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설명
'''부수'''(
部首)는 사전에서
한자를
배열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각 글자마다 구성 요소를 추출해 그 중에서 뜻에 해당하는 부분이 비슷한 것을 모아 공통되는 뜻 부분이 있는 모습을 색인에 내어 부수로 삼는다. 쉽게 말하면 여러 한자의 근본이 되는 한자들. 부수는 시대나 자전에 따라 달라졌는데 현재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강희자전 방식이다. 한국의 자전과 대만의 중국어 사전에서는 모두 이 방식을 사용한다. 일본 역시 강희자전식 부수를 많이 쓰지만 신자체에 맞게 약간의 변형을 하기도 하며,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은 한자의 형태가 너무 많이 바뀐지라 강희자전식에서 상당한 변형을 해서 쓰고 있다.
부수/중국에 간체용 부수가 나와 있다.
유니코드에서는 U+2F00 ~ U+2FDF 영역에 배당되어 있다.
자전에서는 총 획수가 적은 한자의 경우나 뜻 부분의 추출이 곤란한 경우는 모습이 유사한 부수에 편의상 일괄하는 일이 있다. (ex.
王:
玉부 0획
[1] 획순으로 따지면 -1획이 되어야 하지만 0획이다. 설문해자에서는 王이 玉과 독립된 부수였는데 강희자전에서 王부가 없어지면서 王이 玉부로 들어간 것.
)
부수는 위치에 따라, 변
[2] 休의 人, 話의 言처럼 부수가 글자 왼쪽에 위치한 것
, 방
[3], 머리
[4], 발
[5] 熱의 火, 恩의 心처럼 부수가 글자 아래에 있는 것.
엄
[6] 廣의 广, 氣의 气처럼 좌상단 혹은 우상단을 감싸는 것.
, 받침
[7] 道의 辵, 颱의 風, 越의 走, 建의 廴처럼 좌하단을 감싸는 것.
, 몸
[8] 圍의 口, 問의 門 처럼 글자를 에둘러 감싸는 것
, 제부수
[9] 글자 자체가 부수인 것. 一, 至, 龍 등. 일단 부수 그 자체여야 하고, 독립된 글자로 쓰일 수 있어야 여기에 해당한다.
로 나뉜다. 그리고 대체 부수가 어떤 형태로 위치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 것도 있다. 부수의 배열은 주로 획수순이고, 획수가 같은 부수는 배열 순서가 따로 정해져 있다. 현재 유니코드는 한자를 포함하는 각 영역 안에서 한자 배열을 부수→획수 순서대로 하고 있다.
강희자전 방식의 부수는 모두 214개
[10]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각 한자의 변형 부수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水(물 수)와 氵(삼수변), 心(마음 심)과 忄(심방변)은 각각 같은 것으로 취급한다.
이며, 순서는 정해져 있다.
1획에서 5획까지는 그렇지만 6획부터 17획까지는 정자(正字)와 헷갈릴 만한 글자 때문에 특히 한자검정시험에서 부수를 써보라는 문제에서 가장 난감해지기도 한다. 특히 푸를 청(靑), 용 룡(龍), 보리 맥(麥), 사슴 록(鹿), 삼 마(麻), 북 고(鼓), 쥐 서(鼠), 코 비(鼻), 이 치(齒), 피리 약(龠) 등 글자들은 대부분이 부수가 따로 달린 글자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들 모두 '''부수자''' 중 하나이다. 다닐 행(行) 또한 얼핏 보면 彳부 3획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게 아니라 行 자체가 통째로 부수이며 行의 가운데 부분에 다른 글자가 삽입되는 식으로 쓰인다. 이는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예서로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수렴진화를 겪으며
거짓짝 신세가 돼버린 것이다.
2. 헷갈리기 쉬운 부수
회의자는 구성 요소들이 비교적 평등하게 결합한 글자이기 때문에, 그 요소들 중 어느 것이 부수인지 헷갈리기 쉽다. 일례로 서로 상(相)은 나무 목부일까 눈 목부일까? 답은 눈 목부. 최신 옥편에서는 이렇게 부수를 헷갈리기 쉬운 글자들을 찾기 쉽게 하기 위해, 부수로 생각될만한 쪽에 다 수록해놓고 뜻풀이는 진짜 부수인 쪽에서 찾도록 알려준다. 이를테면 서로 상을 눈 목부에 넣어두되 나무 목부 5획에서도 수록은 하고 뜻풀이는 눈 목부 4획에서 찾도록 알려주는 식이다.
