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1. 개요
2. 규정
2.1. 기본 표기
2.2. 그 외
3. 특징
4. 표기 예시
5. 기타
5.1.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 경위 및 개요
6. 문제점 및 비판
7. 관련 문서


1. 개요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은 1959년 2월 9일에 문교부가 제정한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다. '''1959-SK'''이나 '''1959 MOE''' 또는 문교부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 표기법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대한민국 정부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이었으며, 1984년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약간 수정한 표기법이 제정되고 2000년에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제정되면서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과 함께 형태주의적 표기법의 극단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산처리와 번역에 용이한 글자간의 1대1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 대신 실제 음운와의 일치성은 다소 떨어지며, 인명 표기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2. 규정


규정 원문은 문교부 제정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검토 연구국어의 로마자 표기 자료집을 참고하여 입력했다.

2.1. 기본 표기


  • 1. 한글의 로마자 표기의 기본 원칙
    • 한글의 현행 표기법을 로마식으로 표기한다(正字法).
    •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 일 음운 일 기호의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자음에 있어서는 이 기호를 허용한다.
  • 2. 한글의 로마자화 방식
    • 기본 표기
'''한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로마자'''
g
n
d
r, l
m
b
s
ng
j
ch
k
t
p
h
gg
dd
bb
ss
jj
'''한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로마자'''
a
ya
eo
yeo
o
yo
u
yu
eu
i
ae
yae
e
ye
oe
wi
eui
wa
wo
wae
we
  • 허용 표기
    • 1. 유음의 초성에는 r, 종성에는 l을 씀을 원칙으로 한다.
'''발'''
bal
  • 2. 형태소(形態素)의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연결음의 경우는 A를 원칙으로 하고 그 밖은 B를 허용한다.

'''A'''
'''B'''
'''값이'''
gabsi

'''값과'''
gabsgwa
gabgwa
'''옷이'''
osi

'''옷과'''
osgwa
odgwa
'''옷만'''
osman
odman
'''옷안 '''
os-an
od-an
  • 3. 사이ㅅ은 '(apostrophe)로 표시하고, 분절은 -(hyphen)으로 표시한다. 단, ‘-’은 ng 소리가 다른 음과 혼동될 우려가 있을 때 쓴다.
'''장이'''
jang-i
'''장기(將棋)'''
jang-gi
'''장끼'''
jang-ggi
'''장기(長期)'''
jang-gi
'''장기(長技)'''
jang-gi
'''잔기(殘期)'''
jan-gi
'''경안(慶安)'''
gyeong-an
  • 4. ㅎ 받침은 나는 소리에 가깝게 적는다.
'''좋다'''
jodta
  • 5. 두 형태소 사이에 구개음화한 ㄹ, ㄴ 이 덧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물약'''
mullyag
'''앞일'''
apnil
'''공ㅅ일'''
gongnil
'''앞이'''
apni
  • 6. 같은 글자를 3번 거듭할 때는 1자를 생략한다.
'''깎고'''
ggaggo
'''낚고'''
naggo
  • 7. 1에서 받침 뒤의 ㄹ 은 l로 쓴다.
'''신라'''
sinla
  • 8. 2에서 ㅅ 외에 ㅆ, ㅈ, ㅊ 도 d로 쓴다.
'''갔지'''
gadji
'''갔으나'''
gasseu-na
'''빚장이'''
bidjang-i
'''꽂아'''
ggoja
'''꽃과'''
ggodgwa
'''꽃이'''
ggochi
  • 9. 3에서 ‘가에’와 ‘개’가 혼동될 때는 ga-e로 씀.
  • 10. 4에서 ㅎ+ㄷ=ㅌ(t), ㅎ+ㅈ=ㅊ(ch)의 법칙을 적용.

