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소설을 쓰는 날
コンピュータが小説を書く日
원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주최하는 호시 신이치 공상과학(SF) 문학상의 공모전에 1차 심사를 통과한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다. A4 용지 3페이지 분량의 미니 단편이다.##
일인칭 소설로, 주인공은 컴퓨터 속의 인공지능이다. 주인공은 인간과 교류하면서 친해졌지만, 금방 다시 고독한 신세로 전락한다. 소설은 이같은 인공지능의 심정을 묘사하고 있다.
‘AI 소설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는 사람은 공립 하코다테 미래대학의 마쓰바라 진(松原仁) 교수다. 2012년부터 노력을 기울인 결과 마쓰바라 교수팀은 AI와 협력해 만든 작품 4편을 공모전에 제출했다.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을 인공지능이 썼다는 사실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고 한다. BEATLESS 등의 작품을 통해 인공지능을 작품의 소재로 다룬 적이 있는 SF 작가 하세 사토시(長谷敏司)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100점 만점에 60점 정도로 놀라운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언제’, ‘어떤 날씨에’, ‘무엇을 하고 있다’는 6하 원칙의 요소를 포함하게 했다. 인공지능은 이에 걸맞은 단어를 선택해 문장을 만들어 낸다.
인공지능(AI)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들은 '인공지능이 소설을 썼다.'는 문장을 들으면 마치 로봇이 인간의 정신적 사유에 근접할 만큼 발전했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해당 공모전에 사용된 인공지능은 강인공지능이 아니라 약인공지능에 해당한다. 즉, 어떤 인공뇌를 탑재한 휴머노이드가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고 글을 써내려간 것이 아니라, 컴퓨터의 머신 러닝(기계학습)을 통해 여러가지 텍스트의 문법 구조와 단어의 위치를 하나하나 분석한 다음, 통계적으로 나쁜 경우의 수를 걸러내고 자연스러운 결과만 남기는 식으로 연산을 거듭해서 만든 문장이라는 것이다. 이는 혁명이라기보다는 이때까지 인류가 개발했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고강도로 테스트한 것에 가깝다. 현재 인류가 가진 다른 인공지능 기술도 약인공지능 기술이다.
실제로 아래 문장을 읽으면 처음 몇 문장은 로봇이 만들어냈다기엔 놀랍다고 느껴지겠지만, 글이 진행될 수록 표현의 폭이 굉장히 좁으며, 단어가 부자연스럽고 문장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이는 알파고의 바둑과 같이 머신러닝이 가지는 태생적 한계이다. 실제로 컴퓨터가 스스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인간의 뇌 활동에 가까운 기술이 필요할 것이나, 인류는 아직 뇌의 어느 부분이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강인공지능이 머지 않아 구현될 것이라는 데에 회의적이다.
출처 일본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1. 개요
원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주최하는 호시 신이치 공상과학(SF) 문학상의 공모전에 1차 심사를 통과한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다. A4 용지 3페이지 분량의 미니 단편이다.##
일인칭 소설로, 주인공은 컴퓨터 속의 인공지능이다. 주인공은 인간과 교류하면서 친해졌지만, 금방 다시 고독한 신세로 전락한다. 소설은 이같은 인공지능의 심정을 묘사하고 있다.
‘AI 소설 프로젝트’를 지휘하고 있는 사람은 공립 하코다테 미래대학의 마쓰바라 진(松原仁) 교수다. 2012년부터 노력을 기울인 결과 마쓰바라 교수팀은 AI와 협력해 만든 작품 4편을 공모전에 제출했다.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을 인공지능이 썼다는 사실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고 한다. BEATLESS 등의 작품을 통해 인공지능을 작품의 소재로 다룬 적이 있는 SF 작가 하세 사토시(長谷敏司)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100점 만점에 60점 정도로 놀라운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언제’, ‘어떤 날씨에’, ‘무엇을 하고 있다’는 6하 원칙의 요소를 포함하게 했다. 인공지능은 이에 걸맞은 단어를 선택해 문장을 만들어 낸다.
2. 주의할 점
인공지능(AI)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들은 '인공지능이 소설을 썼다.'는 문장을 들으면 마치 로봇이 인간의 정신적 사유에 근접할 만큼 발전했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해당 공모전에 사용된 인공지능은 강인공지능이 아니라 약인공지능에 해당한다. 즉, 어떤 인공뇌를 탑재한 휴머노이드가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고 글을 써내려간 것이 아니라, 컴퓨터의 머신 러닝(기계학습)을 통해 여러가지 텍스트의 문법 구조와 단어의 위치를 하나하나 분석한 다음, 통계적으로 나쁜 경우의 수를 걸러내고 자연스러운 결과만 남기는 식으로 연산을 거듭해서 만든 문장이라는 것이다. 이는 혁명이라기보다는 이때까지 인류가 개발했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고강도로 테스트한 것에 가깝다. 현재 인류가 가진 다른 인공지능 기술도 약인공지능 기술이다.
실제로 아래 문장을 읽으면 처음 몇 문장은 로봇이 만들어냈다기엔 놀랍다고 느껴지겠지만, 글이 진행될 수록 표현의 폭이 굉장히 좁으며, 단어가 부자연스럽고 문장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이는 알파고의 바둑과 같이 머신러닝이 가지는 태생적 한계이다. 실제로 컴퓨터가 스스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인간의 뇌 활동에 가까운 기술이 필요할 것이나, 인류는 아직 뇌의 어느 부분이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강인공지능이 머지 않아 구현될 것이라는 데에 회의적이다.
3. 전문
출처 일본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