형성자의 경우에도 이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의부(뜻을 담고 있는 한자)와 성부(음을 담고 있는 한자)로 이루어진 형성자는 대개 의부 쪽이 부수지만 예외로 성부 쪽이 부수인 경우도 가끔 있다. 일례로 술 주(酒)는 삼수변 쪽이 의부고 닭 유 쪽이 성부니 물 수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답은 닭 유부. 이렇게 된 데는 뭔가 사정이 있는데 원래 닭 유(酉)는 술단지를 형상화한 글자였는데 나중에 십이지 중 하나인 닭의 뜻으로 쓰이게 되자 원래의 뜻을 살려내기 위해 기존의 酉에 삼수변을 붙인 글자를 추가했기 때문.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최신 옥편에서는 술 주를 닭 유부에 넣어두되 물 수부 7획에서도 수록은 하고 뜻풀이는 닭 유부 3획에서 찾도록 알려주는 식으로 하고 있다. 윤달 윤(閏)도 이런 경우인데 술 주와는 사정이 좀 다르다. 원래 부수가 540자가 있었던 설문해자에서는 구슬 옥(玉)과 별도로 임금 왕(王) 부수가 존재해서 거기에 속했지만 강희자전에서는 부수 체계를 214자 체계로 개편하면서 해체된 부수에 속했던 글자들을 다른 부수로 이동시켰는데 윤달 윤 또한 임금 왕부를 해체하면서 문 문(門)부로 이동시켰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형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구성 요소들 중 부수가 될 만한 부분을 상실하거나, 구성 요소들 중에 부수가 되는 부분이 없는 글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잡을 집(執)은 다행 행(幸)과 쥘 극(丮)
[11] 현재는 영락없이 알 환(丸) 자처럼 보이지만, 예서로 오면서 형태가 丸 자처럼 변한 것이다.
의 회의자로 설문해자에서는 다행 행 부수에 속했지만 강희자전에서는 앞의 윤달 윤(閏)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너무 많은 부수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다행 행부를 해체했기 때문에 갈 데가 없어져버렸다. 다행 행은 비슷한 모양인 매울 신(
辛)이 아닌 아래쪽 부분 방패 간(干)부로 갔는데, 이 글자는 방패 간부가 아니라 엉뚱하게도 다행 행의 위쪽인 흙 토(土)부로 들어가버렸다. 이런 건 그냥 겪어보고 외울 수밖에 없다. 갚을 보(報)도 마찬가지로 방패 간부가 아닌 흙 토부에 있다. 까마귀 오(
烏)도 새 조(
鳥) 부수에 속해야 할 듯하지만, 鳥부 -1획이라고 쓰기 뭣하기 때문에 관련성이 적은 불 화(火)부에 있다. 마칠 료(
了) 역시 아들 자(
子)부 -1획 대신 갈고리 궐(
亅)부 1획이 되었다.
3. 목록
- 독음의 경우 볼드 처리한다.
- 원 부수의 변형으로 별개의 이름이 있거나, 변형은 아니라도 한 부수로 편입된 것은 하위 항목으로 표시한다.
번호
| 글자
| 부수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1
| 一
| 한 '''일'''
| 제부수
| 丁, 七, 丘, 不, 丈, 上, 下, 世
|
|
2
| 丨
| 뚫을 '''곤'''
| 제부수
| 中, 串
| 가운데 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
3
| 丶
| 점#s-1 '''주'''
| 제부수
| 丹, 丸, 主
| 왼쪽 위에서 오른쪽 밑을 향하게 찍는다.
|
4
| 丿
| 삐침 '''별'''
| 제부수
| 乃, 乖, 乘, 乎, 之
| 이 부수인 한자가 무엇인지 감잡기가 조금 어렵다, 乖나 乎의 경우 다른 부수로 오해할 가능성도 있기도 한데, 이 부수인 게 적긴 한 게 위안이 되긴 하다. 위가 乘처럼 되어 있으면 대부분 이 부수며, 갈 곳 없는 한자들이 모인 곳이라 봐도 좋다.
