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p.io/탱크/보스 탱크
1. 개요
[image][image][image][image][image]
AI에 의해 조종되는, 사실상 총구달린 도형 취급되는 탱크이며[2] FFA, 2TDM, 4TDM에서 주로 나오는 탱크이다. 사실 Domination(점령전 아니면 도미네이션)과 Tag(태그전), 심지어는 Sandbox(샌드박스), 서바이벌 모드에서도 시간이 오래 지나기만 하면 보스 탱크가 생긴다. 메이즈 모드에서는 미로 벽 때문에 보스가 제대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인지 보스가 없다.
15레벨 미만의 탱크는 먼저 공격을 하지 않는 이상 공격하지 않으며 맵에 나타날 땐 화면 위에 어느 보스가 나타났는지, 죽을때는 누가 죽였는지도 나온다.
아무리 보스에게 강한 탱크라도, 보스와 1:1을 해서 이기기란 매우 힘들며[3][4] 그 때문에 개인전(FFA)에서는 방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팀전에서는 협동해서 잡기도 하지만 자기 진영으로 끌고가던지 아니면 보스가 팀 진영으로 들어가든지 해서 프로텍터한테 맞아 죽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5] . 다만 팀전에서의 경우 다른 팀의 총알은 자신의 팀 진영에서 상쇄되는데 얘네들의 드론이나 총알은 타락한 보스가 아닌이상 상쇄되지 않고 진영 안으로 총알이 들어오는 데다가 보스 탱크는 프로텍터 정도의 체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절대로 진영 안에 들어왔다고 해서 안심하면 안된다.
참고로 폴른 오버로드와 폴른 부스터는 도형, 중립 도미네이터, 아레나 클로저에 닿으면 데미지를 입는다. 가끔 폴른 부스터가 알파 펜타곤[6] 이나 녹색 도형[7] 을 먹을려고 몸빵하는걸 볼수 있다. 왜냐하면 fallen이 붙은 보스들은 중립이 아니라서 도형을 포함한 모든 중립 물체들도 적대적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서바이벌에서 중립 보스가 있다면 해당 중립 보스는 '''영원히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 서바이벌 특성상 인원이 적고, 리스폰이 되지 않고, 인원이 모두 없어지면 거기는 중립밖에 없기 때문에 중립 보스는 그냥 영원히 생존하게 된다. 하지만 회색 보스는 서바이벌에서 풀피 상태이고, 인원이 1명밖에 없다 해도 아레나 클로저가 나오면 마지막 남은 인원과 함께 아레나 클로저에게 맞아 죽게 된다.
포위되었는데 한쪽이 보스 탱크라면, 다른 플레이어에게 점수를 헌납할 바에 차라리 보스에게 닥돌해서 자살하는게 낫다.[8]
2. 목록
2.1. Guardian of the Pentagons (가디언 오브 더 펜타곤)
[image]
[image]를 쏘고 다니는 탱크로 AI에 의해서 조종되는 보스 탱크이다. 풀네임은 가디언 오브 더 펜타곤[9] 이지만, 축약해서 그냥 가디언이라고 부른다. 가디언에 의해 생성된 크래셔는 플레이어를 쫓아오지만, 탱크 자체는 플레이어를 인지하지 못한다. 가디언이 생성하는 크래셔는 없애도 점수를 주지 않는다. 한국 시간 2016년 8월 19일경에 잠수함 패치로 추가된 듯 하다. 체력은 3000이며 잡으면 경험치 3만을 준다. 여기서 나오는 크래셔는 일반적인 그런 게 절대 아니다. 드론의 체력이 꽤나 하기 때문에 DPS가 낮은 탱크로 상대한다면 체력만 깎이다 죽을 수 있다. 단, 크래셔가 나오는 곳을 공격하면 아무것도 못해서 트윈이나 머신 건한테 죽을수도 있다.
보스중에서 가장 약하며 중앙에서 스폰된다.
