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맨 머슬파이트

 


1. 개요
2. 원작재현


1. 개요


공식 홈페이지
2000년도 일본에서 2D 격투 쯔꾸르 95근육맨의 팬게임으로 만들어져 꾸준히 갱신된 작품. '''현재까지 갱신중이다!''' 최근 갱신일은 2020년 5월 17일.
근육맨 특유의 애니풍 2D 도트 연출과 애니메이션 보이스 삽입, '''원작 재현'''과 잔혹성이 주특기로, 근육맨 팬들 사이에선 모든 콘솔과 휴대용 게임을 제치고 '''가장 원작을 잘 살린 게임'''으로 칭송이 자자하다. [1] 다만 국내에서의 인지도는 아무래도 근육맨 자체의 인기 때문인지 저조한 수준. 다만 전체적인 근육맨 스토리가 전부 재현되어있고, 캐릭터와 기술도 매우 다양하게 재현되어 있다. 또한 원작의 장면들을 손수 재현할 수 있고 '''심지어 테리맨의 설명충 컷인과 규동 음두, 카루비동 음두까지 뜬다!'''
이런 인지도 때문인지 2000년도에 만들어진 물건임에도 현재까지 꾸준히 패치가 진행중이며 기존 캐릭터들의 리메이크도 진행되고 있다. [2]
사실 아래 서술을 보면 알겠지만 도트노가다 퀄이 미쳤다. 대전액션이 이 게임을 10년간 못 따라잡은 걸 보면 '''아무리 봐도 프로의 범행이다.'''
여담으로 근육맨과는 상관없는 캐릭터도 몇 개 나오기도 했었다. 대표적으로 타이의 대모험에 나오는 마암.[3]

2. 원작재현


<일부 스토리 영상>
  • 본편 모음[원작재현]
  • 필살기 모음집 니코동 아이디 필요. 이것만 봐도 얼마나 원작재현이 잘 되있는 게임인지 볼 수 있다. 심지어 신 연재판에 나온 퍼펙트 오리진들까지 등장하고 있다!
''' '''
'''당시 도트 노가다 결과물의 집대성이자 차세기 연출의 총 집결.'''
'''기상천외한 원작재현으로 대전액션 연출에 한 획을 그었다.'''
지금도 범접하기 힘든 도트 노가다와 결과물부터 빼도박도 못하고 '''프로의 범행수준'''.
몇 명이 모인 팀 작업이고 도트 자체 퀄리티도 SFC~PS1 수준이지만, 당시 인디 수준에서 저건 불가능에 가까운 결과물이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패배시 연출도 있는데다 배경 발광, 공간이동, 회상씬 삽입, 확대 액션, 피니시 개별연출 등의 다채로움과 혁신성도 시대를 앞선 수준이다. 당장 스토리 재현도 도트 노가다 때문에 재현하기 힘들고 공개 이후부터 지금 대전액션과 비교해도 10년은 앞선 연출들이다. '''말 그대로 정상이 아니다.'''
원작재현 방식은 근래들어 Fate/unlimited codes, 나루티밋 스톰, 원피스 해적무쌍 등을 통해 점점 많아지는 추세인 것을 감안해도 시대를 매우 앞선 수준.
다만 참여자들이 캐릭터별로 따로 작업해서 그래픽이 가끔 어색하고 원작재현에만 충실한 나머지, 실제 밸런스는 미묘한 편. 원작재현시 필살시전 시간이 지나치게 길고 카운터가 많아 멀쩡한 대전에 무리가 있다.
동인 대전액션에선 '''전설의 레전드'''인 퀸 오브 하트 시리즈, 멜티 블러드, CRUCIS FATAL FAKE의 위치라고 볼 수 있다.

[1] 실제로 근육맨 계열 콘솔 게임은 3D에 리얼 프로레슬링의 타격감을 강조해서 그런지 애니 입문자들에게는 밋밋한 감이 있다.[2] 같은 캐릭터라도 비교적 최신에 만들어진 캐릭터가 더 모션도 화려하고 원작 재현에 충실한 편. 대표적으로 악마장군은 신근육맨 연재 이전에 만들어진 버전 2개와 신근육맨 연재 이후 만들어진 버전이 따로 존재하는데 후자는 론스탈라이트 파워와 신위의 단두대까지 완벽하게 재현한 그야말로 도트 노가다와 음성 합성(...)의 끝을 보여준다. 그 외에 근육맨 빅 보디도 원작+SFC 버전과 원작+머슬 그랑프리 버전으로 따로 존재하는데 이중 머슬 그랑프리 버전은 3D 게임의 기술 모션을 2D로 거의 비슷하게 표현하고 음성도 아주 흡사하게 만들어 놓았다. 또 최근엔 신근육맨에서의 눈부신 활약으로 신근육맨 버전 빅 보디가 제작중이라고 한다! [3] 게임 내에서는 무신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그외에 우주해적 코브라의 코브라, 죠죠의 기묘한 모험 2부의 슈트로하임, 프로이라임 브로켄(근육맨 레이디에 나온 브로켄 듀니아의 패러디로 보이는 제작자의 오리지날 캐릭터), 돌격 남자훈련소의 츠루기 모모타로같은 타 작품 출신의 캐릭터와 라면맨과 포동포동맨의 도트에 모션은 스트리트 파이터의 가일, 달심이라는 골때리는 패러디 캐릭터도 존재한다.[4] 이 영상은 악마장군 항목과 더 맨 항목에도 있다. 은근히 미묘한 더 맨의 음성합성(...)과 해당 편을 그냥 영상으로 보는듯한 재현도가 특징.[원작재현] 영상을 만들기 위해 2차편집이나 합성이 있다고 되어있으니 주의 요망. 수많은 연출변화가 있는건 사실이지만 모든 장면을 게임내에서 재현할 수는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