|
5
| 乙(乚)
| 새 '''을'''
| 발,제부수(乙)/방(乚)
| 乾, 九, 亂, 乳, 也
| 이게 받침인 음역자가 매우 많다. 모양 자체도 ㄹ을 닮았고, '을'의 종성인 ㄹ 발음을 딴 것이기 때문. 중국에서는 乛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
6
| 亅
| 갈고리 '''궐'''
| 제부수
| 了, 事, 予
| 중국에서는 丨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
번호
| 글자
| 부수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7
| 二
| 두 '''이'''
| 머리, 몸, 변, 발
| 于, 互, 五, 云, 井
| 중국에서는 一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
8
| 亠
| 돼지해머리
| '''두'''
| 머리
| 京, 亥, 亡, 交, 亨
| 亥(해)의 머리 부분
|
9
| 人(𠆢, 亻)
| 사람 '''인'''
| 머리, 변(亻)
| 仁, 今, 來, 價, 像
|
|
10
| 儿
| 어진사람 '''인'''
| 발
| 光, 兀, 兒, 克, 兄
|
|
11
| 入
| 들 '''입'''
| 제부수
| 內, 全, 兩
| 중국에서는 人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
12
| 八
| 여덟 '''팔'''
| 머리, 발
| 其, 共, 公, 具, 兼
|
|
13
| 冂
| 멀 '''경'''
| 몸
| 再, 冒, 円, 冊
|
|
14
| 冖
| 민갓머리
| 덮을 '''멱'''
| 머리
| 冠, 冥
|
|
15
| 冫
| 이수변
| 얼음#s-1 '''빙'''
| 변
| 冷, 凍, 冬, 凜
|
|
16
| 几
| 책상 '''궤'''
| 방, 발
| 凱, 凡
|
|
17
| 凵
| 튼입구몸
| 입벌릴 '''감'''
| 몸
| 凶, 凸, 凹, 出, 函
|
|
18
| 刀(刂)
| 칼 '''도'''(선칼도방)
| 방(대체로 刂), 발
| 初, 券, 分, 切, 刃, 利, 判, 別
|
|
19
| 力
| 힘 '''력'''
| 방, 발
| 勇, 勢, 動, 勸, 勵
|
|
20
| 勹
| 쌀[12] 먹는 쌀이 아니라, 동사 '싸다(감싸다)'의 관형사형이다. '''포'''
| 몸
| 包, 匐, 勿
| 甸, 句 등은 이 부수가 아니다.
|
21
| 匕
| 비수#s-1 '''비'''
| 방
| 北, 化, 匙
|
|
22
| 匚
| 튼입구몸 (터진입구몸)
| 상자 '''방'''
| 몸
| 匣, 匡, 匪
|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
23
| 匸
| 감출혜몸 (터진에운담)
| 감출 '''혜'''
| 몸
| 區, 匿, 医
|
24
| 十
| 열 '''십'''
| 제부수, 머리, 변, 발
| 半, 南, 卍, 卑, 協
|
|
25
| 卜
| 점#s-2 '''복'''
| 제부수, 머리, 방
| 占, 卡, 卨
|
|
26
| 卩(㔾)
| 병부 '''절'''
| 방, 발(㔾)
| 卽, 卵, 卿, 危, 卷
|
|
27
| 厂
| 민엄호
| 기슭 '''엄'''
| 엄
| 厄, 厭, 原
|
|
28
| 厶
| 마늘모
| 사사로울 '''사'''(=私)
| 제부수, 머리, 발
| 去, 參
|
|
29
| 又
| 또#s-1 '''우'''
| 방, 발
| 友, 及, 反, 叛, 取
|
|
글자
| 부수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口
| 입#s-1 '''구'''
| 변, 머리, 발
| 口, 叩, 哭, 告, 品
|
|
囗
| 큰입구몸
| 에워쌀 '''위'''
| 몸
| 回, 固, 國, 四, 圖
|
|
土
| 흙#s-1 '''토'''
| 변, 머리, 발
| 土, 地, 均, 基, 坤
|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
士
| 선비#s-1 '''사'''
| 제부수, 변, 방, 머리
| 士, 壬, 壻, 壯, 壽
|
夂
| 뒤져 올 '''치'''
| 머리, 발, 받침
| 夂, 备, 変, 处
|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
夊
| 천천히걸을쇠발
| 천천히 걸을 '''쇠'''
| 발
| 夊, 夏, 复
|
夕
| 저녁#s-1 '''석'''
| 제부수, 변, 방, 발
| 夕, 多, 外, 夜, 夢
|
|
大
| 큰 '''대'''
| 제부수, 머리, 발
| 大, 失, 央, 奇, 奉, 契
|
|
女
| 여자 '''녀'''
| 변, 발
| 女, 娘, 委, 威, 嫌
|
|
子(孑)
| 아들#s-1 '''자'''(아들자변)
| 변, 머리, 발
| 子, 孑, 孓, 孔, 孟, 季, 孺, 學
|
|
宀
| 갓머리
| 집#s-1 '''면'''
| 머리
| 宀, 守, 宗, 家, 客
|
|
寸
| 마디#s-1 '''촌'''
| 방, 발
| 寸, 封, 專, 對, 導
|
|
小
| 작을 '''소'''
| 머리, 발
| 小, 少, 当, 尔
|
|
尢
| 절름발이 '''왕'''
| 제부수, 방, 받침
| 尢, 尤, 就, 尨
|
|
尸
| 주검시엄
| 주검 '''시'''
| 제부수, 엄
| 尸, 尺, 局, 尹, 屋, 屬
|
|
屮
| 왼손 '''좌'''
| 제부수, 머리, 발
| 屮, 屰, 㞢, 屯, 㞷
|
|
山
| 메 '''산'''
| 변, 머리, 발
| 山, 岬, 峰, 岸, 島, 巖
|
|
巛
| 개미허리
| 내#s-5 '''천'''
| 제부수
| 巛, 巜, 巢, 巡, 巠
| 같은 부수로 본다.