이 때문에 중앙에 있을 때 보스가 나오면 보스에게 살해당할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천적'''은 집탄, 분산, 확산, 파괴, 포탑계, 프레데터 같은 탄막형 탱크.맵 테두리에서만 돌아다닌다. 또한 팀 진영으로 들어와서 프로텍터가 공격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 그 경우는 팀원이 한명이라도 가디언에게 진영 내에서 공격을 받지 않았을 때다. 데미지를 입으면 그 때부터 프로텍터가 가디언을 때리기 시작한다.
집탄계, 파괴계, 포탑계는 크래셔가 나오는 곳을 집중 공격하면 이긴다.
'''총속 0 펜타샷은 방해가 없다는 전제 하에 가디언과 1대1이 가능하다.''' 단 1대1로 상대할 경우 나머지 스탯은 체력 쪽으로 모두 투자해줄 것.
분산계는 측면을 공략하자.
건드리면 안되는 탱크는... 돌격계, 근딜형 기동계, 파괴계...
2.2. Summoner (서머너)
[image]
[image]의 초각성버전.
8월 20일자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네크로맨서의 드론과 같이 사각형을 쏘고 다니는 탱크로 AI에 의해서 조종되는 보스 탱크이다. 네크로맨서와 다르게 사각형은 본체에서 자동 생성된다. 네크로맨서의 드론보다는 약하지만[13] 개수가 훨씬 많고 재장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14] 체력이 3,000이며 잡으면 경험치 3만을 준다. 탄막이 많은 탱크를 모아놓고 집중사격하면 쉽게 죽일 수 있다.
저격계같은 탱크는 다른 플레이어만 조심하면 잡을수 있다. (프레데터 제외[15] )
'''서머너와 1대1이 가능한 탱크는 총알 관련 스탯을 풀로 투자한 분산계, 프레데터.'''
서머너가 이동하는 방향에 서서 시야에서 아슬아슬하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총알을 쏴주면 3~5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2.3. Fallen Booster (폴른 부스터)
[image]
부스터의 각성버전.
부스터와 똑같이 생겼지만 더 크고 회색인 보스 탱크이다. 근딜이며[16] , 체력은 3000으로 부스터보다 훨씬 많지만 회복력은 적다. 잡으면 경험치 3만을 준다. 8월 21일자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부스터의 성향을 지녀서 기본 이동속도가 빠르고, 총탄 공격력도 무시 못할 수준에다 한번 정해진 타겟은 죽거나 범위 밖으로 벗어날 때까지 쫓아오기 때문에[17] 팀전에서 자기 팀 지역이 가까이 있지 않거나 느린 탱크면 죽을 확률이 높다. 마찬가지로 이동속도가 빠른 부스터에 타겟팅이 될 경우, 해당 부스터를 본진으로 끌고와져서 본진 수비중이던 프로텍터들에게 죽는 일이 매우 흔하다. 프로텍터로 체력을 깎아내린 후 막타를 먹이는 등의 사냥 방법도 있다. 다만 주의할 점이 있다면 폴른 부스터의 총탄은 어떤 팀의 안전지대에 닿아도 바로 상쇄되지 않고, 제아무리 체력이 높은 프로텍터도 폴른 부스터를 때리다 보면 상쇄된다. 근딜 부스터의 특성을 가져서 파괴계에게 매우 약한 편이다. 그리고 이속 및 장전 스탯을 풀업한 부스터한테도 죽을수도 있다. 트윈보다 속도가 느려서 그런 탱크들에게 잘 잡힌다. 쉽게 잡고 싶다면 자신의 진영으로 유도해 프로텍터가 체력을 충분히 줄였을때 죽이자.
천적은 파괴계, 펜타 샷과 스프레이어. 모두 폴른 부스터보다 빠르다[18] . 드론이나 저격처럼 이 보스보다 느리면 당하는게 일상. 스프레이어의 경우는 탄막으로 총탄을 막으며 반동으로 후퇴하면 폴른 부스터 측이 계속 데미지를 입으며 죽는다.
