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해당 문서는
Synthesizer V의 음소 표기법을 정리한 문서이다.
VOCALOID가 X-Sampa를 차용한다면 SynthV는 Arpabet 표기법을 기반으로 두고 있다. 단 이것은 영어 음원 한정이며 일본어는 독자적인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어는 보컬로이드와 마찬가지로 X-Sampa를 차용하고 있다.
2. 영어
'''모음'''
|
synthV 표기
| IPA
| 예시
|
aa
| ɑ
| p'''al'''m
|
ae
| æ
| b'''a'''t
|
ah
| ʌ
| b'''u'''t
|
ao
| ɔ
| b'''ough'''t
|
aw
| aʊ
| ab'''ou'''t
|
ax
| ə
| rent'''a'''l
|
ay
| aɪ
| b'''i'''te
|
eh
| ɛ
| b'''e'''t
|
er
| ɝ
| b'''ir'''d
|
ey
| eɪ
| h'''ey'''
|
ih
| ɪ
| b'''i'''t
|
iy
| i
| b'''ea'''t
|
ow
| oʊ
| b'''oa'''t
|
oy
| oɪ
| b'''oy'''
|
uh
| ʊ
| b'''oo'''k
|
uw
| u
| b'''oo'''t
|
'''자음'''
|
synthV 표기
| IPA
| 예시
|
b
| b
| '''b'''uy
|
ch
| tʃ
| '''ch'''ina
|
d
| d
| '''d'''ie
|
dh
| ð
| '''th'''e
|
dr
| dɹ
| '''dr'''ive
|
dx
| ɾ
| bu'''tt'''er
|
f
| f
| '''f'''ight
|
g
| ɡ
| '''g'''uy
|
hh
| h
| '''h'''igh
|
jh
| dʒ
| '''j'''ust
|
k
| k
| '''k'''ite
|
l
| l
| '''l'''ie
|
m
| m
| '''m'''y
|
n
| n
| '''n'''ose
|
ng
| ŋ
| si'''ng'''
|
p
| p
| '''p'''ie
|
r
| ɹ
| '''r'''isk
|
s
| s
| '''s'''ay
|
sh
| ʃ
| '''sh'''y
|
t
| t
| '''t'''ie
|
th
| θ
| '''th'''ing
|
tr
| tɹ
| '''tr'''ee
|
v
| v
| '''v'''ote
|
w
| w
| '''w'''ise
|
y
| j
| '''y'''es
|
z
| z
| '''z'''oo
|
zh
| ʒ
| mea'''s'''ure
|
3. 일본어
'''모음'''
|
synthV 표기
| IPA
| 사용 발음
|
a
| ä
| あ단 전부
|
i
| i
| い단 전부
|
u
| ɯ̹
| う단 전부
|
e
| e̞
| え단 전부
|
o
| o̞
| お단 전부
|
'''청음 자음'''
|
synthV 표기
| IPA
| 사용 발음
|
k
| k
| か, き,く, け, こ
|
ky
| kʲ
| きゃ, きゅ, きぇ, きょ
|
s
| s
| さ, す, すぃ, せ, そ
|
sh
| ɕ
| し, しぇ, しゃ, しゅ, しょ
|
t
| t
| た, て, てぃ, と, とぅ
|
ty
| tʲ
| てぃぇ, てゃ, てゅ, てょ
|
ch
| t͡ɕ
| ち, ちぇ, ちゃ, ちゅ, ちょ
|
ts
| t͡s
| つ, つぁ, つぃ, つぇ, つぉ
|
n
| n
| な, に, ぬ, ね, の
|
ny
| nʲ
| にぇ, にゃ, にゅ, にょ
|
h
| h
| は, ひ, へ, ほ
|
hy
| çʲ
| ひぇ, ひゃ, ひゅ, ひょ
|
f
| ɸ
| ふ, ふぁ, ふぃ, ふぇ, ふぉ
|
m
| m
| ま, み, む, め, も
|
my
| mʲ
| みぇ, みゃ, みゅ, みょ
|
my
| mʲ
| みぇ, みゃ, みゅ, みょ
|
y
| j
| いぇ, や, ゆ, よ
|
w
| w
| うぃ, うぇ, うぉ, わ
|
'''탁음 자음'''
|
synthV 표기
| IPA
| 사용 발음
|
g
| g
| が, ぎ, ぐ, げ, ご
