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분산
1. 개요
covariance ・ 共分散
'''공분산'''은 두 개의 확률 변수의 선형관계를 나타내는 값이다. 한 확률 변수의 증감에 따른 다른 확률 변수의 증감의 경향에 대한 측도이다. 쉽게 말해 분산이라는 개념을 확장하여 '''두 개의 확률 변수'''의 흩어진 정도를 공분산이라고 하는 것이다.
2. 정의
두 확률변수 $$X$$, $$Y$$의 결합확률함수가 $$f(x,\,y)$$일 때 다음을 $$X$$, $$Y$$의 '''공분산'''이라고 한다.
2.1. 모공분산
모공분산은 모집단의 공분산이다. $${\rm Cov}(X,\,Y)$$ 또는 $$\sigma_{XY}$$로 쓴다. $$X$$와 $$Y$$는 확률 변수, $$N$$은 모집단의 표본의 개수, $$X_i$$와 $$Y_i$$는 각 확률 변수의 도수#s-6, $$\mu$$는 모평균을 뜻한다.
곧, 모공분산이란 $$X$$의 편차와 $$Y$$의 편차의 곱의 평균이다.
2.2. 표본공분산
표본공분산은 표본집단의 공분산이다. $$S_{XY}$$로 쓴다. $$X$$와 $$Y$$는 확률 변수, $$n$$은 표본집단의 표본의 개수, $$X_i$$와 $$Y_i$$는 각 확률 변수의 도수#s-6, $$\bar X$$와 $$\bar Y$$는 표본평균을 뜻한다.
곧, 표본공분산이란 $$X$$의 편차와 $$Y$$의 편차의 곱의 평균이다. 주의할 점은 '''(표본의 개수)$$\boldsymbol{-1}$$'''로 나눈다는 것이다. $$n$$이 아니라 $$n-1$$로 나누는 것은 오차를 줄이기 위함으로, 일반적인 표본 분산의 계산법과 같다.
3. 성질
공분산의 정의에 따라 같은 확률 변수 두 개의 공분산이란 결국 '''해당 확률 변수의 분산'''이 된다.
$$\begin{aligned}{\rm Cov}(X,\,X)&=\sigma_{XX}\\&=\displaystyle\frac{1}{N}\sum_{i=1}^n (X_i-\mu_X)(X_i-\mu_X)\\&=\frac{1}{N}\sum_{i=1}^n (X_i-\mu_X)^2\\&={\mathbb E}[(X-\mu)^2]\\&={\rm Var}[X] \\ \\S_{XX}&=\displaystyle\frac{1}{n-1}\sum_{i=1}^n {(X_i-\bar X)(X_i-\bar X)}\\&=\frac{1}{n-1}\sum_{i=1}^n (X_i-\bar X)^2\\&={S_X}^2\end{aligned}$$
공분산의 정의는 내적의 정의를 만족한다. 따라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어슨상관계수를 유도할 수 있다.
4. 해석
확률 변수 $$X$$와 $$Y$$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 $${\rm Cov}(X,\,Y)>0$$이면 $$X$$와 $$Y$$는 양의 관계
- $${\rm Cov}(X,\,Y)<0$$이면 $$X$$와 $$Y$$는 음의 관계
- $${\rm Cov}(X,\,Y)=0$$이면 $$X$$와 $$Y$$는 양도 음도 아닌 관계
5. 분산-공분산 행렬
분산-공분산 행렬이란 다음과 같이 분산과 공분산을 나타낸 행렬을 말한다.
6. 공식
- $${\rm Cov}(X,\,Y)={\mathbb E}(XY)-{\mathbb E}(X){\mathbb E}(Y)$$[1]
[증명]
- $${\rm Var}(X+Y)={\rm Var}(X)+{\rm Var}(Y)+2{\rm Cov}(X,\,Y)$$
[증명]
- 일반화: $${\rm Var}\left(\displaystyle\sum_{k=1}^nX_k\!\right)=\displaystyle\sum_{k=1}^n{\rm Var}(X_k)+2\sum_{i
- $$|{\rm Cov}(X,\,Y)|\leq\sqrt{{\rm Var}(X)\cdot {\rm Var}(Y)}$$
6.1. 심화
- $$X$$와 $$Y$$가 독립이면 $${\mathbb E}(XY)={\mathbb E}(X){\mathbb E}(Y)=\mu_X\mu_Y$$이므로
- $${\rm Cov}(X,Y)={\mathbb E}(XY)-{\mathbb E}(X){\mathbb E}(Y)=0$$[2]
- $${\rm Var}(X+Y)={\rm Var}(X)+{\rm V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