2.4. Fallen Overlord (폴른 오버로드)[19]
[image]
오버로드의 각성버전.
오버로드와 똑같이 생겼지만 더 크고[20] 회색인 보스 탱크이다. AI로 조종된다. 드론의 성향은 오버로드보다 배틀쉽에 가까워서 양이 많고 재장전 속도가 빠르다[21] . 잡으면 경험치 3만을 준다. 8월 21일자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폴른 오버로드는 써머너의 드론보다 공격력이 높기때문에 다른 보스들에 비해 잡기 매우 어려운 편이다. 여담으로, 모바일에서는 아직 서머너보다 공격력이 낮다. [다만]
얘는 블루팀의 진영 아래쪽 근처에서 스폰한다. 때문에 아레나 클로저로부터의 생존 시간도 줄어든다. 태어나자마자 아레나 클로저에게 죽게 되니까....
드론의 내구성이 좀 강해서 분산계와 막상막하로 싸울수 있다. 또, 파괴계로도 상대하기 힘든게 사실 옆으로도 드론이 오다보니 연사력이 느려 막기도 힘들다.
'''가장 원활하게 1대1이 가능한 탱크는 총속에 0~2스탯을 투자한 펜타 탱크. 사실상 프레데터와 어나로도 충분히 잡을 수 있다.'''나머지 스탯은 모두 체력에 투자하여 장기전으로 끌고가면 방해가 없다는 전제하에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2.5. Defender (디펜더)
[image]
[image]의 초각성버전.
보스중에서 가장 강하다고 평가받는 보스.
몸체는 빨간색 삼각형에 트라이-트래퍼와 같은 지뢰발사총구 3개 그리고 자동 포탑 3개가 달려 있다. 관통력이 아주 강해서 쉽게 접근하긴 어렵다.전체적인 성능은 트라이-트래퍼+오토 3 이고 생김새는 오토 트래퍼 3개가 삼각형 형태로 붙혀진 모양이다. 체력은 3,000으로, 프로텍터와 비슷한 수준이며, 잡으면 경험치 3만을 준다. 특이하게도 지뢰와 총탄이 노란색이다.회전하면서 사방팔방 으로 지뢰 방어선을 만들고[23] 자동 포탑 3개로 공격하는데 총탄은 오토 거너의 것과 같아 작지만 10발만 맞아도 아프다.
특히 체력이 낮다면 5발만 맞아도 절반 가까이 깎인다.[24] 여러 명이 협동하여 지뢰와 총탄을 막아내고, 꾸준히 체력을 깎아 잡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보스탱크중 2가지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데 바로 Fallen Booster (폴른 부스터)와 Defender (디펜더)이다. 드론계 보스를 제외하면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면 된다. 드론계 보스는 그냥 드론만 움직인다. Fallen Booster는 가까운 플레이어를 끝까지[25] 따라가서 격추시키는데 반대로 Defender는 플레이어가 너무 가까이 올 경우 포탑의 기동력을 이용해 반대방향으로 도망친다.[26]
잡기가 아주 어려운 보스중 하나다. 그래도 트리플렛 둘이면 쉽게 잡을 수 있다.
이 보스는 잡기가 굉장히 어렵다. 집탄계의 탄막도 뚤리는데다, 총알이 포탑이라 파이터의 측면총구 공략도 어렵고, 어그로에 끌려주는것도 어렵다. 파괴계의 총탄은 지뢰와 총탄에 막히거나 적은 피해만을 주고 오히려 자신이 큰 피해를 입기도 한다. 또, 포탑의 감지범위가 꽤 넓다보니시야가 좁은 탱크들은 시야 밖에서 공격당하기도 한다. 또, 스프레이어의 강한 DPS와 연사력으로 상대하려고 해도, 오히려 퍼진 총탄 사이로 총알이 날아온다.
