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산자리

 


'''테이블산자리'''
Mensa / Men
[image]
'''학명'''
Mensa
'''약자'''
Men
'''주요 별 수'''
4
'''가장 밝은 별'''
α Men ('''5.09 등급''')
'''가장 가까운 별'''
α Men (33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뱀자리, 팔분의자리, 카멜레온자리, 날치자리
'''관측 가능 여부'''
X
1. 개요
2. 상세
3. 발견된 천체
3.1. 항성
3.2. 딥 스카이 천체
3.3. 외계 행성계 및 외계 행성

[clearfix]

1. 개요


'''Mensa'''[1]''', Men'''
하늘의 남극 부근에 있는 별자리. 위치상으로는 팔분의자리와 거의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그물자리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바로 맞은편의 팔분의자리를 제외하면 하늘의 남극에 가장 근접해 있는 만큼 대한민국을 비롯한 거의 모든 북반구 지역에서는 '전혀' 관측할 수 없다. 단, 북위 4도 이남 한정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계절로는 겨울철 별자리로 분류된다.

2. 상세


성도상의 그림으로는 정상이 편평한 산으로 묘사되어 있지만...정작 실제 별자리의 형태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모두 5등성 이하의 어두운 별로 이루어져 있어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가장 밝은 알파성이 5등성으로, 이는 모든 별자리 가운데 가장 낮은 밝기(...). 참고로 가장 밝은 별조차 5등급보다 어두운 별자리는 이 별자리가 '''유일하다(...)'''[2]
특징적인 천체로 테이블산자리 파이와 퀘이사인 PKS 0637-752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발견된 천체 문단 참조.
[image]
케이프타운테이블 마운틴. 정면에 보이는 경기장은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의 경기장으로 쓰인 케이프타운 스타디움(구 그린포인트).
이 별자리의 특이점은 '실존하는 지명을 별자리 이름으로 사용한' 최초의 사례라는 점인데, 실제 테이블산은 아프리카 케이프타운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별자리가 이런 이름을 갖게 된 데는 라카유[3]가 테이블산의 특성을 고려하여 붙였을 가능성이 있다. 테이블산 정상 부근에는 기후에 따라 구름이 끼는 때가 있는데, 마침 테이블산자리 바로 옆에도 그 유명한 마젤란 성운이 위치해 있다. 이런 점을 테이블산의 특성에 빗대어 명명한 듯. 또한 성도상의 그림 속에서 산 정상이 편평한 이유도 실제 테이블산 정상이 칼로 잘라낸 듯 편평하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마젤란은하의 남쪽 일부가 속한 별자리로도 유명하다. 북쪽 일부는 황새치자리가 차지하고 있다.

3. 발견된 천체



3.1. 항성


  • α Men: 각각의 별자리의 가장 밝은 별 88개 중 가장 어두운 별이자 유일하게 겉보기 등급이 5등급 이상으로 매우 어두운 별(...) 약 33광년 거리에 있어 절대 등급과 겉보기 등급이 비슷하다. 태양과 유사한 주계열성으로, 분광형은 G5V.
  • γ Men: 약 100광년 거리에 있는 K형 거성이자(분광형 K4III) 쌍성계. 반지름은 태양의 5배이나, 질량은 태양과 비슷하다.
  • β Men: 대마젤란 은하 앞쪽 방향에 있는, 태양과 성질이 비슷한 노란색 거성. 이 별자리에서 3번째로 밝은 별이며, 겉보기 등급은 5.3등급이다.
  • π Men: 3.3 문단 참조
  • HD 38283: 3.3 문단 참조
  • TZ Men: 2개의 A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쌍성계로, 겉보기 등급은 6.2~6.9등급이다.
  • YY Men: 강한 X선을 방출하는 주황색 거성(K형 거성). 여기서부터는 맨눈으로는 관측할 수 없다.
  • AH Men: 백색 왜성과 적색 왜성으로 구성된 격변 변광성.
  • WISE 0535-7500: 준갈색왜성 또는 떠돌이 행성.

3.2. 딥 스카이 천체


  • 대마젤란 성운: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 대부분은 황새치자리에 있지만, 남쪽 일부 부분이 이 별자리에 속한다.
  • NGC 1987: 테이블산자리 소속 대마젤란 은하 내의 성단. 구상성단인지 산개성단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 NGC 1848: 산개성단.
  • PKS 0637-752: 퀘이사. 찬드라 X선 관측선의 최초의 관측 목표 중 하나였다.

3.3. 외계 행성계 및 외계 행성


애초에 이 별자리에서 확인된 외계 행성계는 단 3개 뿐이다.
  • π Men: 행성 2개가 있는 G0형 주계열성(분광형 G0V).[4] 2001년에는 이 별 주위를 도는 행성 1개가 발견되었는데, 이 행성의 질량은 발견 당시 기준으로 외계 행성들 중 가장 컸지만, 행성의 궤도가 생물체의 거주 가능 영역을 가로지르는데다 그 궤도상에 거대한 기체 별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이 있을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18년에는 TESS 위성의 탐사로 이 행성의 안쪽 궤도를 도는 더 작은 행성이 하나 더 발견되었다.
  • Bubup(HD 38283): 행성 1개가 있는 F형 주계열성. 행성 이름은 Yanyan(...)
  • HD 39194: 행성 3개가 발견된 K형 주계열성.
여기까지 3개가 전부다(...)

[1] 라틴어로 '테이블'이라는 뜻이다.[2] 3등급보다 밝은 별이 없는 별자리는 39개나 되지만, 5등급 이내의 별이 1개 이하인 별자리는 이 별자리(아예 없음)와 육분의자리 둘뿐이다.[3] 18세기 중엽의 프랑스 천문학자. 그 당시 직접 남반구까지 찾아가 천체를 관측했던 몇 안 되는 천문학자 중 한 명이다.[4] 태양(G2V)과 비슷한 성질을 가졌으며, 태양보다 질량, 반지름, 광도가 약간씩 더 큰 항성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