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
1. 개요
革命的共産主義者同盟(革命的マルクス主義派)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는 1963년 결성된 일본 신좌파 정치단체이다. 다른 일본 신좌파 정치단체와 비슷하게 일본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추구한다. 마찬가지로 일본공산당과 달리 의회주의, 합법주의 노선에 반대[1] 한다. 주로 혁마르파로 불리며 단체 깃발이나 간행물에도 자신들의 단체 이름을 주로 혁마르파 또는 혁명적맑스주의자파라고 표시하고 있다.
2. 결성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을 포함한 일본 신좌파의 등장 배경을 이해하려면 일본공산당의 노선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전후 1950년 일본공산당은 미국제국주의와 투쟁하지 않는다는 소련공산당의 비판을 받고 급격히 노선을 수정해 1950년 제5회 전국협의회 결의를 통해 무장투쟁 노선을 채택했다. 하지만 폭력을 포함한 비합법적 투쟁 방법을 사용해 정부, 재계와 투쟁하던 중 많은 피해를 입었다. 민심도 일본공산당의 뒤늦은 폭력투쟁에 호응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 속에서 1955년 열린 일본공산당 제6회 전국협의회는 이전 무장투쟁 노선을 폐기하고 합법투쟁 노선으로 당의 노선을 바꾸게 된다. 1955년 제6회 전국협의회와 1958년 재건대회로 지도부로 등장한 미야모토 겐지 등 일본공산당 국제파는 본래 기존 지도부의 소극적 반미투쟁을 비판하던 세력이었지만 무장투쟁 과정에서 입장을 바꿔 합법투쟁 노선으로 당을 일관하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공식적으로 무장투쟁 노선을 종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일본공산당 국제파 지도부는 당을 안정시키고 성장시키며 지방과 중앙 정치에 당을 안착시키는데 많은 역할을 했다. 하지만 비합법주의 노선 폐기와 의회주의, 합법주의 노선으로의 전환에 일본공산당 일각에서는 불만을 품는다. 주로 일본공산당 내 청년학생조직인 일본민주청년동맹(약칭 민청) 일부와 일본민주청년동맹이 지도하는 전일본학생자치회총연합(약칭 전학련) 일부에서 반발이 있었다. 당 내 일각의 불만에 더해 1956년 소련의 헝가리 침공을 계기로 일어난 스탈린 논쟁 등으로 인해 당 내 불만세력은 당에서 제명되거나 이탈하게 되었다. 이들이 당 밖에서 형성되고 있던 반스탈린주의 좌파 및 이미 존재하고 있던 일본사회당 좌파 일부와 결합하여 일본의 신좌파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일본의 신좌파는 처음부터 단일한 단체나 이론을 가진 집단 아니었으며, 처음부터 여러 단체와 이론을 가진 집단들이었다.
일본 신좌파 형성기에 등장한 단체는 공산주의자동맹과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이었다. 공산주의자동맹은 일본공산당에서 제명되거나 이탈한 당원들로 주로 구성되었고,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은 일본공산당 전(前) 당원들 및 당 밖의 반스탈린주의 좌파들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두 단체 모두 얼마 가지 않아서 구체적인 노선을 둘러싸고 분열된다.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은 이론 문제와 일본사회당 입당 문제, 사회운동의 도덕성 문제 등으로 인해 분열하고 그 과정에서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가 등장한다.
1957년 결성된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은 1958년 일본사회당 입당 문제를 놓고 첫 번째로 분열했으며, 1959년 경찰에 일본민주청년동맹 정보를 제공하려 한 구로다 간이치[2] 사건을 두고 두 번째로 분열했고, 1963년에는 당 건설 방법과 노동운동에 대한 개입 방법을 둘러싸고 세 번째로 분열했다. 세 번째 분열을 통해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가 결성되었다.
한편, 2번째 분열 당시 지금의 중핵파와 혁마르파 세력을 축출한 기존의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은 후에 다른 조직과 통합하여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제4인터내셔널)을 결성한다.
3. 역사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중핵파)와는 달리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는 오랫동안 창립자인 구로다 간이치에 의해 지도되었다. 구로다 간이치는 결성 때부터 1996년까지 혁마르파를 지도했다.
1960년의 안보투쟁에 참여했다.[3]
전공투 운동에 참여하여 도쿄대학 야스다 강당 점거투쟁에도 함께했으나 전력보존을 이유로 야스다 강당에서 철수해 버린다. 이 일로 혁마르파는 타 정당 및 정파로부터 신뢰를 잃게 된다. 전공투 와해 이후 타 정당 및 정파의 신뢰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가에서 학생운동을 계속하여 분열된 전일본학생자치회총연합(약칭 전학련) 중 한 곳을 지도하게 된다.
나리타 공항 건설 반대 운동에도 참여했으나 중핵파가 주도하는 반대 운동 단체와는 다른 독자적인 반대 운동 단체를 만들어 참여했다. 결국 당국과 협상 끝에 건설 반대 운동에서 이탈한다.[4]
1985년 국철 민영화에 반대하는 국철노동조합의 파업 때에는 노동조합 및 타 정당, 정파와 같이 투쟁했으나, 1969년 야스다 강당 점거투쟁 때와 비슷하게 전력보존을 이유로 정부, 사측과 타협하고 파업 투쟁에서 발을 뺀다. 국철 민영화 반대 운동에서 먼저 발을 뺀 대가로 이후 철도노동조합들 중 다수파가 된 전일본철도노동조합총연합회(약칭 JR총련)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국철 민영화 반대 운동 포기로 타 정당 및 정파로부터 또 다시 배신행위라는 거센 비판을 받았다.
4. 현황
다른 일본 신좌파 단체들이 그렇듯,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도 출판사를 거점으로 삼아서 활동한다.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은 자신들이 설립한 출판사 해방사(解放社)와 그 지사를 중앙과 지역의 거점으로 삼아 활동하고 있고, 출판사와 제호가 같은 주간신문 해방(解放)을 발행하고 있다. 물론 해방사(解放社)에서는 구로다 간이치의 저작을 포함한 기타 단행본들도 출판하고 있다. 해방사(解放社) 본사 겸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 본부는 도쿄에 있는데 한 건물 전체를 소유하고 있다.
단체가 결성될 때부터 지금까지 학생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지금도 전일본학생자치회총연합(약칭 전학련) 분파 중 한 곳을 지도하고 있다. 혁마르파계 전일본학생자치회총연합과 중핵파계 전일본학생자치회총연합은 사용하는 깃발의 색깔이 다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혁마르파계 전학련은 붉은 깃발에 하얀 글자로 '전학련'이라고 쓴 깃발을 사용하는 반면 중핵파계 전학련은 파란 깃발에 하얀 글자로 '전학련'이라고 쓴 깃발을 사용한다.
최근 혁명적맑스주의자파의 집회 모습. 집회 참여자들이 Z를 쓴 하얀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image]
해방사(解放社) 본사 겸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맑스주의자파) 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