|
川
| 내#s-5 '''천'''
| 川, 州
|
工
| 장인#s-2 '''공'''
| 제부수, 변, 발
| 工, 巨, 巧, 左, 差
|
|
己
| 몸#s-1 '''기'''
| 제부수, 머리, 발
| 己, 已, 巳, 巴, 巽, 巷
|
|
巾
| 수건 '''건'''
| 변, 발
| 巾, 帽, 常, 席, 帆
|
|
干
| 방패 '''간'''
| 제부수, 발
| 干, 年, 幷, 平, 幸, 幹
|
|
幺
| 작을 '''요'''
| 제부수, 변
| 幺, 幾, 幽, 幼, 幻
|
|
广
| 엄호
| 집#s-1 '''엄'''
| 엄
| 广, 康, 庫, 廣, 廳
|
|
廴
| 민책받침
| 길게 걸을 '''인'''
| 받침
| 廴, 建, 廻, 延
| 중국에서는 フ 2개를 이어서 2획으로 쓴다.
|
廾
| 스물입발
| 들 '''공'''
| 발
| 廾, 弁, 弄, 弊
|
|
弋
| 주살 '''익'''
| 방, 엄
| 弋, 弌, 弍, 弎, 式, 弑
|
|
弓
| 활 '''궁'''
| 제부수, 변, 발
| 弓, 强, 弱, 弔, 張
|
|
彐(彑, ⺕)
| 튼가로왈
| 돼지(고슴도치) 머리 '''계'''
| 머리
| 彖, 彝, 录, 归
|
|
彡
| 터럭 '''삼'''
| 방
| 彡, 彬, 彰, 影, 彩
|
|
彳
| 두인변
| 조금 걸을 '''척'''
| 변
| 彳,往, 徐, 得, 德
|
|
글자
| 부수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心(忄, ⺗)
| 마음#s-1 '''심'''(심방변, 마음심밑)
| 변(忄), 발(가끔 ⺗)
| 心, 志, 感, 恭, 情, 慶
|
|
戈
| 창 '''과'''
| 방, 엄
| 戈, 戊, 成, 戟, 戰
|
|
戶
| 지게[13] 흔히 생각하는 지게가 아닌, 한쪽으로만 여는 문을 뜻한다. '''호'''
| 변, 엄
| 戶, 所, 扇, 房
|
|
手(扌)
| 손#s-1 '''수'''(재방변)
| 제부수, 변(扌), 발
| 手, 才, 打, 拜, 擧, 擊
|
|
支
| 지탱할 '''지'''
| 방
| 支, 攲
|
|
攴(攵)
| 등글월문
| 칠 '''복'''
| 방(대부분 攵), 발
| 攴, 敲, 故, 敎, 敬
|
|
文
| 글월 '''문'''
| 변, 머리, 발
| 文, 斑, 斕, 斉, 斐
|
|
斗
| 말#s-5 '''두'''
| 방, 머리, 발
| 斗, 料, 㪳, 斝
|
|
斤
| 도끼 '''근'''
| 방, 발
| 斤, 斧, 新, 斷
|
|
方
| 모 '''방'''
| 변(주로 方𠂉의 꼴), 발
| 方, 旅, 旁, 族, 旗
|
|
无
| 이미기방
| 없을 '''무'''[14]
| 제부수, 방
| 无, 旡, 旣
| 같은 부수로 본다.