|
gy
| gʲ
| ぎぇ, ぎゃ, ぎゅ, ぎょ
|
z
| d͡z
| ざ, ず, ずぃ, ぜ, ぞ
|
j
| d͡ʑ
| じ, じぇ, じゃ, じゅ, じょ
|
d
| d
| だ, で, でぃ, ど, どぅ
|
dy
| dʲ
| でぃぇ, でゃ, でゅ, でゅ
|
b
| b
| ば, び, ぶ, べ, ぼ
|
by
| bʲ
| びぇ, びゃ, びゅ, びょ
|
p
| p
| ぱ, ぴ, ぷ, ぺ, ぽ
|
py
| pʲ
| ぴぇ, ぴゃ, ぴゅ, ぴょ
|
'''ん'''
|
synthV 표기
| IPA
| 사용 발음
|
N
| n, m, ŋ, ɴ
| ん
|
'''R2 추가 발음'''
|
synthV 표기
| IPA
| 사용 발음
|
kw
| kʷ
| クァ, クィ, クゥ, クェ, クォ
|
gw
| gʷ
| グァ, グィ, グゥ, グェ, グォ
|
v
| β
| ヴ, ヴァ, ヴィ, ヴェ, ヴォ
|
cl
| t̚
| っ[1] 사실 R1 시절 부터 존재하던 발음이다. っ을 입력하면 들을 수 있는 발음이었으나, 폐쇄 발음인데 발음이 끊어지지 않고 길게 늘어져서 자음 n처럼 들리는 심각한 오류가 있었다.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언젠가부턴가 っ을 입력 시 침묵 기호 [sil]이 출력되도록 업데이트 돼서 사실상 버려졌다. 그러나 R2 업데이트 후 어중에 쓰면 확실하게 끊어지도록 바뀌어서 R1 시절보다 실용성 있게 바뀌었다. 그러나 어미에서는 여전히 길게 늘어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
보컬로이드와 달리 일부 い단의 구개음화된 자음을 표기하지 않는다. 가령 き는 [ky i]라고 표기하지 않고 [k i]라고 표기한다.
か행, た행, ぱ행 외의 발음은 cl 기호 대신 자음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촉음 효과를 내는 것을 훨씬 추천한다.
4. 중국어
해당 단락은
VOCALOID 발음기호 표/중국어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VOCALOID와 똑같이 X-Sampa를 차용하고 있으나 미묘하게 다른 점이 존재한다. '(작은 따옴표 기호) 대신 `(억음 부호)를 사용하고 _(밑줄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VOCALOID는 모든 모음을 띄어쓰기 없이 하나의 표기로 사용할 수 있던 반면, Synthesizer V는 일부 모음을 사용하기 위해선 두 표기를 조합해야 사용할 수 있다.
ㄤ[A N]의 [A]나 ㄟ[a :{{{\}}}i]의 [:{{{\}}}i] 같이 본래 홀로 쓰일 수 없는 모음도 억지로 분리해서 사용 가능하다.
백슬래시(\) 기호는 시스템 언어에 따라 ¥, ₩ 등 다양한 글자가 될 수 있다.
'''성모(자음)'''
|
분류
| 한어병음(주음부호)
| IPA 발음 기호
| Synth V 표기
|
쌍순음
| b(ㄅ)
| [p]
| p
|
p(ㄆ)
| [pʰ]
| ph
|
m(ㄇ)
| [m]
| m
|
순치음
| f(ㄈ)
| [f]
| f
|
설첨음
| d(ㄉ)
| [t]
| t
|
t(ㄊ)
| [tʰ]
| th
|
n(ㄋ)
| [n]
| n
|
l(ㄌ)
| [l]
| l[2]
|
설치음
| z(ㄗ)
| [t͡s]
| ts
|
c(ㄘ)
| [t͡sʰ]
| tsh
|
s(ㄙ)
| [s]
| s
|
권설음
| zh(ㄓ)
| [ʈ͡ʂ]
| ts`
|
ch(ㄔ)
| [ʈ͡ʂʰ]
| ts`h
|
sh(ㄕ)
| [ʂ]
| s`
|
r(ㄖ)
| [ʐ]~[ɻ]
| z`
|
설면음
| j(ㄐ)
| [t͡ɕ]
| ts\
|
q(ㄑ)
| [t͡ɕʰ]
| ts\ h
|
x(ㄒ)
| [ɕ]
| s\
|
설근음
| g(ㄍ)
| [k]
| k
|
k(ㄎ)
| [kʰ]
| kh
|
h(ㄏ)
| [x]
| x
|
반모음
| 없음[3] 반모음은 정식 한어 병음에 포함되지 않으나 Synthesizer V에서는 구현되어 있다.
