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1. 개요
2. 특징
4. 기타


1. 개요


[image]
역사 RTS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의 등장 유닛.
기본 게임에서는 국왕 시해 모드에서만 등장한다. 그 외의 캠페인에서는 그냥 이름만 바꾼채로(…) 간혹 등장한다. 시나리오 에디터 등으로 등장시킬 수도 있다.

2. 특징


전형적인 유럽식 왕관과 망토를 입고 있는 배불뚝이 아저씨의 외형을 한 유닛.
공격 능력과 방어력은 없으나, 체력 만큼은 75로 제법 높은 편이라 은근히 생존력이 좋다.[1] 또한 보병 유닛임에도 이동 속도가 상당히 빨라 적의 공격으로부터 도망치기에도 상당히 수월한 편이다.
전투력이 아예 없기 때문에 일반 게임 속에서는 그저 게임 상의 소품으로서의 역할 밖에는 하지 못하지만, 국왕 시해 모드에서는 플레이어의 국왕이 죽으면 패배하기에 승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유닛이다.따라서 아군 입장에서는 필수적으로 보호해야 할 유닛 1순위이며, 적 입장에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죽여야 할 유닛 1순위가 된다.
국왕 시해 모드에서는 시작부터 마을 회관 근처에 성 하나가 주어지기 때문에, 정석대로라면 국왕은 이 안에 들어가서 그냥 나오지 않는 것이 상책이다.[2] 때문에 국왕 시해 모드에서는 초반 러쉬로 재미를 보기 어려우나, 처음부터 가지고 시작하는 주민의 머릿수가 일반 게임보다 많아서 게임 진행이 매우 스피디하다는 점으로 이 문제를 매꾸었다. 또한 국왕 시해 모드에서는 금 400을 소모하고 상대편 국왕의 위치를 알려주는 '반역' 기술[3]이 생긴다.

3.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포가튼 이후


[image]
(왼쪽부터 유럽 · 남미 · 중동 · 동북아 · 아프리카 ·동남아 순이다)
이전까지는 유럽식 외형만 존재했으나 새로운 확장팩 더 포가튼에서부터 중동권, 아시아권, 중남미권 외형의 국왕이 새롭게 등장했다. 국왕 시해 모드 플레이 시 각 문명권에 속하는 문명으로 플레이할 시 국왕의 외형이 각각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동권 국왕은 터번을 쓴 중동식 복장을 하고 있으며[4], 동북아시아권 국왕은 관모를 쓴 군주[5]의 모습을, 중남미권은 원주민 고위층 특유의 장식을 한 외형을 하고 있다. 유럽권은 서, 북, 동, 남유럽에 관계없이 해당하는 문명 모두가 기존 국왕의 스킨을 공유한다. 남아시아 역시 중동과 국왕 스킨을 공유한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칸 킹덤에서도 아프리카식 복장의 국왕이 추가되었다. 물론 외형에 관계없이 스탯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4차 확장팩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라이즈 오브 라자에서도 동남아시아 복장의 국왕의 스프라이트가 추가되었다. 결정판 스크린샷에서 나온 정보로 보면, 유목민 풍의 국왕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분석글 그러나 실제 출시되자 그냥 중동식 외형으로 통일되어 출시되었다.

4. 기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에서 유닛으로 나오는 국왕들의 체형은 근육질에다 날씬하며 몸이 잘 가꾸어진 상태로 나온 중남미 국왕을 제외하면 안습한 데 전부 비만 체형이다.[6]

[1] 기본 보병의 경우에는 왕정 시대에 챔피언까지 업글해야 체력이 70이 된다.[2] 그러나 보통 시작하자마자 국왕의 빠른 이동속도를 살려서 경기병과 함께 정찰을 돌게 하거나, 사슴 유인용으로 쓰인다. 봉건시대까지는 국왕의 빠른 발을 따라잡을만한 유닛이 경기병 외에는 없다. 물론 본진 주변의 자원 파악용 정찰에나 쓰이지 적진까지 들어가서 정찰하는 것은 적의 성 때문에 위험하다.[3] 일반적인 게임에서의 스파이 기술 대신 제공된다. 아이콘은 스파이 기술과 같은 눈 모양.[4] 오스만 제국풍에 가장 가깝다.[5] 아이콘을 보면 명나라 황제들의 초상화 중에서 영락제와 비슷하게 생겼다.[6] 해당 게임에서 나오는 일반 국왕 유닛 중 중남미 버전을 제외한 대부분이 비만 체형으로 나온 것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가 전근대 즉 중세 시대를 소재로 한 게임인데다 현대 사회 중 선진국 한정으로 비만이 빈곤층 및 서민층들 사이에서 적지 않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는 것과 달리 식량이 현대 사회와 달리 넉넉하지 않은 전근대 시대와 선진국과 달리 식량 사정이 좋지 않은 개발도상국의 비만은 부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은 점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현실에서는 사람이나 사회마다 다르기 때문에 왕이라고 해서 죄다 비만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비만이 아닌 사람들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