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파이

 


[image]
홈페이지
1. 개요
2. 특징
2.1. 단순한 요금제
3. 저렴한 로밍 요금
3.1. 음성통화
3.2. SMS
3.3. 데이터
4. 공식 지원 기기
5. 한국에서 사용하려면
6. 기타
7. 주의사항


1. 개요


구글이 2015년 4월부터 미국에서 시작한 MVNO 이동통신 서비스다. 초기에는 초대를 거쳐야만 가입할 수 있었지만 2016년부터는 미국에 주소를 둔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일반적인 통신사 서비스와 달리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2018년 2월 기준 170개국 이상의 국가를 지원한다. 여러 국가를 여행할 때 비싼 로밍 요금을 내거나 현지 유심을 개통하는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2. 특징



2.1. 단순한 요금제


각종 약정할인과 결합할인, 프로모션으로 얼룩진 한국 통신회사, 혹은 미국 통신회사에 비해 지극히 단순한 요금제로 운영된다.
아래 표는 1인 기준으로 표기하였다.
'''종류'''
Unlimited(언리미티드
Flexible(플렉시블
요금VAT제외[1]
70달러
20달러 + 1GB 당 10달러
기본제공량
음성
1센트/분
문자
무제한
데이터제공량
22GB 이후 속도제한
최대 15GB
속도제한[2]
256 kbps[3]
실제 데이터 요금은 0.1GB(102.4MB)당 1달러로 청구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2.5GB 사용했다면 25달러가 청구된다.

3. 저렴한 로밍 요금



3.1. 음성통화


일반 셀룰러망을 이용해 통화할 때와 와이파이망(행아웃)을 이용해 통화할 때 요금이 나라마다 차이가 있지만 분당 최대 20센트를 넘지 않는다.
VoIP를 막지 않으므로 스카이프 등 저렴한 통화앱을 이용해도 된다. 단 이때는 데이터가 소모되기 때문에(10MB당 1센트) 실제 이용 금액은 더 비쌀 수도 있다.

3.2. SMS


전세계 어디서나 문자메시지를 무제한 무료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이면 영어 뿐만 아니라 한글, 이모티콘도 잘 전송된다.
카카오톡이나 라인, 페이스북 메신저를 이용해도 되므로 큰 의미는 없다. 미국 웹사이트나 서비스 이용시 인증번호 등을 받는 수단으로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다.

3.3. 데이터


한국을 포함한 약 170개 이상의 나라에서 '''추가 부담 없이, 마치 미국 국내에서 쓰는 것처럼''' 데이터를 쓸 수 있다. 국내에서 벤치비 앱으로 테스트한 결과 5Mbps 이상 속도가 나오며 LTE 망으로 접속된다.
사용랑 6GB, 60달러 이후에는 추가 요금이 없다. 사용량 15GB부터는 속도가 256kbps로 제한된다.

4. 공식 지원 기기


  • 픽셀 2 (공식지원은 북미판과 호주 Telestra 통신사 판만이나 모든 버전 사용가능)
  • 픽셀 2 XL (공식지원은 북미판과 호주 Telestra 통신사 판만이나 모든 버전 사용가능)
  • 픽셀 (북미판 G-2PW4100)
  • 픽셀 XL (북미판 G-2PW2100)
  • LG G7 ThinQ (북미판 언락기기 + Project Fi 용 G710ULM)
  • LG V35 ThinQ (북미판 언락기기 + Project Fi 용 V350ULM)
  • Moto G6 (북미판 언락기기)
  • Android One Moto X4 (북미판)
  • 넥서스 5X (북미판 LGH790)
  • 넥서스 6P (북미판 H1511)
  • 넥서스 6P (국제판 H1512) ( 공식지원 아니나 개통에 문제 없음 )
  • 넥서스 6 (북미판 XT1103)
  • Xiaomi Mi A2 (언락기기)
프로젝트 파이를 위해서는 GSM/CDMA/HSPA/LTE 등 여러 종류의 통신기술과 각국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한국에는 넥서스 5X가 정식 출시되었으나 북미판이 아닌 LGH791 버전이다. 공식 지원 기기가 아니라고 프로젝트 파이를 사용하지 못하는 건 아니지만 특정 국가나 통신망에서 사용이 불가능 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파이의 정상 작동을 보증하지 않는다. APN을 설정해 주면 데이터 통신과 통화가 제한적으로 가능하다. 픽셀 2는 모든 버전이 프로젝트 파이를 공식 지원하며 프로텍트 파이를 eSIM으로 해서 다른 유심과 듀얼 심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아이폰의 특정 모델들과 위에 있지않은 다른 여러기기도 베타 버전으로 지원하고 있다. 자신의 기기에 구글 파이가 지원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선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해 확인해 보는것을 추천한다.