[1] 몰론 이 보스도 주위에 아무것도 없으면, 드론을 자신의 자리로 갖다놓는다.[2] 콘솔로 색 바꿀때 가디언은 크래셔, 서머너는 사각형, 디펜더는 삼각형의 색을 따른다. 즉, 중립 보스는 고유의 색 ID가 없는것이다.[3] 현재 나온 탱크들 중 가장 보스에게 강한 어나이얼레이터라도, 혼자서는 무리다. 혼자서 보스와 1:1을 한다는 건 혼자서 중립 디스트로이어형 도미네이터를 잡는것처럼 어렵다. [4] 프레데터는 다른 플레이어들을 조심하면 넓은 시야에 시야 이동까지 있고, 약간의 집탄력 덕분에 폴른 부스터를 제외한 나머지를 시간은 걸리지만 혼자서 잡을 수는 있다. 그 외에도 하이브리드, 어나이 엘레이터는 폴론 부스터를 혼자서도 쉽게 이길 수 있다.[5] 그러다 보니 팀전에서 보스를 죽인 탱크는 대부분 an unnamed tank(프로텍터)라고 나온다.[6] 펜타곤 둥지에서 생성되는 매우 큰 오각형[7] 여담으로, 녹색 알파 펜타곤은 폴른 부스터보다 체력이 훨씬 높으므로 부딪히면 그냥 폴른 부스터만 죽는다.[8] 보스는 다른 탱크를 죽이면 강해지지 않지만 만렙탱크를 제외한 다른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탱크는 다른 탱크를 죽이면 강해지기 때문에 리스폰 후 해당 적을 상대하기 더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랭킹표가 있는 곳에서는 보스 탱크는 랭킹표에 등장하지 않지만 다른 유저는 거기에 등장하기 때문이므로 항상 보스 탱크에게 죽는 것을 추천하지만 점령전과 같이 랭킹표가 없는 모드이고, 해당 유저가 만렙이면 누구에게 죽든 상관없다. 비슷한 예로는 서바이벌에서 플레이어가 2명밖에 안 남았을 때에 포위되어도 아무한테 죽어도 된다.[9] 가디언이 크래셔에 기반하였고, 크래셔는 펜타곤 둥지를 지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반영한 이름인 듯 하다.[10] 사실 상위 탱크인 스프레이어는 머신 건 그대로에 총구 하나만 더 달아놓은 거여서 스프레이어가 더 좋다.[11] 해당 사진:[image][12] 파이터는 가디언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면 총구로 공략해도 좋다.[13] 흔히 맵에 존재하는 사각형의 체력정도(사각형보다 조금 체력이 높다.)[14] 최대 재장전 수가 있다.[15] 프레데터는 쉽게 잡는다.[16] 사실 근원딜 통합인 것 같다. 내구투자를 하나도 안한 탱크가 총알을 계속 맞으면 체력이 금방 깎여나간다. 근딜이라 하는 것은 보스여서 체력이 높아 그걸 바탕으로 상대에게 박으려고 하는 성향을 말하는 것이 정확할 것 같다. [17] 초록 큰 오각형에게 박고 죽는 경우도 존재함.[18] 기동계가 전체탱크 중에서 가장 빠르지만 총구로 딜을 넣으려면 뒤들 돌게 되고 그러면 반동도 거의 못 받으니 잡기 힘들다.[19] 몰론 이 보스도 주위에 아무것도 없으면, 드론을 자신의 자리로 갖다놓는다.[20] 60레벨 추정.[21] 최대 재장전 수는 28개[다만] 성능이 좋은 폰으로 플레이 한다면 '''정말 쉽게 잡을수 있다.'''걍 집탄계로도 밀어 붙이자.[22] [image]처럼.[23] 지뢰의 스탯이 풀업 트래퍼 급이다[24] 디스트로이어의 총탄이 잘 안 먹힌다. (지뢰가 강해서) 지뢰벽을 뚧을 순 있지만 금방 상쇄당한다.[25] 일정 범위 이내 일 경우[26] 물론 저레벨(15레벨 미만)의 중립자예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