|
旡
| 목멜 '''기'''
|
日
| 해 '''일'''
| 변, 머리, 발
| 日, 明, 景, 旬, 晝
|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
曰
| 가로되 '''왈'''
| 제부수, 머리, 발
| 曰, 曲, 曷, 更, 書
|
月
| 달 '''월'''
| 제부수, 변, 방
| 月, 有, 朋, 朔, 望, 朦朧
|
|
木
| 나무 '''목'''
| 제부수, 변, 머리, 발
| 木, 東, 樹, 果, 權
|
|
欠
| 하품#s-1 '''흠'''
| 방
| 欠[15] 일본에서는 缺(이지러질 결)의 신자체로 쓴다. , 歌, 次
|
|
止
| 그칠 '''지'''
| 제부수, 변, 머리, 발
| 止, 正, 此, 歲, 歷
|
|
歹(歺[16])
| 죽을사변
| 살발라낸뼈 '''알'''
| 제부수, 변
| 歹, 死, 殃, 殉
|
|
殳
| 갖은등글월문
| 창 '''수'''
| 방
| 殳, 殺, 段, 毆, 毅
|
|
毋
| 말 '''무'''
| 제부수, 발
| 毋, 毌, 母
|
|
比
| 견줄 '''비'''
| 머리, 발
| 比, 毕, 毘
|
|
毛
| 털 '''모'''
| 방, 발, 받침
| 毛, 氈, 毫, 毯
|
|
氏
| 성씨#s-1 '''씨'''
| 제부수, 머리
| 氏, 民, 氐
|
|
气
| 기운 '''기'''/빌 '''걸'''[17]
| 엄
| 氣, 氛, 氢, 氦…
|
|
水(氵, 氺)
| 물 '''수'''(삼수변, 아래물수)
| 제부수, 변, 머리, 발(일부 氺)
| 水, 永, 氷, 海, 洋, 沓, 泉, 求
|
|
火(灬)
| 불 '''화'''(연화발)
| 변, 발(대부분 灬)
| 火, 然, 炎, 熱, 無, 烏
|
|
爪(爫, ⺥)
| 손톱 '''조'''(손톱조 머리)
| 머리(爫, ⺥), 받침
| 爪, 爲, 爬
|
|
父
| 아비 '''부'''
| 머리
| 父, 爸, 爺
|
|
爻
| 점괘 '''효'''
| 제부수
| 爻, 爽, 爾
|
|
爿
| 장수#s-2장변
| 조각 '''장'''
| 변
| 爿, 壯, 牀, 牆
| 丬(신자체, 간체자)
|
片
| 조각#s-2 '''편'''
| 변
| 片, 版, 牌
|
|
牙
| 어금니 '''아'''
| 제부수, 변, 발
| 牙, 㸦, 㸧, 牚
|
|
牛(牜)
| 소 '''우'''(소우변)
| 변, 발
| 牛, 牟, 物, 牢
|
|
犬(犭)
| 개 '''견'''(개사슴록변)
| 변(犭), 방, 발
| 犬, 狀, 狗, 獒, 獄, 獻
|
|
글자
| 부수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玄
| 검을 '''현'''
| 변
| 玄, 玆, 率
|
|
玉(王)
| 구슬 '''옥'''
| 제부수, 변(王), 발
| 玉, 王, 璧, 理
|
|
瓜
| 오이#s-1 '''과'''
| 방, 몸
| 瓜, 瓣, 瓢
|
|
瓦
| 기와 '''와'''
| 방, 발
| 瓦, 甁, 瓮
| 중국에서는 ㄴ을 이어 4획으로 쓴다.
|
甘
| 달 '''감'''
| 변, 머리, 발
| 甘, 甛, 甚, 甞
|
|
生
| 날 '''생'''
| 변, 발
| 生, 産, 甥
|
|
用
| 쓸 '''용'''
| 제부수, 발
| 用, 甫, 甩, 甭
|
|
田
| 밭 '''전'''
| 제부수, 변, 머리, 발
| 田, 申, 男, 畓, 略
|
|
疋(⺪)
| 짝 '''필'''
| 변, 방
| 疋, 疑, 疎
|
|
疒
| 병질엄
| 병들어기대누울 '''녁'''
| 엄
| 疾病, 痛症, 癌, 療
|
|
癶
| 필발머리
| 등질 '''발'''
| 머리
| 發, 癸, 登
|
|
白
| 흰 '''백'''
| 변, 머리, 발
| 白, 的, 皇, 百
|
|
皮
| 가죽#s-1 '''피'''
| 변, 방, 발
| 皮, 皺, 皰
|
|
皿
| 그릇#s-1 '''명'''
| 발
| 皿, 盛, 監, 盡, 盧
|
|
目(罒)
| 눈 '''목'''
| 머리, 변, 발
| 目, 相, 眼, 看, 督
|
|
矛
| 창 '''모'''
| 변, 머리
| 矛, 矜, 矞
|
|
矢
| 화살 '''시'''
| 변, 발
| 矢, 短, 矣, 矮
|
|
石
| 돌 '''석'''
| 변, 발
| 石, 硬, 碧, 磬
|
|
示(⺬)
| 보일 '''시'''(보일시변)
| 변(⺬), 발
| 示, 神, 祈禱, 禁, 福
| 示(礻)(신자체, 간체자)
|
禸
