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CI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1] 는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의 한 분야이다. 최종 목표는 컴퓨터 시스템을 쓰는 데 있어서 최적의 사용자 경험(UX)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1. 개요
HCI는 어떤 디지털 제품이 좋은 제품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좋은 디지털 제품을 만들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좋다고 하면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기능의 좋음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쓰기 편한가, 제품에 따라 적당한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가도 포함한다. TV가 기능은 정말 많아서 못 하는 게 없는데 쓰는게 엄청나게 불편하고 오래걸린다고 생각해보자. 절대로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원래 HCI는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연구해서 궁극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을 만드려는 학문이었는데, 그 의미가 확장되어 대상도 컴퓨터 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등을 광범위하게 포함하게 되었고, 사람 부분도 개인 뿐만 아니라 사회, 집단을 포함하게 되었다.
HCI는 그 특성상 한 분야만으로는 연구할 수 없고 여러 분야가 협력해 연구하는 분야이기도 하다. 디지털 시스템을 다룬다는 점에서 컴퓨터공학이, 사람이 느끼는 바를 파악해야 하므로 심리학도 필요하고,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니 산업공학이나 산업디자인도 필요하다.
실제로 HCI에 관련된 학회를 가보면, 컴퓨터 공학, 산업공학 (주로 인간공학), 산업 디자인 등의 다양한 학과에서 교수들과 학생들이 모여드는 진귀한 장면을 볼 수 있다. [2]
2. 원리
좋은 디지털 제품이 무엇인지 따지는 데에 있어서 HCI에서는 크게 세 가지 기준을 사용한다.
- 유용성 :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해 주는가의 여부.
- 사용성 : 쓰기 과정이 효율적이고 편리한가의 여부.
- 감성 : 보기 좋고 제품에 적합한 감정을 유발하는가의 여부.
3. 진학 관련
위에서 언급했듯이 HCI는 굉장히 광범위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주로 컴퓨터 공학, 산업 공학 (인간 공학), 산업디자인 등의 학과에서 연구가 되고 있다. 워낙 HCI가 광범위하다 보니 각 연구실에서 다루는 세부 분야도 다른 경우가 많다. [3] 연구실 진학 전에 본 연구실에서 주로 어떤 분야를 다루는 지를 살펴보고 가야할 필요가 있다. 보통 연구실에서 나오는 논문을 보면 대략적인 연구실의 방향이 가닥이 잡히는 경우가 많다.
학부에서는 주로 컴퓨터공학이나 정보 및 시스템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석사과정 진학에 유리하다. 심리학(인지분야)이나 산업디자인을 거쳐서 진학하는 사람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학부 기초과정에서 프로그래밍을 배우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프로그래밍 공부를 해야한다. 석사과정에서 본격적으로 HCI 공부를 시작하게 되는데, 이론은 HCI개론과 함께 뇌, 인지, 행동 등 인간의 전반에 대한 공부를 하고, 실기에서는 디자인, 프로그래밍,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습득한 이론을 적용시키는 연습을 한다. 전공 특성상 프로젝트가 많고, 산학 협력이 상당히 많이 이루어지는 편이다. 때문에 해외 유수의 대학교에서 이루어지는 HCI 프로젝트는 규모나 수준도 상당하다. 국내에도 관련 전공이 있다지만, 제대로 공부(혹은 연구)를 하고자 한다면 사실상 유학은 필수조건이다. [4] 2018년 기준 리서치게이트에 가장 많이 올라오는 HCI 관련 연구주제는 인공지능, 정보사회, 자율주행자동차, 로보틱스, 인지행동 등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