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반신우표권

 

[image][image]
[image]
1. 개요
2. 사용법및 요금
3. 기타


1. 개요


Coupon-réponse international (佛)
International reply coupon (英)
國際回信券 (中)
国際返信切手券 (日)
국제반신권이라고도 한다.
만국우편연합에서 발행하고 우체국에서 파는 유가증권. 영어 약자로 IRC라고도 한다. 판매한 나라를 제외한, 만국우편연합 회원국 어디에서든지 우체국에 가면 그곳에서 통용되는 우표로 교환할 수 있다. 이것이 생긴 이유는 국제우편에서는 발송국의 우표를 붙이기 때문이다. 즉 국내우편이라면 답장을 요구할 때 발신자가 우편요금을 부담한다는 뜻으로 우표를 동봉하면 수신자는 그 우표로 답장을 보내면 되는데 국제우편에서는 쌍방이 사용하는 우표가 다르기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다. 즉 자국 우표는 상대국에서 쓸모가 없으니 이것을 동봉하면 수신자가 자국 우표로 교환해서 답장을 보낼 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나라 간 소액거래는 이것으로 대금을 결제하는 경우도 있다(미화 몇 달러 또는 국제반신우표권 몇 장 하는 식)[1]

2. 사용법및 요금


이걸 사서 해외로 가지고 가면 그 나라 우체국에서 항공우편 기본요금에 해당되는 액면가의 우표로 교환해 준다(우표가 인쇄된 봉투, 엽서, 항공서간으로도 가능). 우편요금이 비싼 나라로 여행할 계획이 있다면 한두장쯤 사서 가지고 가는 것도 좋을 듯. 한국의 우편 요금은 - 물론 반신권 요금도 - 비교적 싼 편이기 때문에 더더욱 유용하다. 유효 기간이 있기 때문에 사용 및 구매 시 주의하자.
현재 대한민국 우정사업본부에서는 1450원에 판매하며, 해외 우체국에서 판매한 것은 850원[2]에 해당하는 우표로 교환해 주고 있다. 일본우편의 경우 150엔에 판매하고, 해외 우체국에서 판매한 건 130엔으로 교환해 주고 있다. 중국우정에서는 12위안에 판매하고 해외 우체국 것은 해당 국으로 보내는 요금만큼 준다.[3] 미국에서는 판매하지 않지만 해외 우체국 것은 98센트어치 우표로 교환해 준다. 캐나다에서도 지금은 판매하지 않지만, 해외 우체국 것은 1.75 캐나다달러(약 1600원)어치 우표로 교환해 준다.
각 국가간의 우편요금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IRC 구매 가격보다 교환받는 우표의 액면가가 훨씬 높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예전에 국제반신우표권이 850원 하던 시절, 한국에서 사서 일본에서 바꾸면 850원으로 130엔어치 우표를 사는 셈이 되었다. 일본의 국제반신우표권 판매가격과 교환가격은 그때도 지금과 똑같다. 그 유명한 폰지사기도 처음에는 반신권 가격과 교환되는 우표 값의 차이를 노린 투자 방법이었다. 물론 계획대로 되지는 않았지만... 따라서 예방책으로 20장 이상 다량구입을 할 경우는 우체국에서 신분과 사용 목적을 확인하며, 반신권에 유효기간을 두어 이러한 짓을 방지하고 있다.

3. 기타


  • 반신권은 5년의 유효기간 마다 디자인을 바꿔 재발행 한다, 가장 최근에 발행된건 2017년부터 판매를 개시한 베트남 디자이너의 일러스트가 삽입된 것으로 2021년 12월 31일까지 유효하다.#
  •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행한 반신권은 좌측 소인란 옆에 발행국가명이 불어로 적혀있으나, 2017년 12월 31일까지 한국 우정사업본부가 발행한 도하 디자인의 반신권에는 국가 표기가 없었다.
  • 인터넷과 해외 송금등이 발달한 요즘에는 후진국을 제외하면 많이 쓰이는 편은 아니다. 판매 국가도 꾸준히 줄어들어서, 2018년 기준으로는 70여개 국가에서만 판매한다. 하지만 선진국에서 아직도 이를 꿋꿋이 이용하는 곳이 있으니 바로 일본의 국공립대학교들. 해외에서 일본의 국공립 대학 원서를 제출할 때 반신권을 같이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 수험표를 국제발송하거나 또는 일본 국내의 주소로 보낼때 드는 비용을 수험생에게 부담을 지우는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반신권이 요구된다. 그래서 특히 수도권지역에선 국공립대학 원서시즌이 시작되는 12월 부터 일본의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반신권을 구입하려고 우체국을 여러곳 돌아다니곤 한다. 최근 들어선 수험표를 인터넷으로 발행이 가능한 국공립대학들이 늘어나고있는 추세지만 대부분의 국공립대 입시과들이 상당히 경직된 행정조직을 가지고 있다보니 아직도 이런 방식을 고수하는 학교들이 여전히 많다.
  • 우체국별로 반신권 재고가 넘쳐나거나 또는 없는 우체국도 있기때문에 반신권을 구매하려면 미리 우체국에 전화를 해서 재고가 있는지 물어보고 가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최근엔 이 교환권을 이용하는 경우 자체가 매우 희소해졌기 때문에 해외의 우체국에서 교환을 요청해도 직원이 잘 몰라서 난처해하거나 혹은 절차와 매뉴얼을 확인하느라 교환받을 때까지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다. [4]

[1] 은행 송금 같은 것은 수수료가 더 들지 않겠는가? 이거 같으면 우편요금 외에 들어가는 게 없으니. 또 받는 쪽도 우편발송이 많아 우표가 필요한 경우도 많고.[2] 2017년 4월에 800원에서 인상[3] 예를 들어 한국으로 보내려고 이걸 내밀면 5위안, 이집트로 보내려고 이걸 내밀면 7위안을 주는 식[4] 실제로 일본에서 반신권으로 우표를 교환신청한 위키러의 경험담을 얘기하자면 반신권이 뭔지 몰랐던 직원이 매뉴얼의 관련규정을 찾아보고 한 10분정도 지나서야 교환을 해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