| 발자국 '''유'''
| 발
| 禸, 禽, 离, 禹
|
|
禾
| 벼 '''화'''
| 변, 머리, 몸, 발
| 禾, 秋, 秀, 秉, 積
|
|
穴
| 구멍 '''혈'''
| 머리
| 穴, 空, 窓, 突
|
|
立
| 설 '''립'''
| 변, 머리, 발
| 立, 端, 竟, 競
|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竹(⺮)
| 대나무 '''죽'''
| 머리(⺮)
| 竹, 簡, 籐, 筆, 算
|
|
米
| 쌀 '''미'''
| 변, 머리, 발
| 米, 糟糠, 糞, 粱, 糖
|
|
糸(糹)
| 실#s-1 '''사'''(실사변)
| 변(糹), 발
| 糸[18], 系, 繁, 緊, 繼
| 糸(纟)(간체자)
|
缶
| 장군 '''부'''
| 변, 발
| 缶[19], 缺, 罄
|
|
网(罒, 罓, 㓁)
| 그물 '''망'''(그물망머리)
| 머리(罒, 가끔 㓁, 罓)
| 网, 罕, 䍙, 羅, 罷
|
|
羊(⺶, ⺷)
| 양 '''양'''
| 머리(⺷), 변(⺶), 발
| 羊, 美, 羚, 羔, 義
|
|
羽
| 깃 '''우'''
| 변, 방, 머리, 발
| 羽, 翼, 翁, 翅, 翰
|
|
老(耂)
| 늙을 '''로'''
| 머리(일부 耂)
| 老, 考, 耈
|
|
而
| 말이을 '''이'''
| 변, 머리, 발
| 而, 耐, 耑, 耍[20] '장난감 솨'라는 한자이다. 要(중요할 요)와 헷갈리지 말 것.
|
|
耒
| 가래 '''뢰'''
| 변
| 耒, 耕, 耗
|
|
耳
| 귀#s-1 '''이'''
| 변, 발
| 耳, 聽, 聲, 聞, 職
|
|
聿
| 붓 '''율'''
| 머리, 방, 발
| 聿, 肅, 肆
|
|
肉(月, ⺝)
| 고기 '''육'''(육달월)
| 변, 발
| 肉, 腐, 脚, 肩, 腿, 肘
| 肉(⺼)(대만 정체자) 중국에서는 육달월이 달 월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
臣
| 신하 '''신'''
| 변
| 臣, 臨, 臥
| 일본에서는 ㄴ의 획을 분리하여 7획으로 쓴다.
|
自
| 스스로 '''자'''
| 머리, 변
| 自, 臭
|
|
至
| 이를 '''지'''
| 변, 발
| 至, 致, 臺
|
|
臼(𦥑)
| 절구#s-1 '''구'''
| 머리, 발
| 臼, 舅, 舊, 興
|
|
舌
| 혀 '''설'''
| 변, 발
| 舌, 舒, 舍
|
|
舛
| 어그러질 '''천'''
| 발
| 舛, 舞
|
|
舟
| 배 '''주'''
| 변
| 舟, 船, 般, 艇
|
|
艮
| 괘이름 '''간'''
| 방, 발
| 艮, 良, 艱
|
|
色
| 빛 '''색'''
| 방
| 色, 艷
|
|
艸(⺿, 艹, 䒑)
| 풀#s-1 '''초'''(초두머리)
| 제부수, 머리(⺿, 艹)
| 艸, 葡萄, 蔡, 蘇
|
|
虍
| 범 '''호''' 엄
| 호피 무늬 호
| 엄, 방(주로 虎의 꼴)
| 虎, 虜, 虐, 號
|
|
虫
| 벌레#s-1 '''훼'''
| 변, 방, 발(가끔 虫 2개를 쓰기도 함)
| 虫[21] 일본 및 중국에서는 蟲(벌레 충)의 신자체 및 간체자로 쓴다. , 蟲, 蝕, 螳螂, 蜜蜂, 蟹
|
|
血
| 피 '''혈'''
| 변, 머리, 발
| 血, 衆, 衄
|
|
行
| 다닐 '''행''' 항렬 '''항'''
| 몸
| 行, 街, 衛, 術
| 중국에서는 彳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
衣(衤)
| 옷 '''의'''(옷의변)
| 변(衤), 발, 몸
| 衣, 袋, 裏, 裙, 複
|
|
襾(覀)
| 덮을 '''아'''(덮을아 머리)
| 제부수, 머리
| 西, 要, 覆
|
|
글자
| 부수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見
| 볼 '''견'''
| 방, 발
| 見, 視, 親, 覺
| 见(간체자)
|
角
| 뿔#s-1 '''각'''
| 변, 발
| 角, 解, 觜, 觸
|
|
言(訁)
| 말씀 '''언'''(말씀언 변)
| 변, 발
| 言, 許, 語, 論, 譽
| 言(讠)(간체자)
|
谷
| 골 '''곡'''
| 변, 방
| 谷, 谿
|
|
豆
| 콩 '''두'''
| 변, 발
| 豆, 豌, 豈
|
|
豕
| 돼지 '''시'''
| 변, 방, 발
| 豕, 豚, 象, 豬[22]
