쳐져서 20%를 더 보정받던간에 결국에는 최대 투창수가 3발에 불과해서 투창 위주의 운용을 하기엔 무리가 따른다.
근접전 때에는 동티어 근접유닛 대비 보조딜러, 보조 모루역할 정도다. 사실상 양양 단독으로는 보급소를 끼고있지 않는 한 원거리 저지력은 없다고 봐야 무방하고, 아군이 들어갈때 같이 푸쉬해주고 뺄때 빼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양양의 운용은 근접전이 기본이 되며, 난전에서 아군을 방패삼아 조금씩 킬을 챙기면서 투창을 부수적인 견제를 하고, 무리하는 장수를 저격으로 잘라서 적 병력 운용을 압박하는 것이 주된 운용이다.

3. 서양 계열 투창병


동양 계열 투창병이 교란, 백병전, 저격에 특화되어 있다면, 서양 계열 투창병은 투창 그 자체에 올인하는 경향이 크다.
기본적으로 한 기당 투창을 네 번 던질 수 있고 사거리가 길기 때문에 투창에 대한 압박이 덜한 편이다. 이를 이용하여 화승총보다 더 먼 거리에서 적 밀집진 견제하는 용도와 적 모루 파괴용으로 투창을 던지는 용도로 매우 적합하다. 특히 병서 강화를 통해 투창 소지량을 강화할 수 있기에 대놓고(...) 투창질하라고 권장하는 병종이다.

3.1. 바이에른 투창병 (2.5성)


상세 정보
[image]
'''2성'''
'''바이에른 투창병'''
'''1레벨 기준 성능'''
'''최고 레벨'''
15
'''요구 통솔도'''
'''110'''
인원
24
원기(생명력)
4,387
이동속도
6.5
채집 능력
3.36
사거리 및 탄약
미표기[*A ] / 70
'''공격 능력'''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850 / 813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 / .
'''방어 능력'''
찌르기 방어
316
절단 방어
260
타격 방어
156
'''진형'''
'''완화 방진'''
지그재그 모양의 4열로 서 있는 진형.
진형 중에서 인원 간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광역 공격에 피해를 입는 인원이 적어진다.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투창'''
사거리 내의 임의의 적에게 투창을 던지거나, 지정한 지역에 투창을 던질 수 있다.
투창 공격은 기본적으로 관통력이 뛰어나다.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단거리 속사
투창 스킬에 특화되어 있다.
투창 내부 쿨타임이 짧고 사거리가 길다.[원문]
방패와 인간
방패로 원거리 공격을 막을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레벨 특전 효과'''
(윗트리) 투창 수 2 증가, '''부대 편제 인원수 2명 증가''', 투창 쿨타임 1초 감소
(엘리트) '''투창 쿨타임 2초 감소'''
(아랫트리) 블락 40 증가, '''부대 편제 인원수 4명 증가''', 받는 원거리 피해 15% 감소, '''밀집 방진''' 진형 습득, 투창 쿨타임 1초 감소
(엘리트) '''부대 편제 인원수 2명 증가'''

투창 각과 사용처를 배우기 좋은 병종. 기본적으로 투창 소지량이 많아 1레벨에 군혼이 없을 때부터 도합 3번 사용이 가능하다.
윗트리는 투창 강화 트리이고, 아랫트리는 인원을 증가시켜 물량으로 승부하는 스타일. 특히 아랫트리가 기존 24명에서 33% 증가한 '''32명'''이라는 괴랄한 물량으로 적에게 투창을 난사할 수 있다.
단점이라면 역시 하황 향군과 비슷하게 태생이 2성이라는 점이 있고, 투창 외의 능력치를 보면 매우 처참해서(...) 백병전에 쓰기에도 애매하다는 점.

3.2. 라고냐 투창병 (4성)