2.2. 그 외


명문화된 규정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암묵적인(?) 규정이 있었다.
1) 행정 구역 단위는 대문자로 띄어 쓴다. '○○북도', '○○남도'의 경우 '○○', '북/남', '도'를 모두 별개로 본다.
  • 관악구 Gwanag Gu
  • 충청북도 Chungcheong Bug Do
  • 경상남도 Gyeongsang Nam Do
  • 신창읍 Sinchang Eub
  • 인왕리 Inwang Ri
  • 사북면 Sabug Myeon
  • 수원시 Suweon Si
  • 성북동 Seongbug Dong
2) 인명은 성, 이름 순서로 쓴다. 성과 이름의 사이는 띄어 쓰고, 이름의 각 음절 사이에는 하이픈을 넣는다.
  • 김정호 Gim Jeong-ho
  • 백낙준 Baeg Nag-jun
  • 장복남 Jang Bog-nam
받침 뒤의 ㄹ 을 l로 쓰는 것은 잘 지켜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3. 특징


  • 특징
    • 무성음 글자인 ㄱ, ㄷ, ㅂ, ㅈ를 유성음 글자인 g, d, b, j에 배당하였고, 유기음 글자인 ㅋ, ㅌ, ㅍ, ㅊ에 무성음 글자인 k, t, p, ch를 배당하였다.
    • 1음운 1기호 원칙에 충실하였다.

4. 표기 예시



5. 기타



5.1.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 경위 및 개요


아래는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1959년)을 폐지하고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유사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년)을 제정할 때에 대한 내용이다. 출처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자동 변환 프로그램(1994년에 문화체육부(현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에서 개발한 도스용 프로그램)이다.

* 가. 개정의 필요성

* 1. 현행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은 국어 심의회 외래어 분과위원회에서 연구 및 제정, 1959년에 문교부가 공포한 이후, 근 24년간 사용되어 온 표기법으로서,

* 2. 현재 각급 학교 교과서, 정부 간행물, 지명, 도로명, 역명 등은 이 표기법에 따라 적고 있어 그 동안 상당히 보급되었으나,

* 3. 일부 관공서, 영자 신문, 외국 기관 등에서는 1939년에 제정된 '머큔-라이샤워 표기법' 또는 혼합 표기법을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 4. 일부 학계에서는, 첫째로 한글 정자법의 원칙에 입각한 문교부 표기법은 원음을 무시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는 것, 둘째로 원칙과 몇 가지 허용 사항만 예시하고 세칙이 결여되어 표기에 혼란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하고 있다.

* 5. 문화적 경제적 국제 교류의 폭과 질이 가속적으로 확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86 아시안 게임, '88 올림픽 게임에 대비하여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은 시급히 해결되어져야 할 국가적 과제이므로, 현행 표기법의 문제점과 미비점을 분석, 검토하여 보완 방안을 검토하게 되었다.

* 나. 현행 표기법의 연혁과 문제점

* 1. 연혁

||1959. 2.||'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제정||

||1967. 7.||경제기획원 주관 각 부처 실무자 회의
* 정부 간행물은 문교부안에 따르기로 결정||

||1970. 6.||거설부 지형도, 교통부 해도를 문교부안에 따라 수정||

||1971. 8.||미군(기관)에서 머큔-라이샤워(M-R) 표기법과 문교부 표기법 대조표 작성, 활용||

||1972. 2.||관계부처 회의
* 문교부안에 따르기로 결정
* '부산', '김포' 예외 처리 건의
Busan → Pusan / Gimpo → Kimpo||

||1972. 2.||국어 심의회(표기법 분과) 개최
* 문교부안 재확인
* '부산', '김포'등 부분적 예외 인정은 표기상의 혼란이 우려되므로 예외를 인정하기 않기로 결정||

||1972 - 1974||'한국 지도 및 지명일람표' 발행 배포||

* 2. 문제점

* (1) 여러 가지 표기법이 혼용되고 있어 표기에 혼란이 일고 있음.

* 보기: 속리산 Sogri Mt. (문교부 표기), Mt. Songni (M-R 표기)

* (2) 한글을 현행 한글 맞춤법에 따라 로마자로 표기하는 원칙에서 원음과 괴리 현상이 나타남.

* 보기: 값과 gabsgwa / 젊다 jeolmda

* (3) ㅓ(eo), ㅡ(eu)의 표기는 외국인들의 실제 발음과 거리가 멈.

* 보기: eo …… [ie], [io], [ia], [eo] 등 / eu …… [iə], [iu], [eu] 등

* (4) 받침은 표기의 기본 원칙과 몇 가지 허용 사항만 예시하고, 그 밖의 받침에 대해서는 구체적 설명이 없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음.