|
|
豸
| 갖은돼지 '''시''' 갖은개사슴록변
| 발없는벌레 '''치''' 해태 '''태'''
| 변
| 豸, 貌, 豹
|
|
貝
| 조개#s-1 '''패'''
| 변, 발
| 貝, 財, 賣買, 貨, 貪
| 贝(간체자)
|
赤
| 붉을 '''적'''
| 제부수, 변
| 赤, 赦, 赫
|
|
走
| 달릴 '''주'''
| 받침
| 走, 起, 趙, 越
|
|
足(𧾷)
| 발 '''족'''(발족변)
| 발, 변(𧾷)
| 足, 路, 蹇, 跳
|
|
身
| 몸#s-1 '''신'''
| 변
| 身, 軀
|
|
車
| 수레 '''거/차'''
| 변, 발
| 車, 輕, 軍, 輛, 轍
| 车(간체자)
|
辛
| 매울 '''신'''
| 방
| 辛, 辭, 辨
|
|
辰
| 별 '''진'''
| 머리, 발
| 辰, 辱, 農
|
|
辵(⻍)
| (갖은)책받침[23] 원래는 한자의 음에서 따온 착받침이었는데, 진짜 책받침과 발음이 비슷해서 혼동하다 와전된 것이다.
| 쉬엄쉬엄갈 '''착'''
| 제부수, 받침(⻍)
| 辵, 近, 造, 道, 選, 邊
| 辵(⻌)(신자체, 간체자) 辵(⻎)(대만 정체자)
|
邑(⻏)
| 고을 '''읍'''(우부방)
| 제부수, 방(阝)
| 邑, 郡, 部, 鄕, 鄭
| 한국과 일본에서는 ʒ을 두 획에 나눠 쓰지만, 중국에서는 이어서 쓴다.
|
酉
| 닭[24] 본래 '술'이라는 뜻이었는데 '열째 지지'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유'''
| 변, 방, 발
| 酉, 酒, 醉, 醫
|
|
釆
| 분변할 '''변'''
| 제부수, 변
| 釆, 采, 釋
|
|
里
| 마을 '''리'''
| 변, 방, 발
| 里, 野, 量, 重
|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金(釒)
| 쇠 '''금'''(쇠금변)
| 변, 발
| 金, 銀, 銅, 釜, 鑿
| 金(钅)(간체자)
|
長(镸)
| 길 '''장'''
| 제부수, 변(镸)
| 長
| 长(간체자)
|
門
| 문 '''문'''
| 몸
| 門, 問, 聞, 閻, 關
| 门(간체자)
|
阜(阝)
| 언덕 '''부'''(좌부변)
| 제부수, 변(阝)
| 阜, 防, 院, 隊, 陳, 隣
| 한국과 일본에서는 ʒ을 두 획에 나눠 쓰지만, 중국에서는 이어서 쓴다.
|
隶
| 미칠 '''이''', 종 '''례'''
| 제부수, 방
| 隶, 隷[25]
|
|
隹
| 새 '''추'''
| 방, 머리, 발
| 隹, 雄, 集, 雙, 離
|
|
雨(⻗)
| 비 '''우'''
| 머리
| 雨, 雪, 電, 露, 霜, 霧
|
|
靑
| 푸를 '''청'''
| 제부수, 변, 방
| 靑, 靜, 靖
| 青(신자체, 간체자)
|
非
| 아닐 '''비'''
| 머리, 발
| 非, 靠, 靟
|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面
| 낯 '''면'''
| 변, 발
| 面, 靤, 靨
|
|
革
| 가죽#s-1 '''혁'''
| 변, 발
| 革, 靷, 靴, 鞠, 鞏
|
|
韋
| 가죽#s-1 '''위'''
| 변, 방
| 韋, 韓, 韜
| 韦(간체자)
|
韭
| 부추#s-1 '''구'''
| 제부수, 발
| 韭, 韮
|
|
音
| 소리#s-1 '''음'''
| 변, 발
| 音, 韻, 響
|
|
頁
| 머리 '''혈''' 책장 '''엽'''
| 방
| 頁, 頃, 領, 順, 頭, 顯
| 页(간체자)
|
風
| 바람#s-1 '''풍'''
| 변, 방
| 風, 颱, 飄
| 风(간체자)
|
飛
| 날 '''비'''
| 방
| 飛, 飜
| 飞(간체자)
|
食(𩙿)
| 밥 '''식'''(밥 식 변)
| 변(𩙿), 발
| 食, 飢, 飮, 養, 餐
| 食(飠)(신자체), 食(饣)(간체자)
|
首
| 머리 '''수'''
| 제부수, 변, 방, 발
| 首, 馗, 馘
|
|
香
| 향기 '''향'''
| 제부수, 변, 발
| 香, 馝, 馨, 馥
|
|
글자
| 부수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馬
| 말 '''마'''
| 변, 발
| 馬, 駐, 騎, 駕, 驚, 驛
| 马(간체자)
|
骨
| 뼈 '''골'''
| 변
| 骨, 體, 髓
| 중국에서는 ┌ 대신 ┐을 써서 9획으로 줄어든다.
