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飛'''날 비
'''부수
나머지 획수'''

飛, 0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と-ぶ, と-ばす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fēi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1. 낱말
3.2. 지명
3.3. 고사성어·숙어
4. 부수
5. 일본어

[clearfix]

1. 개요


날 비(飛)
유니코드는 98DB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4급II으로 분류된다.
새가 날개치며 나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낱말


  • 비거리(飛距離)
  • 비말(飛沫)
  • 비상(飛翔)
  • 비행(飛行)
  • 비약(飛躍)
  • [1]

3.2. 지명


  • 강원도 동해시 비천동(江原道 東海市 飛川洞)
  • 강원도 삼척시 조비동(江原道 三陟市 鳥飛洞)
  •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京畿道 華城市 飛鳳面)
  •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光州廣域市 光山區 飛鴉洞)
  •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全羅北道 完州郡 飛鳳面)
  •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全羅南道 新安郡 飛禽面)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忠淸北道 淸州市 飛下洞)

3.3. 고사성어·숙어


  • 오비이락(烏飛梨落)
  • 백운고비(白雲孤飛)
  • 풍비박산(風飛雹散)
  • 혼비백산(魂飛魄散)

3.4. 인명



3.5. 창작물



4. 부수



명칭 : 날비부
강희자전 안에 183번째에 수록돼 있는 부수로써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92개이다. 부수로 붙을 땐 비상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飜(번역할 번)·飝(날 비)·䬡(날아오를 저)

5. 일본어


  • 飛ぶ (とぶ): 날다
  • 飛ばす (とばす): 날리다, 날게 하다, 건너뛰다
  • 飛行 (ひこう): 비행
  • 突飛 (とっぴ): 엉뚱하다

[1] 飛行이 아니라 非行으로, '행실이 바르지 않다' 정도로 의역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로 알고 있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