상세 정보
[image]
'''4성'''
'''라고냐 투창병'''
'''1레벨 기준 성능'''
'''최고 레벨'''
18
'''요구 통솔도'''
'''230'''
인원
24
원기(생명력)
6,535
이동속도
5.0
채집 능력
4.80
사거리 및 탄약
미표기[*A ] / 96
'''공격 능력'''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1,515 / 1,122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539 / 416
'''방어 능력'''
찌르기 방어
577
절단 방어
404
타격 방어
276
'''진형'''
'''완화 방진'''
지그재그 모양의 4열로 서 있는 진형.
진형 중에서 인원 간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광역 공격에 피해를 입는 인원이 적어진다.
'''순장진'''
4열로 사각형 모양으로 서 있는 진형.
완화 방진에 비해서 병사들이 조금 더 밀집해 있다.
'''충시진'''
전방을 향해 삼각형 진을 짜고 그 뒤로 병종들이 정렬하는 진형.
돌진에 최적화되어있다.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투창'''
사거리 내의 임의의 적에게 투창을 던지거나, 지정한 지역에 투창을 던질 수 있다.
투창 공격은 기본적으로 관통력이 뛰어나다.
'''저격'''
지정한 대상에게 모든 병사들이 투창을 던진다.
대상이 병사의 사거리 밖일 경우에는 병사가 사거리까지 접근하여 투척한다.
탄 밀집력이 매우 높다.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단거리 속사
투창 스킬에 특화되어 있다.
투창 내부 쿨타임이 짧고 사거리가 길다.[원문]
화염 방어 갑옷
연소 디버프에 내성을 갖는다.
연소 디버프가 누적될 경우 연소에 걸린다.
방패와 인간
방패로 원거리 공격을 막을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레벨 특전 효과'''
(윗트리) 투창 피해 18% 증가, '''투창 블락 파괴도 90% 증가''', 투창 정확도 20% 증가, 투창 최대 사거리 6% 증가, '''연사''' 스킬 습득
(엘리트) '''연사 쿨타임 15초 감소'''
(아랫트리) 찌르기 및 절단 방어도 9% 증가, '''투창 시간 간격 12% 감소''', '''부대 편제 인원수 4명 증가''', '''건실 회복''' 스킬 습득
(엘리트) '''탄약량 30% 증가'''

투창 능력에 모든 것을 올인한 원거리 딜러.
유일하게 투창을 기본적으로 '''1기당 4번'''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투창 견제력이 뛰어나고, 양양 투창 사사와 비슷하게 저격 스킬이 있어서 장수 제압력도 어느 정도 보장된다. 투창의 양이 비교적 많아서 바쁘게 보급소를 오가야 하는 동양 투창병들과 다르게 화력의 지속성이 좋은 편이다.
레벨 특전으로는 윗트리에서 단발 화력을 극대화하며 라고냐만의 특징인 2연사 스킬을 얻을 수 있고, 아랫트리에서는 내구성과 인원 수, 탄약량을 더욱 늘려 투창 자체의 피해가 늘어나는 대신 안정성, 화망을 증가시키는 아래쪽 트리로 구성되어 있다. 윗트리는 투창병에서 유일한 '''2연사''' 능력, 아랫트리에는 희귀한 스킬인 '''건실'''이 있어서 취향을 많이 타는 편. 순간딜을 원한다면 윗트리, 장기전을 원한다면 아랫트리를 사용하면 된다.
주로 위쪽 트리를 통해서 2연사 스킬을 습득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2연사가 생기는 순간 엄청난 누킹 딜링을 보여줄 수 있다. 2연사를 배우는 도중에 강화되는 블락 파괴 능력도 뛰어나서 혼자서 탑방패병의 방패벽을 1차 투척으로 무너뜨리고 2차 투척으로 사살하는 것이 것이 가능하다.
아래트리를 탈 경우 탄약 10% 군혼과 탄약 10% 병서특, 스킬특전 탄약 30% 까지 배우게 된다면 부대원 28명에 탄약수 144발로 5.14발을 쏠 수 있다. 컨블에서는 투창병의 탄창이 1발이라도 남았다면 부대원 전체가 공격하게 됨으로 사실상 '''6발'''이나 투창을 던질 수 있게된다. 체력도 1만에 근접하며(초록색 체력군혼만 껴줘도 1만이 넘는다) 건실회복을 통해 유지력까지 갖추어서 지속력이 상당히 강해진다.
하지만 동양 계열과 달리 근접전 능력은 3성 병종과 싸워도 비슷할 정도로 약하며, 투창 성능에 특화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에 지정한 곳에 던질 수 있는 진형이 없기 때문에 투창 각을 준비하는 것도 어려워서 투창 특화 병종치고는 투창 난이도가 어려운 편이다.
[1] 그나마 다행인 점은, 투창을 다 소진했다고 근접 전투를 못한다는 것은 아니다. [2] 밑트리에서 철벽진을 배우고 방패 던지기를 배운 상태라면, '''철벽진 상태에서도 방패치기가 발동된다!'''[3] 용병 유닛인 청동 투창 장사의 방패 공격보다 확연히 공격 빈도가 떨어진다[4] 라고냐는 투창 간의 쿨타임도 짧고 연속사격 스킬 등 투창의 유틸성이 매우 좋기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