5. 한국에서 사용하려면




2020년 10월 기준, 구글 파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무료 SIM 구매 시 배대지를 사용할 경우 구글 측에서 주문을 취소시키며, 어찌어찌 우회하여 받는다 하더라도 어차피 T-Mobile 또는 Sprint 망에 최초 1회 접속해야 개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내 신규 가입은 불가능'''하다.
유심과 함께 구입한 스마트폰은 배송대행 서비스를 통해 받으면 된다. 주문 시점이나 배송대행 업체에 따라 짧으면 1주일, 길면 2주 이상이 걸린다.
한국에 있더라도 한국 번호로 연락하면 상대방에게 미국 번호로 뜨며 상대방이 답장을 보내거나 전화를 걸면 국제 전화가 되니 주의. 스카이프나 카카오톡 등을 사용하는게 좋다.

6. 기타


  • 전세계 어디서든지 동일한 요금으로 음성/문자/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그것도 아무런 설정없이 자동으로) 강력한 장점이 있지만, 사실 미국 국내에서만 사용한다고 하면 타 통신사(버라이즌, 티모바일, AT&T등)에서 훨씬 더 저렴한 요금으로 핸드폰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를 많이 사용할 경우, 한달에 80불씩 나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로 출장이나 여행이 잦은 비즈니스맨이나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다.
  • 한국에서 이것을 메인 전화번호로 사용하기에는 애로사항이 있다. 일단 당장 번호부터가 미국 번호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내 번호로 상대방이 전화를 걸때 국제전화가 되어버린다.(...)
  • 해외직구를 많이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미국번호가 있으면 몇몇 인증을 할 때 수월하다. 가끔씩 미국 전번이 있으면 매우 편한 경우가 많다.
  • 현재 구글 파이 홈페이지에서 폰을 함께 사면 할인+크레딧을 주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모토로라 폰이 가성비가 꽤 괜찮게 나온다. 현재 Moto X4(600번대 스냅드래곤을 탑재하여 아주 고사양 게임이 아닌 이상 꽤 준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64GB(32GB모델은 현재 품절)을 199불에, 그리고 50달러 크레딧을 준다.(크레딧이란 구글 파이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포인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어차피 파이를 이용할 것이라면 폰을 149불이라는 미친 가격에 사는 셈이다. 중국폰이 아닌 이상 모토로라를 149불에 구하기 거의 힘들다.

7. 주의사항


  • 일반 구글 계정(@gmail.com으로 끝나는) 뿐만 아니라 G Suite 계정(@내도메인으로 끝나는)으로도 Google Fi를 이용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즉 본인이 관리하는 G Suite계정이면 일반 gmail.com보다 프라이버시적인 측면 등 여러방면에서 유리하지만, 학교나 단체에서 사용하는 계정으로 가입하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크다. 관리자 모드에서 Google Fi를 끌 수 있기 때문이다.
  • 이건 사실 구글의 전반적인 문제이기는 한데, Google Fi 요금 납부를 하려면 Google Payments(Google Pay)를 이용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이 구글 페이를 유튜브 결제, 플레이 결제 등 모든 곳에서 사용한다는 점이다. 즉, 드물기는 하지만, 구글에서 종종 카드 부정 사용 등으로 Google Payments를 잠가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reddit 등에서 종종 계정이 잠겼다는 글이 올라온다. 하지만 미국 고객센터를 통해서도 구글은 이것을 정말로 잘 안풀어준다. 즉, 구글 페이 계정이 잠겨버리면 요금 납부가 불가해버리기 떄문에...

[1] VAT : 10~20%[2] 기본제공 데이터를 모두 소진하였을 경우. 기본제공 데이터를 쓰고 있으면 제한없다.[3] Flexible 15GB 이상 or Unlimited 22GB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