* 보기: ㄳ, ㄺ, ㄿ, ㄾ, ㄽ, ㅀ, ㄻ, ㄵ, ㄶ 등

* (5) ㅎ 받침이 ㄱ, ㄷ, ㅂ, ㅈ과 어울려 날 경우의 세칙이 없음.

* 보기: 좋고 jodko, joko / 맏형 madhyeong, matyeong

* (6) ㄷ, ㅌ이 구개음화될 경우의 언급이 없음.

* 보기: 굳이 gudi, guji / 같이 gati, gachi

* 다. 개정 추진 경위

||1978. 6. - 9.||현행 문교부 표기법의 문제점 분석 연구||

||1978.10. - 11.||국어 심의회(표기법 분과) 심의||

||1978.12.||개정 시안 발표||

||1978.12. - 1979.7||시도별 공청회 및 지상 여론 조사||

||1979. 4.||설문지 배포 (2,500부)||

||1979. 6.||전문가 및 실무자 회의||

||1979. 5. - 8.||여론 종합 분석||

||1979. 8.||국어 심의회(표기법 분과) 재심||

||1979. 8.||개정 시안의 수정안 발표||

||1979. 9.||수정안에 대한 여론 조사||

||1979.11.||국어 심의회(표기법 분과) 재심||

||1979.11.||'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최종안 마련||

||1981. 5.||어문 관계 사업 학술원으로 이관||

||1982. 1.||어문관계 사업추진을 위한 학술원인문과학부회 제2분과회의
어문연구위원회 외래어 및 국어로마자표기법 소위원회 구성||

||1982. 1. - 2.||3차에 걸친 문교부 개정안 검토 방법 및 추진 계획 수립||

||1982. 2.||국어의 로마자화를 위한 여러 표기 원칙의 장단점 검토 및 실용기관 관계자 초청, 의견 청취||

||1982. 3.||문교부 개정안 검토
표음주의 표기 원칙 설정
모음 'ㅓ, ㅡ'의 표기와 자음 표기(ㄱ, ㄷ, ㅂ, ㅈ)에 대한 문제점 검토||

||1982. 3. - 4.||4차에 걸쳐 자모음 표기 방법에 대한 논의 및 자문인사 초청||

||1982. 4.||문교부 개정안과 M-R 표기법을 표음주의 원칙에 입각해서 수정 보완, 한 두 가지 시안을 소위원회 토론에 붙여, 양안의 문제점을 극소화시킨 하나의 시안을 마련함||

||1982. 4. - 5.||3차에 걸쳐 작성한 시안 검토||

||1982. 5.||소위원회 시안 마련
어문연구 위원회 심의
정부 관계 부처 실무자와의 공청 협의회||

||1982. 6.||전문 인사, 관계 부처, 어문연구 위원회, 소위원회 연석 협의회 어문 연구 위원회 심의, 개정안 마련||

||1982. 9.||외국인 대상 실험 검토||

||1983. 5.||외래어 및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소위원회 개최||

||1983. 6.||'고유 명사의 로마자 표기안'에 대한 자문 인사 및 관계 부처 실무자 공청 협희회
문교부 최종 시안 마련||

||1983. 9.||정부 각 부처 및 유관 기관 실무자 공청 협의회
차관회의에 보고
국무회의에 보고||

* 라. 개정 표기법의 특징

* (1) 표음주의 원칙을 채택하여 국어의 표준 발음을 소리나는 대로 표기

* 보기: 독립문 Doglibmun → Tongnimmun

* (2)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명칭을 변경함

* (3) 모음 ㅓ,ㅡ와 파열음, 파찰음을 외국인의 실제 발음에 접근 되도록 조정

* 보기: 거북선 Geobugseon → Kŏbuksŏn / 김포 Gimpo → Kimp'o / 부산 Busan → Pusan

* (4) 고유명사 표기 방식의 통일을 위한 규정을 신설

* 보기: 김정호 Kim Chŏng-ho / 전라북도 Chŏllabuk-do / 속리산 Songnisan

* (5) 국제 관계 및 종래의 관습적 표기를 고려해서 최소 한도의 관용을 허용

* 보기: 서울 Seoul

* (6) 반달표(˘)와 어깨점(')은 인쇄나 타자의 어려움이 있을 때는 의미의 혼동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을 허용


6. 문제점 및 비판



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