|
高
| 높을 '''고'''
| 제부수
| 高[26]
|
|
髟
| 터럭'''발'''머리
| 머리털늘어질 '''표'''
| 머리
| 髮, 鬚
|
|
鬥
| 싸울 '''투'''
| 몸
| 鬥, 鬪
| 斗(간체자)
|
鬯
| 울창주[27] 고대 종묘제사에 쓰던 향주로 울금의 향과 옻기장으로 빚는다. '''창'''
| 발
| 鬯, 鬱
|
|
鬲
| 다리굽은솥 '''력'''
| 변, 발
| 鬲
|
|
鬼
| 귀신 '''귀'''
| 받침, 방, 발
| 鬼, 魂, 魅, 魔, 魏
| 중국에서는 田의 세로획과 丿을 이어서 9획으로 쓴다.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魚
| 물고기 '''어'''
| 변, 발
| 魚, 魯, 鮮, 鯉
| 鱼(간체자)
|
鳥
| 새 '''조'''
| 변, 방, 발
| 鳥, 鴻, 鵬, 鶴, 鷹, 鸞
| 鸟(간체자)
|
鹵
| 짠땅 '''로'''
| 제부수, 변
| 鹵, 鹽, 鹹
| 卤(간체자)
|
鹿
| 사슴 '''록'''
| 제부수, 엄, 변, 발
| 鹿, 麗, 麒麟, 麏
|
|
麥
| 보리 '''맥'''
| 변
| 麥, 麪
| 麦(신자체, 간체자)
|
麻
| 삼 '''마'''
| 제부수, 엄
| 麻, 麾
| 한국에서는 广을 제외한 부분을 𣏟로 쓰지만, 일본과 중국에서는 林으로 쓴다.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黃
| 누를 '''황'''
| 제부수
| 黃
| 黄(신자체, 간체자)
|
黍
| 기장 '''서'''
| 제부수
| 黍, 黎
|
|
黑
| 검을 '''흑'''
| 제부수, 변, 발
| 黑, 默, 點, 黨
| 黒(신자체)
|
黹
| 바느질 '''치'''
| 제부수, 변
| 黹, 黼, 黻
|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黽
| 맹꽁이 '''맹''', 힘쓸 '''민'''
| 발
| 黽, 鼈
| 黾(간체자)
|
鼎
| 솥 '''정'''
| 발
| 鼎
|
|
鼓
| 북 '''고'''
| 머리, 발
| 鼓, 鼔[28]
|
|
鼠
| 쥐 '''서'''
| 제부수, 변, 발
| 鼠, 鼱, 鼴
|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鼻
| 코 '''비'''
| 제부수, 변
| 鼻, 鼾
|
|
齊
| 가지런할 '''제'''
| 제부수, 몸
| 齊, 齋
| 斉(신자체), 齐(간체자)
|
부수
| 이름
| 훈음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齒
| 이 '''치'''
| 제부수, 변, 발
| 齒, 齡, 齧
| 歯(신자체), 齿(간체자)
|
부수
| 읽기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龍
| 용 '''룡'''
| 발
| 龍, 龕, 𪚥
| 竜(신자체), 龙(간체자)
|
龜
| 거북#s-1 '''귀'''
| 방, 발
| 龜, 龞
| 亀(신자체), 龟(간체자) 한국 한자 및 일본 정체자로는 맨 윗부분이 ⺈이고 가운데의 두 세로 획이 맨 위 가로 획에 닿지만, 중국 번체자로는 맨 윗부분이 丿이고 가운데의 두 세로 획이 맨 위 가로 획에 닿지 않는다.
|
부수
| 읽기
| 형태
| 주요 해당 한자
| 비고
|
龠
| 피리 '''약'''
| 변
| 龠, 龡, 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