| [j], [ɥ]
| j
|
[w]
| w
|
'''운모(모음)'''
|
분류
| 한어병음(주음부호)
| IPA 발음 기호
| Synth V 표기
|
단운모
| a(ㄚ)
| [ä]
| a
|
o(ㄛ)
| [ɔ]
| o
|
e(ㄜ)
| [ɯ̯ʌ] or [ɤ]~[ɯ̯ɤ][4] 나무위키 표준중국어 문서에서는 ɯ̯ʌ, Vocaloid Wiki에서는 ɤ~ɯ̯ɤ라서 일단 중복 표기
| 7
|
i(ㄧ)
| [i]
| i
|
[ɨ]
| i\
|
[ɨ˞ ]
| i`
|
u(ㄨ)
| [u]
| u
|
ü(ㄩ)
| [y]
| y
|
복운모
| ai(ㄞ)
| [aɪ̯]
| a :\ i
|
ei(ㄟ)
| [eɪ̯]
| e :\ i
|
ao(ㄠ)
| [ɑʊ̯]
| AU
|
ou(ㄡ)
| [ɤʊ̯]
| @U
|
비운모
| an(ㄢ)
| [an]
| a :n
|
en(ㄣ)
| [ən]
| @ :n
|
ang(ㄤ)
| [ɑŋ]
| A N
|
eng(ㄥ)
| [ɤŋ]
| @ N
|
ong(ㄨㄥ)
| [ʊŋ]
| U N
|
권설운모
| er(ㄦ)
| [ɑɻ]~[ɚ]
| a r\ `
|
결합운모
| ia(ㄧㄚ)
| [i̯ä]
| ia
|
ie(ㄧㄝ)
| [i̯ɛ] or [i̯e̞][5] 위와 같이 나무위키 vs Vocaloid Wiki의 표기가 서로 다름. 다만 발음기호를 고려했을 때 나무위키 쪽이 맞을지도 모른다.
| iE
|
iao(ㄧㄠ)
| [i̯ɑʊ̯]
| iAU
|
iou(ㄧㄡ)
| [i̯ɤʊ̯]
| i@U
|
ian(ㄧㄢ)
| [i̯ɛn]
| iE :n
|
in(ㄧㄣ)
| [in]
| i :n
|
iang(ㄧㄤ)
| [i̯ɑŋ]
| iA N
|
ing(ㄧㄥ)
| [iŋ]
| i N
|
iong(ㄩㄥ)
| [i̯ʊŋ]
| iU N
|
ua(ㄨㄚ)
| [u̯ä]
| ua
|
uo(ㄨㄛ)
| [u̯ɔ]
| uo
|
uai(ㄨㄞ)
| [u̯aɪ̯]
| ua :\ i
|
uei(ㄨㄟ)
| [u̯eɪ̯]
| ue :\ i
|
uan(ㄨㄢ)
| [u̯än]
| ua :n
|
uen(ㄨㄣ)
| [u̯ən]
| u@ :n
|
uang(ㄨㄤ)
| [u̯ɑŋ]
| uA N
|
ueng(ㄨㄥ)
| [u̯əŋ]~[u̯ɤŋ][6]
| u@ N
|
üe(ㄩㄝ)
| [y̯œ] or [y̯e̞][7]
| yE
|
üan(ㄩㄢ)
| [y̯ɛn]~[yan]
| y{ :n
|
ün(ㄩㄣ)
| [yn]
| y :n
|
5. 특수 기호
'''특수 기호'''
|
synthV 표기
| IPA
| 예시
|
sil
| 없음
| 어미에 이 발음을 넣으면 숨소리가 살짝 들어가며 발음이 끝난다. 사실 사용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발음
|
pau
| 없음
| 어미에 이 발음을 넣으면 악센트를 주며 소리를 끝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