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ujinx

 

1. 개요
2. 기능
3. 호환성


1. 개요


공식 홈페이지
레딧
유튜브
닌텐도 스위치 에뮬레이터로, yuzu와 함께 닌텐도 스위치 에뮬레이터의 유망주이다. 기반 언어는 C#.
발음은 'REE-YOU-JI-NX'로 읽으며 이름의 어원은 용(일본식 발음)+코드명을 덧붙혀 만든 이름이다.
플랫폼은 윈도우, 리눅스, macOS.

2. 기능


퀵 세이브, 배속처럼 특별한 기능은 아직 불가능하며 구동만이 가능하고 API는 Vulkan은 커녕 OpenGL밖에 되지 않는다. 초기에 비해 그래픽, 사운드 크래쉬는 완화돼서 게임 플레이엔 지장이 없이 가능하다.
게임마다 호환성이나 그래픽 크래쉬가 많이 개선되어 대부분의 게임은 구동이 가능해졌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은 최신 버전인 1.6.0 버전까지 정상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1]
게임에서 로드된 셰이더 캐시를 저장해둬서 다음 구동때 일일히 로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세팅에서 Enable Profiled Persistent Translation Cache를 체크하면 된다.
로그를 에뮬이 구동되면서 함께 나오는 명령 프롬프트에 나오게 할 수 있으며 에러 로그를 포함한 로그들도 남길 수 있지만 프레임 저하를 발생시킨다고 하여 로그 옵션을 끄는게 좋다.
8월 25일에 멀티 플레이를 지원하게 됐다. 링크 모여봐요 동물의 숲,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마리오 카트를 포함한 그 외에 다른 게임도 멀티 플레이가 지원 된다고 한다. 아직은 테스트 단계이기 때문에 최신 버전 에뮬레이터엔 적용되지 않았다.
실시간 호스팅 게임 목록에서 연결 가능한 게임, 호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12월 21일부터 ldn2 빌드가 LAN모드를 지원하게 됐다. 네트워크 설정을 해준 뒤 사용하는 와이파이만 일치하면 로컬 통신이 가능한 기능을 구현해놓았다.
멀티플레이를 하기 위해선 상기한 링크에서 전용 빌드 에뮬레이터를 받아야 하며, 옵션 탭에서 Ruyjinx Ldn 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것만으로 세팅은 끝난다. 게임에서 호스트가 다른 플레이어를 받을 수 있게 준비하면 알아서 매칭된다.[2] 프레임 차이나 핑에 대해선 꽤 안정적인 편이며, 프레임이 2배 가까히 차이나도 잘 튕기지 않고 한국에서 중국. 유럽권, 미국, 인도, 멕시코까지 매칭되는게 확인됐다. 다만 아직 기능이 불안정한지 가끔 플레이어가 들어올 때나 호스트 측에 문제가 생기면 에러 로그가 뜨며 멀티방이 통째로 터진다.
이중 공유기나 특정 방화벽상의 문제로 호스트를 열 수 없을 경우 세팅에서 Disable P2P Network Hosting 옵션을 체크하여 Ryujinx의 프록시 서버로 대신 호스팅 할 수가 있다. 단 서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단 멀티 플레이 방식이 실기하고 차이가 있어서 '인터넷 통신'이 아닌 '로컬 통신'으로 해야 연결된다. 그리고 통신하고자 하는 게임의 버전이 일치해야 한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으로 하고자 한다면 1.4버전으론 1.4.2 버전의 섬에 놀러갈 수 없다.

3. 호환성


현재 호환 가능한 게임 리스트(github)
https://www.youtube.com/watch?v=45i1dXeqrA8
해당 리스트에 있는 게임 대부분이 구동 가능하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이 구동이 가능하고 본 게임을 초점으로 만든 전용 빌드까지 따로 있었다.[3] 최소한 노트북에서도 굴릴 수 있으나 에뮬의 성능 호환성 때문에 원활하게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진 않다. GPU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 CPU 연산을 주로 활용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제대로 활용해먹질 못한다. 멀티코어는 지원한다.
API 기반이 OpenGL이다 보니 암드 계열사를 사용한다면 프레임 저하, 크러쉬가 생긴다는 제보가 종종 보이는 편. 인텔, NVIDIA는 문제없이 돌아간다.
타 에뮬레이터과 세이브 파일이 서로 호환된다. 타 에뮬로 게임을 구동할 때 일정 구간에서 크래쉬가 발생한다면 Ryujinx로 크래시가 발생하는 구간을 넘겨서 플레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할 때 정확성과 안정성을 볼 때엔 Ryujinx를, 원할한 게임 플레이 자체만이 목적이라면 구동은 yuzu가 훨신 선호되는 편이다.

[1] 1.6.0부턴 1.0.5775 빌드, ldn-2 이상만 구동이 가능하며 하위 버전이나 로컬 멀티 빌드인 ldn-1 버전은 구동이 불가능하다. 세이브 파일 자체가 손상되니 구동하기 전 주의할 것.[2] 에뮬레이터를 구동할 때 게임 목록에서 LDN info 열에서 호스트, 참가한 플레이어 수를 표시해준다. 호스트 방이 없을시 N/A 표시.[3] 당시 모동숲 구동 목적으로 만든 acnh 빌드가 있었다. 이후에 공식 최신 버전에서도 작동이 확인되어 이후 acnh 빌드의 공식 배포는 중단, 최신 버전을 이용하면 문제없이 구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