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 부음

 

도유(塗油)
anointment
말 그대로 기름, 그중에서도 향유를 붓는 사람이나 사물에게 붓는 의식을 말한다. 고대 근동에서 유래한 것으로 손님을 환대하거나[1] 몸을 치장하거나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행해졌다. 덥고 건조한 사막기후에 해당하는 지역에선 피부 건강과 악취 죽이기를 목적으로도 향유를 몸에 발랐다.[2]

연회상을 차려 자리를 펴고 먹고 마신다마는 너희 장군들아, 일어나거라. '''방패에 기름을 먹여라'''.

- 공동번역성서 이사야서 21:5

또한 기름(향유)을 사람에게 붓는 이유는 위 이사야서의 대목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당시의 방패는 나무에 가죽을 고정시키고 덧대서 만드는 식이였다. 방패에 덧댄 가죽에 기름을 먹이면 가죽이 탄력이 생기며 수명도 훨씬 길어지게 됐다. (기름을 바르며 튼튼해진) 방패와 같이 사람들을 지켜주는 존재가 되어달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는 셈이다.
중동과 근동에선 은근 필수품이었는지 가난한 사람들도 향유를 소유하고 있긴 했다고 전해진다. 다만 비싸고 질좋은건 당연히 부자나 고위층의 몫이였다.
기독교 창시 이후로도 성령이 임재나 내재한 상징으로 여겨지며 계속 행해졌는데, 가령 마태복음 26:12 에서는 베타니아의 마리아가 자신의 머리카락에 300데나리온이나 하는 향유를 묻혀 예수의 발을 닦자 예수는 '이 여자가 내 몸에 이 향유를 부은 것은 내 장사를 위함이라'라 말했는데, 이를 통해 장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향유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기독교적 의미에서 기름을 붓는 것은 대상이 물건이냐 사람이냐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물건의 경우 성별하려는 것이며 사람인 경우 그를 제사장, 선지자, 왕등으로 세우는 것이다.[3] 후자의 경우 견진성사병자성사, 대관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원자라는 의미로 통용되는 메시아라는 말 또한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짙게 받은 서양에선 '기름 부음'을 '특별한, 신성한'과 같은 뜻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한기총 대표회장 전광훈 목사는 본인에게 기름부음이 강하게 임했기 때문에 “하나님 꼼작 마, 하나님. 하나님 까불면 나한테 죽어”라고 말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교회와 신앙

[1] 대연회 시에는 향료의 기름을 손님의 머리에 올려놓아 그 체온으로 녹여 향기와 신선함을 느끼도록 해서 손님을 기쁘게 했다고 한다.[2] 즉 오늘날 피부미용 등을 위한 바디오일 바르기의 유래도 이들의 피부를 위한 기름 부음 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3] 한 예로 사무엘이 사울을 왕으로 추대할 때 사울의 머리에 기름을 부은 일이 사무엘 상에 기록되어 있다.

분류